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력

검색결과 536건 처리시간 0.035초

특집 - 당뇨인의 다른 약제

  •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 월간당뇨
    • /
    • 통권222호
    • /
    • pp.18-19
    • /
    • 2008
  • 의학이 발달하고 식량이 풍부해짐에도 그만큼 현대인들은 많은 종류의 질병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당뇨병환자와 같이 면역력이 약한 환자의 경우에는 그 위험률이 더욱 증가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번 당뇨의 약물치료 특집코너에서 당뇨병 외에 나타날 수 있는 다른 질병에 대한 치료 약물은 어떤 것이 있는 지 알아보자.

  • PDF

백신 프로그램의 디자인과 면역의 기본 원리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29권9호통권335호
    • /
    • pp.168-173
    • /
    • 1997
  • 효과적인 백신 프로그램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질병과 면역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수적이다. 면역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크게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으로 구분하여 이해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이 두 가지 기전은 서로 상호협동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숙주동물(닭)이 병원체이든 백신이든 일단 항원에 한 번 노출이 되면 이를 기억하는 기억 세포를 생성하여 두 번째 노출되었을 때 폭발적인 면역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 순환항체가 형성이 되면, 이 항체는 난황을 통하여 후대 병아리에게 전달될 수 있다. 면역의 형성은 백신이 가진 항원의 특성과 백신의 타입(생독, 사독)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나타난다. 면역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충분히 숙지하고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면 효과적인 백신 프로그램을 선택하기가 용이하다. (1) 전례 : 어떤 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는가? (2) 질병 : 어떤 질병이 문제가 되고 있는가? (3) 균주 : 균주의 차이는 중요한가? (4) 관리 : 백신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할 효과적인 사양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가? (5) 모체이행항체 : 모체이행항체가 적절한 방어력을 가질 수 있을까? (6) 면역증강효과 : 그 중요성과 접종시기가 숙지되어 있는가? (7) 접종기술 : 접종기술에 문제가 있는데 프로그램이 제대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까?

  • PDF

임신돈 사료 내 만삼추출분말의 첨가 급여가 모돈과 자돈의 생산성 및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odonopsis pilosula Extract Powder on the Productivity and Immunity in Sows and Piglets)

  • 김기현;김광식;김조은;정현정;이성대;사수진;홍준기;허태영;박준철;김영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23-435
    • /
    • 2013
  • 본 연구는 만삼추출분말의 모돈 사료 내 첨가급여가 모돈 및 자돈에 있어서 면역력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0두의 F1 임신돈(Landrace ${\times}$ Yorkshire)을 옥수수와 대두박을 기초로 하는 임신돈 기초사료 급여구와 만삼추출분말 0.5% 첨가 급여구로 나누어 각각 10두씩 배치하여 공시동물로 이용하였다. 실험사료를 분만예정일 40일 전부터 분만 후 이유 시(25일)까지 급여하였다. 만삼은 항산화 효과와 더불어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모돈 사료 내 만삼추출분말의 급여는 모돈의 면역능력을 증강시켜 결과적으로 자돈의 면역력 상승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면역력 상승에 따른 보상효과로 자돈의 생산성 및 성장 촉진을 기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만삼추출분말의 첨가급여가 모돈 및 자돈에 있어서 면역력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유 내 IgG 함량과 자돈 혈액 내 IgG 함량 사이의 상관관계는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양의 상관관계(correlation coefficient, 0.435 P=0.102)를 나타내어, 초유 내면역력의 상승은 자돈에 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면역항진 기능을 가진 만삼추출분말의 생리활성 물질은 임신 모돈의 생체 내에서 충분한 면역촉진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면역증강제로써 임신돈 사료 내 만삼추출분말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만삼추출분말 내 생리활성 물질의 생체내 대사 메커니즘과 작용기전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specific IgY의 항균력 (Antimicrobial activity of Specific Ig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 김영붕;노정해;손동화;김희주;성기승;이남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19-1325
    • /
    • 2000
  • 본 연구는 면역화된 산란계로부터 생산된 계란 난황중에 들어있는 S. mutans균주의 specific IgY를 분리하여 면역화 여부, Specific IgY 농도별 및 균수별에 따른 항균력을 현미경적 및 탁도측정에 의한 IgY의 항균력 효과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면역화 여부에 따른 탁도시험 결과 면역처리된 처리구에 crude IgY를 10%와 20% 첨가에 의해 항균 효과가 있었다. 면역을 하지 않은 닭에서 생산된 계란으로부터 추출한 IgY를 10% 첨가구와 대조구에서는 응집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S. mutans로 면역화된 닭에서 생산된 계란에서 추출한 IgY의 10%첨가구는 상등액과 침전물에서는 균들이 응집되는 현상을 보였다. 면역화된 조난황 specific IgY를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S. mutans균들이 응집되는 정도에 있어서 확실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조 난황 specific IgY의 농도별 시험에서는 5%이상 첨가구 들에서는 전반적으로 균체들의 응집현상이 나타났으며 IgY를 2.5% 이하로 첨가한 처리구와는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탁도에 있어서도 조 난황 specific IgY 농도별 시험에서는 첨가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10% 이상 첨가구에서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응집된 균괴의 크기는 IgY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더 커져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균수별에서는 $10^5\;cfu/mL$ 이상 접종구에서는 균체들이 응집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균수가 많을수록 더욱 응집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Plaque 형성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IgY 농도 15%에서는 plaque 형성이 약 75%가 저해되었다. 따라서 면역화된 닭으로 부터 생산된 계란에서 추출된 crude IgY를 사용하여 S. mutans균으로부터 발생된 충치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감기 환자에게 좋은 음식은? 셀레늄이 듬뿍~ 닭고기!

