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역능

Search Result 48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마우스에 있어서 멱역활성이 돼지회충의 감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munoactivity on Ascaris suum Infection in Mice)

  • 이재구;박배근;서영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3호
    • /
    • pp.279-292
    • /
    • 1991
  • 마우스에의 돼지회충(Ascaris strum) 또는 선모충(Trichinella spiralis) 감염이 sRBC에 대한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다음 전처치로서 선모충을 감염시키거나 또는 cyclophosphamide를 투여하고 나서 돼지회충란을 경구투여하여 그 감염상태와 소장점막내 비만세포와의 관련성 그 리고 비특이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능을 함께 관찰하였다. 마우스에 1,000개의 돼지회충란을 경구투여한 바 지연형 과민반응과 로제트 형성능은 시일이 경과됨에 따라 점점 감소하기 시작하여 각각 5주, 6주에 최저치에 이른 다음 점점 상승하여 10주에 원상으로 복귀하였으며, 적현구 응집소가 및 용현소가는 점점 상승하여 3주에 최고치에 이른 다음 그 후 정상으로 복귀하였으며, 말초힐액내 호산구 및 소장접막내 비만세포 출현율은 각각 4주 및 2주에 최고치를 보였다. 한편, 유충은 1주후에 폐와 간으로부터 총 21.97%가 누수되었다. 마우스에 300마리의 선모충의 감염유충을 경구투여한 바 지연형 과민반응과 로제트 형성능은 시일이 경과 됨에 따라 점점 낮아져 각각 30일 및 21일에 전저치에 이른 다음 그 후부터 다소 높아지다가 70일 및 80일에 다시 일시적으로 낮아졌다. 그리고, 적현구 응집소가 및 용혈소가도 각각 21일 및 90일 에 다른 기보다 낮았으나, 말초혈액내 호산구 및 소장점막내 비만세포 출현율은 각각 40일째 및 14 일째에 다른 기보다 높았다. Cyclophosphamide를 400 mg/kg의 용량으로 마우스의 복륙 내에 투여한 바 체중이나 비장의 중량, 지연형 과민반응, 로제트 형성능, 적혈구 응집소가 및 용혈소가, 백현구 총수, 소장점막내 비만세포 출현율은 투여 후 1일에 비하여 5일에 현저하게 저하되었다가 10일에 다 시 증가하여 1일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복귀하였다. 말포혈액내 호산구 출현율은 시일이 경과함 에 따라 점점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한편, 마우스의 복강 내에 cyclophosphamide를 투여한 다음 1일, 5일, 10일에 각각 1,000개의 감염성 돼지회충란을 투여하고 난 후 7일의 유충각수률은 1일 7.07%, 5일 14.94%, 10일 10.1%이었으며 대조군은 8.02%이었다 유모충을 마우스에 감작감염시키고 나서 각각 30일 및 70일 간격을 두고 감염성 돼지회충란을 도전감염시킨 바 참작감염후 37일과 도전감염후 7일의 시점에 있어서 지연형 과민반응과 로제트 형성능은 고도로 저하하였는데 반하여 소장점막내 비만세포 출현율은 고도로, 말초혈액내 호산구출현율, 적혈구 응집소가 및 용혈소가는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 시점에 있어서의 유충은 대조가 22.18% 회수되었는데 비하여 9.3%밖에 회수되지 않았다. 한편, 감작감염후 77일과 도전감염후 7일의 시점에 있어서 sRBC에 대한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은 전자의 양상과 비슷하였는데 대조에 비하여 지연형 과민반응과 로제트 형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이 시점에 있어서의 유충회수율은 대조가 10.5% 이었는데 비하여 8.3%이었다.

