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멜라민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7초

고질소 둔감에너지 물질인 DNAM(Dinitroammeline) 합성공정 개발 (Synthesis of a Nitrogen-rich Insensitive Energetic Material, DNAM(Dinitroammeline))

  • 설민정;김민준;김진석;김승희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0-57
    • /
    • 2016
  • 본 논문은 DNAM(Dinitroammeline)합성공정 개발을 위한 Lab scale 합성 과정을 소개하고 분석결과를 기록한 것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Melamine을 출발물질로 하여 니트로화와 산화 반응을 통해 DNAM을 합성하였다. 수율과 순도의 최적 조건을 찾기 위해 투입순서, 반응시간, 반응물 당량 등을 변경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DNAM 합성의 최적화된 조건은 3시간에서 3시간 30분 정도 반응시간이고, 니트로화 혼합물의 무게비는 1:1.4(아세트산 무수물:농질산)이며, 최종 수율은 60% 이상이다.

멜라민이 코팅된 수산화마그네슘 입자의 제조와 그 복합입자의 난연특성 (Preparation of Mg(OH)2-Melamine Core-Shell Particle and Its Flame Retardant Property)

  • 임형미;윤준호;정상옥;이동진;이승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691-698
    • /
    • 2010
  • Magnesium hydroxide-melamine core-shell particles were prepared through the coating of melamine monomer on the surface of magnesium hydroxide in the presence of phosphoric acid. The melamine monomer was dissolved in hot water but recrystallized on the surface of magnesium hydroxide by quenching to room temperature in the presence of phosphoric acid. The core-shell particle was applied to low-density polyethylene/ ethylene vinyl acetate (LDPE/EVA) resin by melt-compounding at $180^{\circ}C$ as flame retardant. The effect of magnesium hydroxide and melamine content has been studied on the flame retardancy of the core-shell particles in LDPE/EVA resin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process and purity of magnesi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prepared with sodium hydroxide rather than with ammonia solution revealed higher flame retardancy in core-shell particles with LDPE/EVA resin. At 50 wt% loading of flame retardant, core-shell particles revealed higher flame retardancy compared to that of the exclusive magnesium hydroxide in LDPE/EVA composite, and it was possible to satisfy the V0 grade in the UL-94 vertical test. The synergistic flame retardant effect of magnesium hydroxide and melamine core-shell particles was explained as being due to the endothermic decomposition of magnesium hydroxide and melamine, which was followed by the evolution of water from the magnesium hydroxide and porous char formation due to reactive nitrogen compounds, and carbon dioxide generated from melamine.

마그네슘 첨가 합금도금강판을 이용한 칼라도장강판의 내식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osion resistance of color coated steel sheet using Magnesium-adopted alloy plated steel sheet)

  • 이경황;양지훈;정재인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44
    • /
    • 2018
  • 칼라도장강판은 금속 제품의 제품화 공정 중에 도장 공정을 생략함으로 경제적이며, 제조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배출 염려가 없어 건축 및 가전 산업에 다용되고 있다. 칼라도장강판은 용융아연도금강판(GI), 전기아연도금강판(EGI), 용융알루미늄아연합금도금강판 등이 기재로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 마그네슘 성분이 첨가되는 고내식 도금강판 개발과 함께 고내식 도금강판을 이용한 칼라도장강판의 개발 및 수요 발굴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칼라강판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도막 밀착성 확보를 위한 화성처리층, 기재와 도막간의 밀착성과 내식성 개선을 위한 하도층(primer layer), 가공성, 내오염성, 의장성 등의 기능성 부여를 위한 상도층(top layer)의 구조로 도장되어 있다. 도료는 가공성, 내오염성, 경도 등의 기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계가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경화제로는 멜라민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칼라도장 강판은 197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보급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화성처리층은 밀착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크로메이트처리가 널리 사용되고, 하도층은 방청성이 우수한 크로메이트계 방청 안료를 함유시킨 도료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기전자 제품에 적용되는 칼라도장강판은 2006년에 RoHS 규제의 시행과 더불어 6가 크롬 사용 제한의 영향으로 크롬프리 화성처리가 일반화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그 동안 6가 크롬 제안이 유보적이었던 건축용 칼라도장강판 또한 크롬프리 화성처리층 및 크로메이트계 방청 안료의 하도층 적용을 회피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고내식 합금도금강판을 기재로 사용하고 기존의 화성처리층과 하도층에 크롬프리 수지를 적용하는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그네슘이 첨가된 고내식 합금도금강판으로 Al-Mg-S i강판과 용융 Zn-Al-Mg 합금도금강판에 기존의 상용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크롬계 및 크로프리 화성처리 적용 칼라도장강판에 대한 내식성 등 칼라도장강판의 특성에 대해 발표한다.

