• Title/Summary/Keyword: 면역조직병리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8초

Immunohistochemical Diagnosis of Primary Renal Hemangiosarcoma in a Dog (개에서 발생한 신장원성 혈관육종의 면역조직화학적 진단)

  • Jung, Soo-Kyo;Yang, Hyoung-Seok;Kim, Jae-Hoon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제30권4호
    • /
    • pp.296-300
    • /
    • 2013
  • A 7-year-old castrated male Yorkshire Terrier was presented with a palpable intra-abdominal mass. In radiography, a large radioopaque renal mass and small abdominal mass were found on dorsal area of the abdomen. Grossly, red to brown color mass and a cystic structure (hydronephrosis) were embedded in the right kidney. Histopathologically, the mass had many irregular shaped neovascular channels lined by polygonal or oval shaped endothelial cells. These vessels and neoplastic cells had great invasive tendency to adjacent connective or fat tissues. Small abdominal mass had identical morphologic features as in renal mass. According to immunohistochemistry, the neoplastic cells in renal mass demonstrated strong positive signals for vimentin and CD31, and weak positive for von Willbrand factor. However, there were no positive reactions for cytokeratin. Based on the gross, histopathology and immunohistochemistry, this mass was diagnosed as primary renal hemangiosarcoma in a Yorkshire Terrier dog.

Benign Schwannoma of the Esophagus (식도에 생긴 양성 신경초종)

  • 신종목;김주현;성숙환;김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1호
    • /
    • pp.922-924
    • /
    • 2000
  • 양성 신경초종(benign schwannoma)이 식도를 포함한 위장관계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양성식도 신경초종은 확진을 위해 면역 조직 화학적 염색을 필요로 한다. 정기 신체 검진상 우연히 발견된 66세여자 환자의 식도 점막하 종양에 대해 우측 후측부 개흉을 통한 종양 적출을 시행하였으며, 술후 면역 조직 화학적 병리 검사를 통하여 식도의 양성 신경초종임을 확인하였고, 환자는 술후 1년째 재발없이 외래 추적 관찰을 받고 있다.

  • PDF

Immunohistochemical identification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antigen in the lungs of naturally infected piglets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에 자연감염된 포유자돈의 폐장에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한 바이러스 항원의 확인)

  • Cheon, Doo-Sung;Min, Kyoungsub;Chae, Chanhee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제37권2호
    • /
    • pp.417-423
    • /
    • 1997
  •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nucleocapsid와 반응을 하는 SDOW17 단크론항체를 이용하여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시킨 자연감염된 포유자돈의 폐장에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항원을 확인하였다.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 의뢰된 포유자돈들 중에서 병리조직학적으로 폐장에서 간질성 폐렴이 관찰된 포유자돈 7두를 임의로 선택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간질성 폐렴의 병변으로 많은 수의 대식세포 침윤을 동반한 폐포벽 두께의 증가와 제II형 폐포세포의 비후가 관찰되었다. 검사한 7두 포유자돈중에서 6두에서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에 의해 확인하였다. SDOW17 단크론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과 간질성 폐렴의 대식세포에서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항원을 검출하였고, 항원은 (주로)대식세포의 세포질에서만 진한 갈색의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이상 검사결과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는 폐장의 간질과 폐포강에 분포되어 있는 대식세포에서 주로 증식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면역조직화학법은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바이러스 분리 또는 혈청검사 없이 진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방법으로 판명되었다.

  • PDF

Medullary Thyroid Carcinoma in a Maltese Dog (말티즈 개에서 발생한 갑상선수질암)

  • Hyun, Hee-Jin;Jung, Soo-Kyo;Kim, Jae-Hoon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제31권5호
    • /
    • pp.435-438
    • /
    • 2014
  • An 11-year-old, 2.67 kg female Maltese dog with 3 weeks history of palpable cervical mass near trachea was submitted to a local animal hospital. Radiography and ultrasonography showed radiopaque mass adjacent trachea and vagus nerve. Surgically excised mass was solitary and approximately $3.5{\times}2{\times}0.8cm$ in size. Histopathologically, there were large neoplastic foci admixed with normal thyroid tissues. These neoplastic foci were composed of small to large packets of the neoplastic cells with plasmacytic morphology, and these packets were divided by fine fibrovascular septa. Immunohistochemically, most neoplastic cells in the thyroid mass showed positive reactions for cytokeratin (AE1/AE3), chromogranin A, neuron specific enolase (NSE) and the negative reaction for vimentin. Based on the gross, hist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this dog was diagnosed as medullary thyroid carcinoma.