  • PDF

전통된장의 면역증강 효과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Traditional Doenjang)

  • 이창현;윤영;송근섭;김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27-1234
    • /
    • 2011
  • 된장의 면역증강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위장관도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D4^+/CD8^+$ T 림프구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반응에서 된장식이를 첨가한 모든 실험군에서 $CD4^+$ T 세포는 공장의 점막 고유층과 음와 아래의 고유층에서 강한 면역 반응을 나타내었고, 결장에서는 점막 하층과 외막층의 혈관 주위에서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 반면, $CD8^+$ T 세포는 Group III에서 결장의 점막상피, 점막 고유층, 점막하층 및 외막층에서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고, uNOS에 대한 면역 반응에서는 된장 식이를 첨가한 모든 실험군에서 결장 점막하층과 근육층신경얼기에서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 Protein kinase C-${\alpha}$에 대한 면역반응은 Group II와 Group III에서 점막상피와 근육층에서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고, stem cell factor에 대한 면역반응은 된장식이를 첨가한 모든 실험군의 점막상피와 Group I의 근육층에서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별로 된장식이를 첨가한 실험군에서 $CD4^+/CD^+8$에 대하여 강한 면역반응을 보인 것으로 보아 위장관에서 면역능을 증가시킬 것으로 사료되며, uNOS의 증가에 따른 NO의 방출이 위장관의 운동과 혈관운동을 촉진하여 위비움과 결장의 운동을 촉진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농도별로 된장 식이를 첨가한 실험군에서 protein kinase C-${\alpha}$와 stem cell factor에 대한 면역반응이 위장관의 점막상피에서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점막 상피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시켜 여러 가지 물질의 흡수와 전달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면양태아피부추출액(緬羊胎兒皮膚抽出液)의 세포면역(細胞免疫) 기능저하(機能低下)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Immunosuppression Associated with Ovine Foetal Skin Extracts)

  • 전무형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344-351
    • /
    • 1984
  • 3M KCI로 면양태아피부조직(緬羊胎兒皮膚組織) 추출액(抽出液)을 제조(製造)하여 정상면양(正常緬羊)에 접종(接種)했을 때 접종(接種) 면양(緬羊)의 혈청(血淸)에는 임파구아회식능(淋巴球芽會殖能)(Iymphocyte blastogenicity)을 조지(阻止)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임파구(淋巴球)에서 보다 면양인상세포암(緬羊鱗狀細胞癌) 조직항원(組織抗原)에 감작(感作)된 임파구(淋巴球)에서 더욱 현저히 나타났다(P<0.001). Crude 3M KCI 추출액(抽出液)을 Sephadex G-150 Column으로 분획(分劃)했을 때 4개의 protein peak 가 나타났으며, 생체내(生體內)에서나 시험관내(試驗管內)에서 세포면역조지효과(細胞免疫阻止效果)를 나타내는 것은 Peak IV였다. 면양태아피부조직(緬羊胎兒皮膚組織) 추출액(抽出液)과 면양린상세포암조직(緬羊鱗狀細胞癌組織) 추출액(抽出液)의 세포면역기능(細胞免疫機能) 저하효과(低下效果)는 동일한 면역저하인자(免疫低下因子)(immunosuppressor)에 의해서 이뤄진다고 고찰(考察)된다.

  • PDF

닭 전염성 기관지염 바이러스에 대한 단클론 항체 생산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y to Avian Infectious Bronchitis Virus)

  • Lee, Chung-Gil;An, Soo-Hwan;Kwon, Joon-Hun;Park, Chung-Ok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16
    • /
    • 1992
  • 마사츄셋형 전염성 기관지염 바이러스(IBV)를 SPF 발육란의 뇨막강내에서 증식시켜 Sucrose 밀도구배 초원심분리에 의해 정제한 다음 BALB/c 마우스에 면역시켰다. 면역 마우스에서 채취한 비장세포와 마우스 골수암세포와 여러 차례 융합시험을 실시하였다. 많은 융합세포 중에서 IBV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단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 : MCA)를 산생하는 hybridoma클론은 2주밖에 얻지 못했다. 2주의 MCA는 모두 IgG형이었고 IBV중화능이나 혈구응집 억제능이 인정되지 않았다. 간접형광항체법으로 작성된 MCA를 이용하여 인공접종한 닭의 기관도말표본에서 10일간의 시험기간중 계속 IBV를 검출할 수 있었다.