  • PDF

Cloisite 30B와 멜라민포스페이트를 함유한 Poly(oxydiethylene adipate urethane) Composites의 합성과 열분해 특성 (Synthesis and Thermal Degradation of Poly(oxydiethylene adipate urethane) Composites Containing Cloisite 30B and Melamine Phosphate)

  • 신승욱;이상호
    • 폴리머
    • /
    • 제36권5호
    • /
    • pp.643-650
    • /
    • 2012
  • 폴리우레탄의 열적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poly(oxydiethylene adipate)-diol(PAD), 4,4'-MDI, Cloisite 30B(30B), melamine phosphate(MP)를 사용하여 poly(adipate urethane)(PAU)과 PAU/30B(30B 2.7 wt%), PAU/MP(MP 2.2 wt%), PAU/30B/MP(30B 2.2 wt%, MP 2.2 wt%) 복합체를 합성하고 열분해 특성을 연구하였다. PAU 복합체에서 Cloisite 30B와 MP의 분산을 안정하고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adipic acid와 diethylene glycol의 에스테르 반응 단계에서 Cloisite 30B와 MP를 도입하였다. $250^{\circ}C$ 이하에서 PAU 복합체가 순수 PAU보다 더 빠르게 열분해 되었다. 고온에서는 30B와 MP에 의하여 열안정성이 개선되어 분해속도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700^{\circ}C$ 잔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위험 지각이 소비자 태도 및 식품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멜라민 함유 식품군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Risk Perception upo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Behavior - Focusing on Melamine-Contained Food-)

  • 최은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81-490
    • /
    • 2010
  • The shock of melamine-contained food has been known with the incident of hospitalization or death of infants at the age of 11-month old in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sumers' risk perception, attitude and purchase behavior of melamine-contained food which recently came to the fore as a social issu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behavior based on physical risk, social risk, psychological risk, financial risk,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behavi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our factors of risk perception of melamine-contained fo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consumers. Consumers regarded social risk as most significant and it was followed by financial risk and psychological risk. And they regarded physical risk as most insignificant.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of risk perception by demographic features, such factors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schooling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Third, the potential risk of melamine-contained food had a negative influence upo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behavior. In additio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behavior were decided by perceived risks. This finding implies that consumers' attitude can accompany with negative or positive behavior and consumers' behavior can be related to social, financial and physical risks. Because the risk perception of melamine-contained food can cause consumers' distrust about all kinds of food in general, domestic manufacturers of milk product-contained confectionery and food can be harmed.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nd make consumers purchase all the milk products and milk-contained food without fear, governmental agencies must reestablish systems with which the safety of imported raw materials and its processing can be insured and manufactures must improve the quality of products in a diverse and discriminative manner. This study seems to be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consumers' risk perception of melamine-contained food, a current social issue, and then looked into the influence of risk perception upon consumers" attitude and behavior, thus presenting the strategy of reestablishing the system of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 entities in a desirable manner.

마이크로캡슐이 내재된 자기치유 아스팔트에 관한 연구 (Study on Self-Healing Asphalt Containing Microcapsule)

  • 권영진;홍영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3호
    • /
    • pp.232-240
    • /
    • 2013
  • 자기치유형 아스팔트를 구현하기 위하여 치유제로 디메틸페놀을 사용하여 내부층을 이루고 바깥층이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진 마이크로켑슐을 제조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이 내재된 아스팔트는 일반 아스팔트에 비해 높은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었다. 그대로 길어질수록 마이크로캡슐이 함유된 아스팔트는 함유되지 않은 아스팔트보다 더 높은 충격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15일의 휴식기간에 최초의 물성을 회복하였다. 이는 X-선 사진에서 보듯이, 깨어진 아스팔트 경계면에 있던 마이크로캡슐이 아스팔트와 동시에 깨지면서 캡슐 안에 있던 단량체인 디메틸페놀이 흘러나와 외부의 반응촉매 투입 없이 아스팔트 자체의 금속촉매와 아민촉매 및 공기 중의 산소분자에 의하여 열가소성 고강성 플라스틱 고분자인 폴리페닐렌옥사이드가 자율적으로 중합되면서 깨어진 아스팔트의 경계면을 메우면서 최초의 물성으로 복구된 것이다. 이는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아스팔트는 자가복구능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사용한 다층 조립 구조 캡슐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ultilayer Microcapsules using Biocompatible Polymers)

