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세포

검색결과 2,765건 처리시간 0.029초

인공 항원제시세포의 표면 분자의 특성 및 상호작용이 T 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perties and interactions of surface molecules in antigen presenting cells on T cell activation)

  • 민영실;강윤중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64-176
    • /
    • 2020
  • 인체 적응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항원 특이적 T 세포를 활용한 면역 세포 치료에서 T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고 클론 확장시키는 과정은 매우 섬세하고 복잡하여 조절하기가 쉽지 않아 T 세포의 활성화와 클론 확장을 유도하면서도 조절 및 취급이 용이한 인공 항원제시세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인공 항원제시세포는 인체의 항원제시세포의 세포 표면 분자와 작용을 모방하게 되는데, 기본적인 신호 분자인 MHC-항원 복합체, 공동 자극 분자, 그리고 용해성 면역 조절 분자를 필수적으로 발현하여야 한다. 또한 T 세포가 항원과 접촉할 때, 이들 분자들이 잘 조직화되어 작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T 세포 활성화에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인공 항원제시세포 제작 방법과 세포 표면 분자들의 결합 방법과 물리적인 특성이 T 세포와의 상호작용에 중요함을 고찰하였으며, 효과적인 T 세포 활성화를 유도하며 면역세포치료에 적용 가능한 인공항원제세세포의 제작 방법을 살펴보았다.

PGs대사조절에 의한 항고혈압약 및 항암약개발

  • 윤재순;윤연숙;신정희;김문정;한현정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83-83
    • /
    • 1993
  • 생체내 기능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prostaglandins(PGs)는 신경계 세포, 순환기계세포, 거삭세포, 섬유아세포 및 암세포 등 여러 부위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Gs생체내 전구체인 arachidonic acid와 구조유사체인 eicosapentaenoic acid(EPA) 및 docosahexaenoic acid(DHA)에 의한 순환기계효과를 TXA$_2$ 생합성과 관련하여 규명하고져 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면역요법 중 암세포 살해능이 있는 lymphokine activated killer(LAK) 세포의 생성력과 생체내 면역세포 중 암세포의 일차적인 방어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atural killer(NK) 세포의 활성도를 PGs생성과 연관시켜 검토하므로써 암환자에 저하되어 있을 면역기구와 PGs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PDF

두툽상어 (Scyliorhinus torazame)의 위장관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gastro-entero-pancreatic endocrine cells of the cat-shark, Scyliorhinus torazame)

  • 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17-425
    • /
    • 1995
  • 두툽상어의 위장관 내분비세포의 부위별 분포, 출현빈도 및 세포의 종류를 밝히고자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던 바, 5종의 면역반응세포가 동정되었다. 5-HT 면역반응세포는 최고의 빈도로,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는 소수의 위부위와 극소수의 장부위에 걸쳐 각각 전장관에서 관찰되었다. Glucagon과 BPP 면역반응세포는 십이지장과 직장을 제외하고 다양한 빈도로 소화관 전체에서 출현하였다. 한편 Gas/CCK 면역반응세포는 소장부위에서 국한하여 소수 분포하였다. 이상에서 두툽상어의 위장관 내분비세포는 부위별 분포에 있어서 다른 종과 유사하였으나, 출현빈도는 다소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 연근해산 두족류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시엽 (Optic lobe)내 Serotonin 및 Somatostatin의 분포에 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Immuno-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the Localization of Serotonin and Somatostatin in the Optic Lobes of Cephalopods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Inhabiting the Korean Waters)