  • 한국계육협회
    • 월간 닭고기
    • /
    • 제16권10호
    • /
    • pp.124-125
    • /
    • 2010
  • 요즘 기온이 떨어지면서 환자 수가 늘고 있는 감기는 '순한 독감'이 아니다. 독감은 한 종류의 바이러스(인플루엔자)가 일으키지만 감기는 다양한 바이러스와 세균의 합작품이다. 전체 감기의 30~40%는 라이노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항생제로 세균을 죽일 수 있지만 바이러스는 어쩌지 못한다. 세상에 '감기 특효약' 이나 '감기 백신' 은 존재하지 않는다. "감기는 약을 먹으면 1주일, 복용하지 않으면 7일 간다"는 말은 이래서 나왔다. 그러나 감기 예방과 증상 완화를 돕는 식품으로 거론되는 것들은 있다. 대개 신체의 자연치유력(면역력)을 높여 주거나 유해산소를 없애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거나 항염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식물들이다. 그렇다면 감기 환자에게 좋은 음식은 무엇일까?

  • PDF

실험적 치아이동에 의한 백서 치주인대내 CGRP 면역 양성 신경섬유의 변화 (The changed expression of CGRP immune-positive nerve in the periodontal ligament of rat molar during tooth movement)

  • 성정옥;박효상;배용철;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81-590
    • /
    • 1996
  • 교정력에 의하여 치주인대내에 생긴 압박측에서는 국소적 염증반응과 골 흡수가 활발히 일어나며 신장측은 골생성이 활발하므로 위 두 부위는 서로 다른 조직반응이 일어난다. 치아이동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CGRP 면역 양성 신경섬유도 압박 및 신장 부위에 따라 다를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등은 CGRP면역 양성 신경섬유의 교정력 적용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고 압박 및 신장력을 받는 부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200gm내외의 생후 9주령 백서 상악 제1 대구치에 Ni-Ti coil spring으로 80gm내외의 교정력을 12시간, 1일, 3일, 7일, 12일동안 가한 후 희생하여 면역 조직화학법으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cdot$ 교정력 적용 12시간 및 1일군에서 압박 및 신장측 모두에서 CGRP 면역 양성 신경섬유가 감소되었다. $\cdot$ 교정력 적용 3일군에서 CGRP면역 양성 신경섬유는 많은 가는 분지가 관찰되며 증가되었고 특히 신장측에서 현저하였다. $\cdot$ 교정력 적용 7일군에서는 비교적 굵은 CGRP 면역 양성 신경섬유도 증가 되었으며 신장측에서 현저하였다. $\cdot$ 교정력 적용 12일군에서 압박측 치주인대에서는 거의 정상과 유사하였으나 신장측치주인대에서는 증가된 채 유지되었다. $\cdot$ CGRP면역 양성 신경섬유는 압박측보다 신장측에서 더 많이 증가하여 치아이동시 CGRP가 말초조직에서 염증반응에 관여함과 동시에 골 개조에도 상당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유세포 분석기와 Neutral Red Retention Assay를 이용한 자연산 참굴(Crassostrea gigas)의 면역력 측정 (Assessment of Immune Parameters of the Wil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using a Flow Cytometry and Neutral Red Retention Assay)

  • 홍현기;강현실;김영옥;최광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37-149
    • /
    • 2012
  • 남해의 광양만과 진해만에 서식하는 자연산 참굴의 건강성 평가를 위해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혈구의 기능들을 유세포 분석기와 Neutral Red Retention(NRR) assay를 이용하여 신속,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광양만과 진해만의 안쪽과 바깥쪽에 서식하는 자연산 참굴의 혈구를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혈구의 종류를 분류하고, 혈구 종류별 수, 사멸률, DNA 손상도, 식세포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NRR assay를 이용하여 혈구의 lysosomal membrane stability를 측정하였다. 참굴의 혈구는 granulocytes, hyalinocytes, blast-like cells의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되었다. 조사 지역 간의 혈구의 수, 사멸률, DNA 손상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식세포율과 lysosomal membrane stability와 같은 면역 관련 기능들은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진해만은 내만과 외만 지역에 서식하는 참굴의 혈구 면역인자들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광양만에 서식하는 참굴은 내만 지역의 섬진대교가 외만 지역의 평산리 지역에 서식하는 참굴보다 낮은 식세포율과 낮은 lysosomal membrane stability를 보여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해양환경 변화와 시료의 면역력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사지역의 환경적 특성이나 오염정도, 그리고 시료 내의 오염물질 축적량 등의 객관적인 분석 결과와의 종합적인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유세포 분석기와 NRR assay를 이용한 참굴 혈구 집단의 형태 변화 및 면역능 측정 기술은 시료의 전처리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세포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분석 tool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노인의 규칙적인 운동이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의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n Elderly Regular Exercise on their Immunity)