  • PDF

스피루리나 복용이 노인의 혈중 지질 농도, 항산화능 및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irulina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nt Gapacity and Immune Function in Korean Elderlies)

  • 김화영;박지예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3호
    • /
    • pp.287-297
    • /
    • 2003
  • This intervention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 of spirulina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nt capacity, and immune function in elderly Koreans. The subjects were 6 male and 6 female people between the ages of 60 and 75, who were given spirulina supplements of 7.5 g/day for 24 weeks. Dietary intak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assessment for plasma lipid levels, antioxidant status and immune function were measured before and throughout the intervention period. Before entering the study, the subjects were in relatively good health. Their nutrient intake was satisfactory, and anthropometric indices and plasma nutrient level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Spirulina supplementation for 24 weeks did not affect dietary intake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However, considerable changes were observed in blood lipid profiles, antioxidant capacity, and immune indices.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s, total- and LDL-cholesterol decreased from 4 weeks of the supplementation period. The antioxidant capacity improved, as shown in increasing TAS and decreasing TBARS after supplementation. Improved immune function was also observed as the PBL lymphocyte proliferation rate and plasma C3 levels increased. The above effects of spirulina supplementation did not differ between mild hypercholesterolemic (cholesterol $\geq$ 200mg/d1) and normochole-sterolemic (cholesterol < 200 mg/dl) subjects.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spirulina could be used as dietary supplementation in nutritionally vulnerable groups to improve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and to prevent chronic disease such as hyperlipidemia or oxidation-prone diseases. further studies in this area with various population groups are warranted.

STUDIES ON CYTOTOXICITY AND ANTITUMOR ACTIVITY OF KOREAN PHARMACEUTICAL HERBS

  • Ryeom, Kon;Lee, Young-Kee;Shin, Suck-Woo;Jung, Byung-Ki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62
    • /
    • 1995
  • 한국산 천연자원중 한방이나 민간요법에서 항종양제로 빈번히 사용되어온 생약들 중에서 103종을 선정하여 이들 성분들을 추출하고 시험관내에서 항종양성이 우수하고 정상세포에 손상을 적게 주는 생약 6종을 선별하여 암세포주에 대한 독성능 (in vitro)과 항종양성 면역감시기구(in vivo)및 LD$_{50}$등을 측정하여 항종양제로의 신약개발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방법: 선별된 6종의 생약유효성분을 METHANOL로 추출하여 조추출물을 얻었으며 이물질들을 순차적으로 각각의 유기용매로 추출, column chromatography법으로 분획하였으며 분획분에 대한 암세포독성능은 MTT colorimetric 검정법을 이용하여 IC$_{50}$값을 구하였다. 면역감시기구 측정방범으로는 Balb/c mouae암,수 각 10수씩에 P388암세포주를 접종한군과 접종하지 않은 실험군에 생약추출분획물 8.6mg/0.2ml씩 20일간 매일 경구 투여시키고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 0.2ml씩을 매일 경구 투여시켜 NK cell의 활성 MIF Recombinant IL-2로 유도시킨 NK cell활성능, chemotaxis등을 측정하였다. 생체내 항종양능 시험은 tumor panel system에 따라 mouse leukemia cel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분획성분의 투여용량은 실험동물에서 독성실험결과로 LD$_{50}$량을 구해 항암효과 평가시에 Maximum dose로 하였고 최고용량을 기준으로 일정한 공비를 적응하여 3단계의 투여량을 설정하였다. (중략)

  • PDF

정신과(精神科) 입원(入院) 환자(患者)의 C형(型) 간염(肝炎) 항체(抗體) 양성솔(陽性率) (Detection of Antibody to Hepatitis C Virus in Psychiatric Inpatients)

  • 전진숙;한호성
    • 생물정신의학
    • /
    • 제2권1호
    • /
    • pp.100-106
    • /
    • 1995
  • 직접적인 근거를 제시하기는 힘드나 정신장애에서 자가면역적 요소가 병인적으로 중요하다는 단편적인 보고들이 있다. 특히 바이러스 감염은 정신장애를 유발하거나 나중에 정신장애에 대한 소지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다. 저자들은 최근에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C형 간염 항체(이하 anti-HCV)의 양성율이 자가면역적 관점 및 수혈 외에도 성행위 또는 약물의 존자에서 많다는 전파경로상의 특정 때문에 정신과 환자에서 일반 인구군보다 높을 것으로 추정되어 이를 확인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2년 12월 초부터 1994년 5월 말까지 정신과에 입원한 환자 중에서 무작위로 효소면역측정법 (Abbott HCV EIA kit) 에 의해서 혈청내 anti-HCV를 검사하였으며, anti-HCV 양성 환자와 anti-HCV 음성인 환자를 구분하여 여러 변인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정신과 입원환자 113명중 12명(10.6%) 에서 anti-HCV 양성이었다. anti-HCV 양성자중 간기능검사상 이상이 있는 경우가 50.0% 로서 이중 83.0%는 주정 의존자였으며, 간기능검사상 정상인 환자의 83.3%는 비주정의존자였다. 정신과 진단별 anti-HCV 양성율은 주정의존 환자의 22.2%, 정신증 환자의 2.3% (주로 양극성장애), 신경증(불안장애, 적응장애)환자의 22.2%에서 anti-HCV 양성이 나타났다. 연령, 출생계절, 임파구(%), 간기능 등 변인에 대한 유의한 상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정신과 입원환자는 정상 대조군 (3.0%)에 비해 최소한 3.5배 이상 anti-HCV 양성율이 높으므로 (P<0.05), 이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다.