  • 장남섭;한종민;김상원;이광주;황선종;이정찬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3호
    • /
    • pp.247-255
    • /
    • 2002
  • 두족류 Octopus minor와 Todarodes pacificus의 시엽내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neuron의 특성 및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serotonin 및 somatostatin의 항체를 사용한 면역염색과 면역금표지법을 시행하였다. 면역염색 결과 항-somatostatin은 살오징어인 경우 항-serotonin 면역반응과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서해낙지에서는 외과립세포층의 큰 세포에서만 반응을 보였다. 항-serotonin을 이용한 면역금표지법은 살오징어인 경우 내과립세포층과 수질부의 신경세포에서는 세포질 $0.5{\mu}m^2$당 30개 정도의 금입자가 관찰되어 강한 반응을 보인 반면, 서해낙지에서는 17개 정도의 비교적 약한 반응을 보였다. 항-somatostatin에서는 살오징어의 외과립 및 내과립세포층 그리고 수질부의 반응된 세포의 세포질 $0.5{\mu}m^2$당 30개 정도의 금입자가 관찰되어 강한 반응을 보인 반면, 서해낙지의 외과립세포층의 세포에서는 3개 정도의 금입자만이 관찰되어 역시 약한 반응을 보였다. 이와 같이 시엽의 각 부위별 면역염색과 면역금표지법을 시행한 결과 2종류의 항체에 각각 양성반응을 보인 신경세포들이 두 종에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했는데 특히 면역염색과 면역금표지법에 관한 반응외 정도를 비교하면 서해낙지에 비해 살오징어에서 비교적 강하게 나타났다.

고순도 β-1.3/1.6-Glucan이 대식세포 및 자연살해세포와 T 세포면역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Purity β-1.3/1.6-Glucan on Macrophages, Natural Killer Cells, and T Cell-Mediated Factors)

  • 권한올;이민희;박수정;이다솜;김혜숙;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564-15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순도 ${\beta}$-1.3/1.6-glucan이 선천면역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식세포와 자연살해세포의 활성화와 적응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 세포 면역계에 대한 면역조절 효과를 살펴보고자 대식세포의 활성능, 자연살해 세포의 활성능, 그리고 T 세포 면역계에 조절작용을 하는 사이토카인, CD4+/CD8+ T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마우스 복강에서 불리한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고순도 ${\beta}$-1.3/1.6-glucan $10{\sim}200{\mu}g/mL$의 농도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고순도 ${\beta}$-1.3/1.6-glucan은 대식세포의 활성능,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능에 도움을 주어 활성능을 증가시켜 외부로부터 침입한 미생물,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T 세포 면역계에 조절작용을 하는 사이토카인과 CD4+/CD8+를 확인한 결과 고순도 ${\beta}$-1.3/1.6-glucan이 사이토카인들의 분비량 및 CD4+/CD8+를 증가시켜 T 세포 면역계에 조절뿐아니라 B 세포 면역계의 조절에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고순도 ${\beta}$-1.3/1.6-glucan은 선천면역뿐 아니라 적응면역에서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하며 면역조절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므로 추후 면역 조절제로서 기능성 식품의 상업화에 기초 자료가 되어 국내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수동면역이 Acanthmoeba culbertsoni 능동면역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ve immunization with Acanthamoebn culbeksoni in mice born to immune mother)

  • 공현호;서성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2호
    • /
    • pp.157-164
    • /
    • 1993
  •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인 Aconaamoebonensoni로 면역된 어미 마우스로부터 태어난 새끼 마우스를 다시 면역시켰을 때, 어미로부터 받은 수동면역이 새끼 마우스의 능동면역 시행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하고자 수막뇌염 발생에 따른 사망률, 혈청내 항체가 측정 및 세포 분리분석기를 이용하여 T세포 아형을 측정하였다. A. culbertsoni 영양형 $1{\;}{\times}{\;}10^6$개로 3회 면역된 어미 마우스로부터 수동면역을 전달받은 2-3주령의 새끼 마우스와 수동면역을 받지 않은 2-3 주령의 새끼 마우스를 영양형 $1{\;}{\times}{\;}10^6$개로 2회 면역하였을 때 혈청내 항체가는 같은 주령의 면역 을 시키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수동면역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간의 혈청내 항체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양형 $1{\;}{\times}{\;}10^4$개를 감염시켰을 때 사망률을 관찰한 결과 수동면역을 전달받은 군은 면역을 받지 않은 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동면역을 받지 않은 군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 T세포의 아형 중, $Ly2^{+}$ T세포는 어미로부터 수동면역을 전달받은 군이 수동면역을 받지 않은 군이나 면역을 시키지 않은 군에 비해 더 높은 비율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수동면역을 받은 부비주령의 새끼 마우스를 같은 방법으로 면역한 군과 대조군을 비교힌 결과, 영양형 $1{\;}{\times}{\;}10^5$개로 감염시켰을 때 사망률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면역된 어미로부터 태어난 새끼를 다시 능동면역하였을 때, 능동면역에 따른 항체가의 변동은 관찰할 수 없었으나 억제 T세포는 증가하였으며, 능동면역 시기에 따라 면역조절이 다르게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피부의 수상돌기 세포 ((Dendritic cells in the skin))