Histopathology of Lesion Produced by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Acarina:ixodidae) with Reference to Acquired Immunity (실험용(實驗用) 가토(家兎)에 있어서의 Haemaphysalis longicornis 진드기 교상(咬傷)에 대한 획득면역(獲得免疫)에 관련(關聯)된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관찰(觀察))

  • Kang, Yung-Bai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35-143
    • /
    • 1981
  • 진드기의 흡혈(吸血)에 대對하여 경험(經驗)이 없는 가토(家兎)를 실험숙주(實驗宿主)로하여 Haemaphysalis longicornis 진드기를 부착(附着) 흡혈(吸血)시켰을때 형성(形成)된 교상(咬傷)에 대(對)한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변화(變化)를 관찰(觀察)하고, 진드기의 흡혈(吸血)에 경험(經驗)이 있는 감작(感作)된 가토(家兎)에 1개월(個月) 간격(間隔)으로 제2차(第二次) 흡혈(吸血)까지 시도(試圖)하여 가토체내(家兎體內)의 획득면역(獲得免疫)의 형성(形成)과 그에 따른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변화(變化)를 비교관찰(比較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H. longicornis 진드기는 구기(口器)를 사용(使用)하여 가토(家兎) 이부위(耳部位)의 피용(皮庸)를 천자(穿刺)하므로서 교상(咬傷)을 일으키며, 흔히 진드기의 구기주변(口器週邊)에는 진드기의 안전(安全)한 부착(附着)을 기도(企圖)하는 편평원추상(扁平圓錐狀)의 시멘트 물질(物質)이 형성(形成)되었다. 2. 진드기 교상(咬傷)에 대(對)한 주요(主要)한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변화(變化)는 국소부위(局所部位)의 출혈성(出血性) 염증성(炎症性) 반응(反應), 광범위(廣範圍)한 부종(浮腫), 백혈구(白血球) 침윤(浸潤), 그리고 세포조직(細胞組織)의 괴사(壞死)로 대징(待徵)지워졌다. 3. 진드기 기생(寄生)의 초기(初期)에 형성(形成)된 병변(病變) 또는 진드기 흡혈(吸血)에 대(對)하여 경험(經驗)이 없는 가토(家兎)의 병변(病變)에서는 호중구(好中球)를 흔히 볼 수 있었으며, 진드기 기생말기(寄生末期) 또는 진드기 흡혈(吸血)에 대(對)하여 경험(經驗)이 있는 감작(感作)된 가토(家兎)의 병변(病變)에서는 호산구(好酸球)가 많이 관찰(觀察)되었다. 4. 진드기의 구기(口器)가 창상내(創傷內)에 잔존(殘存)하는 한, 치유(治癒)은 단시일내(短時日內)에 이루어 지지 않았으며, 증상(症狀)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괴사성(壞死性) 염증성(炎症性) 반응(反應)은 더욱 확대(擴大) 되었는데, 이러한 소견(所見)은 감작(感作)되어 있는 숙주(宿主)에서 더욱 확실(確實)히 관찰(觀察)되었다. 5. 최초(最初)(1차(一次)) 흡혈(吸血) 시도후(試圖後) 감작(感作)된 가토(家兎)에 2차적(二次的)으로 부가흡혈(附加吸血)을 시도(試圖)하였을때 볼수 있는 진드기의 흡혈성취도(吸血成就度)의 저하현상(低下現象)은 숙주체내(宿主體內)의 교상병변(咬傷病變)에서 일어나는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소견(所見)과 획득면역(獲得免役)에 깊이 관련(關聯)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s of Bone Marrow Biopsy Decalcification Methods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골수생검조직의 조직병리검사에서 탈회방법에 따른 결과 분석)