  • PDF

2주 동안의 톳 추출물 투여가 마우스의 비장세포와 Cytokine ($IL-1{\beta}$, IL-6, $TNF-{\alpha}$)의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 류혜숙;정윤희;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7호
    • /
    • pp.624-629
    • /
    • 2007
  • 생체 내 (in vivo) 실험에서 톳 추출물을 2주 동안 격일로 0, 50, 500 mg/kg B.W.의 농도로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후 비장세포 증식능 및 복강 대식세포에서 분비하는 cytokine ($IL-1{\beta}$, IL-6, $TNF-{\alpha})$ 생성량을 검색한 결과 50 mg/kg B.W.과 500 mg/kg B.W.의 농도에서 Con A나 LPS로 자극 시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비장세포 증식능을 보였고 특히 50 mg/kg b.w. 농도로 투여한 군에서 비장세포 증식능이 최대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복강 대식세포에 의한 cytokine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LPS 첨가시 $IL-1{\beta}$의 분비량은 2주 경구 투여 시에 50 mg/kg B.W.의 농도군에서 가장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 이는 LPS를 투여한 군과 투여하지 않은 군에서 모두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IL-6 분비량은 LPS 첨가시 50 mg/kg B.W.의 농도 투여군에서 가장 높은 생성을 나타냈다. $TNF-{\alpha}$의 경우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톳 열수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작용하여 사이토카인 생성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톳 추출물은 마우스 면역계의 조절기전에 작용하여 비장세포와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면역세포 활성을 직접적으로 촉진시키거나 또는 이와 관련된 다른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면역 활성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리라 사료된다.

어성초 추출물 첨가가 마우스 면역능 증진에 미치는 영향 (In vitro and Ex vivo Supplementation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 and Immunomodulating Effect in Mice)

  • 김진;류혜숙;신정희;김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7-175
    • /
    • 200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야산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식물인 어성초를 이용하여, 시험관 내 실험 및 생체 내 실험을 실시하여 어성초의 면역증강제로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시험관 내 실험에서는 건조시켜 분쇄한 어성초를 메탄올로 추출한 후 극성에 따라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추출하여 비장세포 증식능과 복강대식세포에 의한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교적 극성이 높은 부탄을 분획물과 물 분획 물 첨가시에 비장세포 증식능이 250 $\mu\textrm{g}$/mL의 농도군에서까지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IL-1$\beta$와 TNF- $\alpha$는 클로로포름과 물 추출물을 첨가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은 양이 분비되었고, IL-6 는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층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이들 세가지 사이토카인의 분비 수준은 모두 B 림프구를 자극하는 미토젠인 LPS보다는 높았으므로, B 림프구 자극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관 내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2주간 격일로 어성초 열수 추출물을 마우스에게 직접 경구 투여하고 비장세포 증식능과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IL-l$\beta$, IL-6, TNF- $\alpha$)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장세포 증식능은 ConA와 LPS로 처리시 어서초 추출물을 500 mg/kg bw 농도로 투여 한 군에서 각각 최대의 비장세포 증식을 보였다. 활성화된 복강 대식 세포에 의한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500 mg/kg bw와 1000 mghg bw의 농도로 투여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은 양의 IL-6를 분비하였고, 500 mg/kg bw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많은 양의 TNF-$\alpha$를 분비하였다. 그러나, IL-1$\beta$의 분비량은 대조군에 비해 오히려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성초의 투여가 IL-$\beta$ 분비를 자극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성초 열수 추출물을 생체내에 적용시켰을 때 비장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복강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IL-6와 TNF- $\alpha$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적정 양은 500 mg/kg bw 정도인 것으로 사료된다. 비장세포 증식능과 복강 대식 세포 활성화를 통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어성초는 비교적 극성이 높은 용매에 용해되는 부분에 면역증강효과가 있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앞으로는 그 성분에 대한 순수 분리 및 이를 동정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고, 이는 식품소재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버섯의 항암효과 -영자 균사체 다당류의 항종양 활성-

