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isk Factors for Malignancy of Pheochromocytoma and Abdominal Paraganglioma in Children: Clinicopathologic Perspectives

소아에서 갈색세포종과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의 악성화 예측인자

  • Chang, Jihoon (Department of Pediatr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Kim, Soo-Hong (Department of Pediatr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Min, Hye Sook (Department of Path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Hyu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Jung, Sung-Eun (Department of Pediatr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Park, Kwi-Won (Department of Pediatr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 Lee, Seong-Cheol (Department of Pediatr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장지훈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소아외과) ;
  • 김수홍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소아외과) ;
  • 민혜숙 (서울대학교병원 병리과) ;
  • 김현영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소아외과) ;
  • 정성은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소아외과) ;
  • 박귀원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소아외과) ;
  • 이성철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소아외과)
  • Received : 2013.09.27
  • Accepted : 2013.11.13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목적 Pheochromocytoma of the Adrenal gland Scaled Score (PASS) 시스템과 면역화학염색 등을 통한 갈색세포종 및 부교감신경절종의 악성화 예측인자가 제시되고 있으나 명확한 병리학적 또는 분자생물학적 예측인자는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 병리학적 분석을 통해 갈색세포종 및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의 악성화 예측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에서 수술적 절제 후 병리학적으로 갈색세포종 및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으로 확진된 20명의 18세 이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고, PASS 시스템에 따른 병리 슬라이드 판독하였다. 세포활성도를 반영한다고 알려진 유전자에 대한 항체 중 Ki-67, p53, bcl-2, mdm-2, cycline D1, p21, p27을 이용해 면역 화학검사를 한 후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20명의 환자 중 갈색세포종은 14명,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은 6명이었다. 악성화는 각각 4명, 3명에서 관찰되었다. 혈관 침범, 주변부 지방조직 침습, 세포분열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악성화 예측인자였으며(각각 p=.007, .031, .031), 갈색세포종만 분석하였을 때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각각 p=.033, .003, .019). PASS 시스템은 악성화를 예측하는데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혈관 침범, 주변부 지방조직 침습, 세포분열 증가를 항목으로 하여 새롭게 만든 병리 스코어 시스템은 악성 환자군과 양성 환자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1). 악성과 양성 질환 사이의 면역화학염색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소아에서 갈색세포종 및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의 악성화 예측인자로 혈관 침범, 주변부 지방조직 침습, 세포분열 증가를 이용할 수 있다. 소아에서 PASS시스템으로 악성화를 예측할 수 없었으나, 새로운 병리스코어 시스템으로 악성 환자군을 예측할 수 있었다. 면역화학검사 결과 세포 활성도를 반영하는 인자들은 악성화를 예측할 수 없었다.

Keywords

Cited by

  1. Potential Biomarkers of Metastasizing Paragangliomas and Pheochromocytomas vol.11, pp.11, 2021, https://doi.org/10.3390/life11111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