  • 이민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5-44
    • /
    • 1999
  • 수상돌기 세포는 인체의 1차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가장 강력한 항원 전달세포이다. 피부의 수상돌기 세포에는 표피의 랑게르한스 세포와 진피의 수상돌기 세포가 있으며, 이중 표피의 랑게르한스 세포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암, 자가면역 질환, 장기이식, 감염 등의 면역 반응에 가장 중요한 항원 전달 세포인 수상돌기 세포의 이해에 표피의 랑게르한스 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피부질환 중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과 아토피성 피부염에서 랑게르한스 세포의 역할에 관하여 최근 알려진 사실들을 기초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랑게르한스 세포연구에 필요한 실험 방법을 간단히 기술하였다

  • PDF

분자 추출물을 돼지의 비장 면역세포에 처리시 cDNA Microarray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분석 (cDNA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Pig Spleen Lymphocytes in Response to Extract of Raspberry)

  • 정정수;최영숙;임희경;오윤길;;최강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849-85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라즈베리)의 돼지 비장 임파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조사하였다. 복분자의 70% 에틸 알코올 추출물을 돼지 비장 임파구에 처리하였다. 복분자의 추출물은 비장 면역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였으며, 복분자(라즈베리)의 추출물은 돼지 비장 임파구에 대해 CD3-T 세포, CD4-T 세포와 B 세포의 구성분을 증가시켰다. 복분자 추출물은 비장 임파구 세포의 활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면역반응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돼지 비장세포에 복분자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8개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했는데, 이들 중에는 세포구조와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포함되었다. 특히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4, cytoplasmic dynein heavy chain, tumor necrosis factor alpha, 및 lymphotoxin-beta receptor precursor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다. 한편 10개의 유전자는 복분자 추출물에 의해 그 발현이 감소되었다.

가물치 위장관에 있어서 내분비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gastro-entero endocrine cells in the snakehead, Channa(ophicephalus) argus)

  • 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97-303
    • /
    • 1996
  • 가물치의 위장관 내분비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출현빈도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secretin 면역반응세포들은 위의 분문부와 위저부의 상피 또는 장선부에서 소수로 출현하였다. Motilin과 GRP 면역반응세포는 장의 원위부와 위저부의 상피에서 극소수로, PYY 면역반응세포들은 유문맹낭부위와 장의 근위부에서 소수 또는 극소수로 각각 관찰되었다. Substance P 면역반응세포들은 위저부에서 장의 원위부에 걸쳐 소수 내지는 비교적 다수의 출현빈도를 보였으며 또한 장의 원위부 고유층에서는 신경세포가 양성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neurotensin, met-Enk, GIP 면역반응세포들은 전장관에서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아프리카발톱두꺼비(Xenopus laevis)의 위장췌내분비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endocrine cells on the gastro-entero-pancreatic system of the African clawed toad, Xenopus laevis)

  • 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23-529
    • /
    • 1992
  • 아프리카발톱두꺼비(Xenopus laevis)의 위장췌내분비세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5-HT면역반응세포들은 중등도로 전장관에 고루 분포하였다. Gas/CCK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 장선의 기저부와 십이지장 점막상피에서 출현하였다. 소수의 glucagon면역반응세포는 위저부에서 약하게 반응하였고, 췌장에서는 외분비부에서만 관찰되었다. 직장을 제외한 전장관과 췌도 주변부 및 외분비부에서 somatostatin면역반응세포가 관찰되었다. CGs와 insulin면역반응세포는 전장관에서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insulin세포는 췌도의 중앙부와 외분비부에서 단독으로 출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