  • 전우홍;김광연;김규현;하창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2호
    • /
    • pp.178-18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들의 자기 조립 특성을 이용하여 마이크론 단위의 캡슐을 제조하여, 캡슐 내부에 단백질을 넣고 시간과 pH에 따른 방출 거동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과 헤파린 그리고 알지네이트를 사용하여 동공(hollow) 캡슐을 제조하였다.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표면에 전하를 가지는 마이크론 단위의 core를 제조한 후, 음전하를 가지는 헤파린 혹은 알지네이트를 core 위에 흡착시키고, 양전하를 띠는 키토산을 흡착시킨 후, core 위에 교대로 흡착시켜 Multilayer를 형성시켰다. 4 층을 쌓은 후에 HCl을 이용하여 pH 2로 조절하면, core는 제거되고 속이 비어 있는 캡슐을 제조할 수 있었다. 동공 캡슐은 투과전자현미경, 표면주사현미경 및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러한 캡슐은 pH에 따라서 각기 다른 거동을 보이는데, 본 연구에서는 내부에 FITC-albumin을 넣어 UV분광기로 방출되는 상대적인 양을 관찰한 결과, 키토산-헤파린 캡슐과 키토산-알지네이트 캡슐은 각기 다른 pH에서 개폐됨을 알 수 있었다.

염석법을 이용한 비공유 기능기화된 그래핀 나노플레이트렛의 분리 공정 연구 (Separation of Non-covalently Functionalized Graphene Nanoplatelets via Salting-out Process)

  • 김준희;유승찬;차재민;류호진;홍순형
    • Composites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134-140
    • /
    • 2019
  • 그래핀 나노플레이트렛(GNP)은 현시점에서 가장 산업화 적용에 가까운 그래핀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 GNP는 그 우수한 생산량에도 불구하고 응집현상과 물리화학적 불균질성으로 인해 복합재에서의 강화재로 사용되기에는 제한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GNP의 문제 해결을 위해 산업화 레벨의 대량생산 공정으로 확장 가능한 비공유 기능기화공정을 이용하여 GNP를 기능기화하였다. 본 기능기화 공정은 저렴한 물질로 알려진 멜라민을 사용하여 GNP의 응집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극성 용매내에서의 분산성을 향상시켰다. 뿐만 아니라 기능기화된 GNP의 분산성의 차이를 이용한 염석법 공정을 적용, GNP를 크기 별로 정제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언급한 기능기화와 분리 공정을 기반으로 하여 GNP의 복합소재/부품 산업 응용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분말상 탄닌수지를 이용한 파티클보드 제조기술 및 물성개선 (Improvement of Particleboard Manufacturing Process and its Properties Using Powdered Tannin Adhesives)

  • 강석구;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80-87
    • /
    • 2004
  • 천연접착제인 분말상 탄닌수지를 사용한 파티클보드의 물리·기계적 성질의 개선을 위하여 분말상 탄닌수지와 액상 탄닌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한 결과, 30:70 (분말 : 액상)의 혼합비가 최적조건이었으며 분말상 탄닌 수지의 비율이 높으면 물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으며 또한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이 E0 수준의 고내수성 제품을 제조할 수 있었다. 한편 요소수지 및 멜라민수지와 분말상 탄닌 수지와의 혼합방법은 물리·기계적 성질의 개선에 영향을 주지 못했으며, 유리포름알데히드 방산에 대한 scavenger의 역할만을 하였다.

구조용 집성재의 접착제 종류 및 접착면 방향성에 따른 내화성능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ire Resistance in Glued Laminated Timber: The Impact of Adhesives and Surface Direction)

  • 최윤정;안재홍;백권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61-772
    • /
    • 2023
  • 목구조 내화설계는 탄화두께를 이용하여 설계에 반영할 잔존단면을 산정하여 구조설계에 반영한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목재의 특성에 따라 탄화두께를 제시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내화시험을 통해 탄화두께를 산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구조용 집성재에 사용되고 있는 접착제별로 구조용 집성재를 제작하여 접착제 종류에 따른 탄화특성과 접착면의 방향성에 따라 내화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집성재 집성 시 사용되는 접착제중 멜라민이 내화성능에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레소시놀, 폴리우레탄 순이었다. 또한 적층면보다는 적층단면이 접착제의 영향으로 인해 탄화속도가 커서 내화성능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