  • Park, Ji Young;Han, Kyung Hee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제48권4호
    • /
    • pp.371-377
    • /
    • 2016
  • Decalcification is routinely performed to obtain a pathological diagnosis using bone marrow biopsy. During the decalcification process using a conventional acidic solution, such as HCl, the antigenicity of tissue is damaged. Especially DNA and RNA in the bone marrow are impaired. Hence, there is the need for a standardized decalcification protocol that preserves the antigenicity of tissue. To this end, we compared the effects of two commonly used decalcifiers: Commercial decalcifier (Calcl-Clear Rapid, HCl) and the EDTA (12.5%, pH 7.0). Bone marrow biopsies sampled from 71 patients were decalc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tocols of respective groups-HCI versus EDTA. The differences of decalcification protocol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Hematoxylin & Eosin staining, Gomori'sreticulum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molecular analysi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ed Ki-67, CD20 and CD138 as primary antibodies and molecular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DNA concentration analysis, in situ hybridization (ISH) and immunoglobulin heavy chain (IGH) gene rearrangement. On the routine histopathology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Cl and EDTA. Moreover, in case of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cytoplasmic membrane or cytoplasmic CD markers was well preserved. However, nuclear proteins, such as Ki-67, were stained with low quality. Conversely, according to the molecular analysis, the EDTA protocol preserved the DNA and RNA compared with the HCI. The differences of DNA quantity and qua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protocols of HCl and EDTA. We used 38 cases in HCl and 12 cases in EDTA. Consequently, the EDTA protocol maintains the antigenicity of the protein on tissue and is acceptable for examination with molecular base analysis. Decalcification of bone marrow biopsy by EDTA is highly recommended for the examination of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molecular analysis.

Risk Factors for Malignancy of Pheochromocytoma and Abdominal Paraganglioma in Children: Clinicopathologic Perspectives (소아에서 갈색세포종과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의 악성화 예측인자)

  • Chang, Jihoon;Kim, Soo-Hong;Min, Hye Sook;Kim, Hyun-Young;Jung, Sung-Eun;Park, Kwi-Won;Lee, Seong-Cheol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9권2호
    • /
    • pp.108-121
    • /
    • 2013
  • 목적 Pheochromocytoma of the Adrenal gland Scaled Score (PASS) 시스템과 면역화학염색 등을 통한 갈색세포종 및 부교감신경절종의 악성화 예측인자가 제시되고 있으나 명확한 병리학적 또는 분자생물학적 예측인자는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 병리학적 분석을 통해 갈색세포종 및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의 악성화 예측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에서 수술적 절제 후 병리학적으로 갈색세포종 및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으로 확진된 20명의 18세 이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고, PASS 시스템에 따른 병리 슬라이드 판독하였다. 세포활성도를 반영한다고 알려진 유전자에 대한 항체 중 Ki-67, p53, bcl-2, mdm-2, cycline D1, p21, p27을 이용해 면역 화학검사를 한 후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20명의 환자 중 갈색세포종은 14명,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은 6명이었다. 악성화는 각각 4명, 3명에서 관찰되었다. 혈관 침범, 주변부 지방조직 침습, 세포분열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악성화 예측인자였으며(각각 p=.007, .031, .031), 갈색세포종만 분석하였을 때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각각 p=.033, .003, .019). PASS 시스템은 악성화를 예측하는데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혈관 침범, 주변부 지방조직 침습, 세포분열 증가를 항목으로 하여 새롭게 만든 병리 스코어 시스템은 악성 환자군과 양성 환자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1). 악성과 양성 질환 사이의 면역화학염색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소아에서 갈색세포종 및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의 악성화 예측인자로 혈관 침범, 주변부 지방조직 침습, 세포분열 증가를 이용할 수 있다. 소아에서 PASS시스템으로 악성화를 예측할 수 없었으나, 새로운 병리스코어 시스템으로 악성 환자군을 예측할 수 있었다. 면역화학검사 결과 세포 활성도를 반영하는 인자들은 악성화를 예측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