  • 장태영;장봉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339-34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남자 65세 이상 규칙적인 운동이 림프구, 단핵구, 호산구, 호중구, 호염기구, IgG, IgA, IgM 등 면역 8변인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관련 2002-2012년에 발간된 국내외 석박사학위논문 8문헌 35자료(집단)의 메타분석을 통하여 종합적인 신뢰성 높은 정보 제시에 있다. 노인 피험자 배경 특성의 동질성을 고려하여 규칙적인 운동 경험이 없는 자료를 선정하였다. 또한 운동 처치는 12주-24주 동안 매주 3회씩 한회 당 60분 정도의 운동이었다. 운동 강도는 피험자 자신이 견딜만한 적당한 유산소성 운동 프로그램이었다. 노인의 규칙적인 운동은 운동전에 비하여 후에 면역 8변인의 평균효과크기는 0.523로 분명히 영향이 있는 크기이었다. 이는 운동 전의 면역 변인이 규칙적인 운동 후에 약 20% 정도 증가한다는 의미이다. 노인의 규칙적인 운동은 면역력을 활성화 하므로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인의 활기차고 건강한 일상생활을 위해 규칙적인 운동 참여를 높이고 지속가능한 과학적인 정보 제공이 병행하여야 하겠다.

정상 면역력을 가진 환자에서 발생한 흉추를 침범한 침습형 폐국균증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 Invaded to Thoracic Vertebra in a Immunocompetent Host - A case report-)

  • 김혁;정기천;박지권;김영학;강정호;정원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1022-1024
    • /
    • 2004
  • 국균은 사람에서 발견되는 진균중 가장 흔한 것이기는 하나 낮은 병원성을 갖고 있다. 국균의 호흡기 감염은 국균종, 기관지폐 국균증,괴사성 및 침습형 폐 국균증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중 괴사성 및 침습형 폐 국균증은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 치료를 받고 있거나, 항암요법을 받는 자, 혈액 이상자 또는 후천성 면역 결핍증 환자 같이 면역 저하자에서 주로 발생하며 정상적인 면역 능력이 있는 자에서는 발병률이 매우 낮다. 본원에서는 정상 면역 능력을 갖은 자에서 흉추에 침범한 침습형 페 국균증을 1예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에 대한 곤충병원세균류 배양액의 곤충면역억제활성 및 비티 생물농약과 혼합효과 (Immunosuppressive Activity of Cultured Broth of Entompathogenic Bacteria on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and Their Mixture Effects with Bt Biopesticide on Insecticidal Pathogencity)

  • 김지민;;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4-191
    • /
    • 2008
  • 곤충병원선충으로부터 분리된 곤충병원세균들(Xenorhabdus nematophila, X. sp. and Photorhabdus temperata subsp. temperata)은 곤충혈강에서 높은 살충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세균들은 또한 phospholipase $A_2$ 효소 작용을 억제하여 면역중개반응을 무력화하여 곤충기주의 면역억제를 유도하게 한다. 본 연구는 이들 세균이 성장된 배양액이 이러한 면역억제 활성을 보유하는 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0.2\;{\mu}m$ 공극 크기의 여과막을 이용하여 세균배양액으로부터 세균을 제거시켰다. 이렇게 멸균된 세균배양액은 배양액 농도에 따라 뚜렷하게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5령충의 혈구세포 활착행동을 억제시켰다. 또한 이러한 억제효과는 세균별로 차등을 보였으며, 이 가운데 X. nematophila의 배양이 가장 높았다. 이 세균의 면역억제 활성 성질을 Bacillus thuringiensis (Bt)의 감염력 제고에 적용하였다. 세 세균 모두의 배양액(세균 포함)들은 낮은 농도의 Bt와 혼합하여 섭식 처리할 경우 어린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서 뚜렷하게 Bt 감염력을 제고시켰다. 다시 이 세균을 제거한 멸균된 배양액을 낮은 Bt농도 처리와 혼합하여 섭식 처리하였다. 이때 X. nematophila의 배양액만이 Bt의 감염력을 제고시켰다. 본 연구는 이들 세 곤충병원세균의 배양액에 곤충의 면역억제물질이 포함되었음을 보였으며, 이들 물질을 Bt와 혼용하였을 때 Bt의 살충력을 제고시킬 수 있음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