  • 이준우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1997년도 창립 10주년기념 학술심포지움 행사집
    • /
    • pp.13-14
    • /
    • 1997
  • 영지의 약리효과는 triterpenoid계의 저분자와 polysaccharide인 고분자로 대별할 수 있다. 저분자 물질은 항염증작용, 항알러지작용, 간암세포 성장 억제작용, 혈압 강하작용, 혈소판 응집저해작용 등이 있으며, 고분자 물질은 혈압강하작용, 정혈작용, 고지혈증 개선작용, 혈당 강하작용, 면역 증강작용 및 항종양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의 영지에 관한 연구는 주로 자실체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의 산지, 환경조건, 채집시기 및 실험자들에 따라 약리 효과 등에 많은 차이가 있다. 이들에 대한 효과가 영지의 대표적 약리효과라고 언급하기엔 부족한 점이 많으므로 약리효과가 우수하고 일관성이 있는 영지 유래 다당류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균사체의 대량배양법 및 분리방법이 확립 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항암활성 다당류의 개발을 위해 국내 자생 영지를 채집하여 검색 및 계통적 분류를 행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최적 액체배양 조건, 다당류 분리 조건, 다당류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약리활성 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약리활성이 우수한 G- lucidum IY009 균주를 선발 하였다. 구조적 특징과 종양 면역 활성과의 관계 규명을 위해, G- lucidum IY009 배양균사체로부터 다당류를 T-AS, U-AS, M-AS, S 및 H로 분획 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다당류 GLG의 수율은 열수 추출 분획이 2.98g/l로 가장 높았으며, U-AS및 T-AS에서 각각 2.32g/l, 2.07g/l이었다. GLG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용성과 비수용성으로 분리한 결과 수용성 분획은 비수용성 분획보다 높은 당 함량을 나타냈으며, T-AS는 70.3%의 당과 7.8%의 단백질로 구성 되었다. GLG 대부분의 분획들은 60~93%의 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으며, 주로 $\beta$-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다. 아미노산은 Asp 및 Glu의 산성 아미노산과 Ala, Leu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알칼리 추출물에서 Ser과 Thr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는 평균 분자량이 2,000 kD와 12kD에서 주 peak를 나타냈으며, 수용성 분획의 평균 분자량은 12kD이고 비수용성 분획은 36~2,000 kD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R과 NMR 분석 결과 890 cm-1에서 흡수 peak를 나타내어 $\beta$-(1,3)0glucan과 $\beta$-(1,6)-glucan의 구조를 갖는 다당류로 확인 되었다. T-AS 분획은 C:H:O:N의 함량비가 38.9:5.7:49.6:1.84%이며, 이 물질의 융점은 163 $^{\circ}C$로 연한 갈색을 나타낸다. 분리된 GLG의 항암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in vivo 항암실험, 항보체 활성능, 항체 생성능, serum protein 분비능, 대식세포의 탐식능과 활성능 및 세포간 물질 분비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당류 GLG 분획물들 가운데 항보체의 활성이 높았던 분획은 sarcome 180에 대한 항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의 보체 활성화 기작은 classical과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의 양 경로를 통해 활성화 되었다. T-AS 분획은 mouse내의 특정 혈청단백을 증가시켰으며, 항체 생성능의 증가가 관찰되어 effect T 세포의 활성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AS는 생체내 투여시에 대식세포의 탐식능이 증진되었으며, 대식세포 기능 저해제에 의한 대식세포의 기능 저해 현상이 회복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부터, T-AS의 항암 활성은 활성화된 보체 성분 및 당 수용체들이 존재하는 대식세포의 개입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