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메틸셀룰로오스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3초

박테리아 펠렛을 자기치유 소재로 사용한 모르타르의 강도 및 치유성능 (Strength and Healing Performance of the Mortar using Bacterial Pellet as a Self-Healing Material)

  • 장인동;손다솜;류영웅;박우준;이종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12-1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메틸 셀룰로오스를 기반으로 제작한 박테리아 펠렛을 모르타르에 혼입하였으며, 펠렛 혼입에 따른 모르타르 내부 생존률과 강도, 정수위 투수실험에 의한 균열 치유율을 조사하였다. 펠렛은 복합 배양한 박테리아 포자 분말과 메틸셀룰로오스, PVA 영양소 2종과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압 프레스를 통해 압출되어 지름 2mm~길이 3~4mm의 형상을 갖는다. 셀룰로오스 펠렛은 중성 pH에서 팽창하여 박테리아와 영양소를 방출하고, 염기성 환경에서 반응하지 않는 성질을 띄어 시멘트 모르타르 내부 박테리아의 장기 생존률이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펠렛 혼입 모르타르는 정수위 투수실험을 통한 균열 자기치유 성능이 대조군 모르타르에 비해 현저히 상승하였다. 셀룰로오스 기반 펠렛은 새로운 종류의 박테리아 담체 시스템으로 추후 펠렛 개량 및 최적화로 자기치유 콘크리트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실란처리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상전이된 칼슘포스페이트 복합체 골시멘트의 제조 및 특성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lanized-hydroxypropyl methylcellulose/phase transformed calcium phosphate composite bone cements)

  • 정나현;김동현;조훈상;윤석영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43-251
    • /
    • 2016
  • 실란처리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상전이된 칼슘포스페이트 복합체 시멘트는 향상된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주입이 가능한 골시멘트로서 제조 되었다. 복합체 시멘트의 고체상과 액체상으로서 상전이된 칼슘포스페이트와 실란처리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의 결정구조 및 화학적 상태는 XRD 및 FT-IR에 의해 측정 되었고, 시멘트의 조작성 및 기계적 물성은 주입성 및 3점 굽힘 시험에 의해 측정하였다. 체외에서 진행된 골시멘트의 기계적 물성, XRD 및 SEM 결과는 골시멘트의 고유 기능으로서의 향상된 경화거동을 보였다. 또한 골시멘트의 세포독성 결과 향상된 생체적합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주입이 가능한 시멘트는 생체의학 응용에 대한 칼슘포스페이트 시멘트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되어진다.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한 항균 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Films Using Water Soluble Polymer)

  • 최준호;최유성;오일홍;김맹수;이인화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4호
    • /
    • pp.449-4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 PVA)와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MC)를 사용하여 항균성을 갖는 필름을 제조하였다. 메틸셀룰로오스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 ampicillin(0.025~1wt%)과 streptomycin(0.1~1.0 wt%)을 첨가하여 함량에 따른 기계적인 물성과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중합도와 검화도에 따른 PVA 필름의 기계적인 물성을 보면 중합도와 검화정도에 따라 필름의 인장강도가 20.2~51.5 $N/mm^2$이었고, 메틸셀룰로오스 필름의 경우 점도에 따라 15.44~21.70 $N/mm^2$이었다. 사용한 균주와 항균제의 함량정도에 따라 그 기계적인 물성과 항균활성에 차이를 보였지만 함량이 늘어날수록 전체적으로 기계적인 물성은 약간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항균필름의 항균활성은 우수하였다. Ampicillin과 streptomycin을 사용하여 제조한 항균필름의 항균활성은 포도상 구균과 대장균을 disc diffusion test로 확인하였다. 메틸셀룰로오스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모두 streptomycin보다 ampicillin을 함유할 때 항균활성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천연고분자 첨가에 의한 쌀국수 제면성 연구 (Study on the noodle-making properties of rice added with natural polymers)

  • 조희정;유영진;강미영;엄인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9권
    • /
    • pp.55-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자체 성분으로는 제면이 어려운 쌀가루에 대해서 제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잔탄검, 구아검, 결정셀룰로오스,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천연고분자를 첨가한 후 첨가량과 물양을 달리하여 제면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 네 가지의 천연고분자 중에서 잔탄검이 가장 우수한 제면성을 보였고, 결정셀룰로오스가 가장 제면성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천연고분자의 물에서의 용해정도와 유변물성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잔탄검의 경우 수용액 상태에서도 가장 높은 점성을 보이기 때문에 쌀가루에 혼합되었을 때 쌀입자들을 잘 뭉치게 할 수 있는 특성 역시 커 가장 우수한 제면성을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네 가지의 천연고분자 시료 모두 쌀의 제면성에 있어 첨가량과 물양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탄검의 경우, 잔탄검 함량 3%, 물량 64~68%에서 가장 우수한 제면성을 보였고, 구아검의 경우 2~3% 구아검 함량과 66% 부근의 물량에서 제면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셀룰로오스를 첨가했을 경우에는 쌀반죽의 제면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으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첨가한 경 우에는 3% 첨가량과 64%의 물량에서 최적의 제면성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결정셀룰로오스를 제외한 세가지 천연고분자를 이용했을 때 쌀의 제면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쌀면을 제조하는데 있어 천연고분자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효과적인 쌀면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쌀반죽의 제면성뿐만 아니라 조리특성 및 식감 역시 우수해야 하므로,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 PDF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첨가에 의한 쌀국수 제면성 연구 (I) (Study on the noodle-making properties of rice added with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I))

  • 유영진;강미영;엄인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61-6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쌀국수를 제조하기 위하여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HPMC)가 사용되었고, 물 첨가량, HPMC 첨가량, HPMC의 점도가 쌀반죽의 제면성이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첫 번째 롤러를 통과한 쌀반죽의 형태가 더 반듯하고 균일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물 첨가량이 특정 범위를 넘어서자, 제면 후의쌀국수의 형태가 굴곡이 심한 문제가 있었다. HPMC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면성을 살펴본 결과, 3% 함량이 쌀반죽의 우수한 제면성을 위해 최적의 조건임이 확인되었다. HPMC의 점도가 감소할수록 롤러를 통과한 쌀반죽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점도가 가장 낮은 PMC 40H를 첨가한 경우, 높은 물 첨가량에서도 제면 후 면의 형태가 곧은 형태가 나타나 제면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험한 범위에서는 56~58%의 물첨가량, 3% 함량의 HPMC 첨가, 고점도 HPMC(PMC60U) 사용이 가장 우수한 제면을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생각된다.

  • PDF

식용코팅이 미숙 자두의 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dible Coatings on Softening of the Stored Immature Plums)

  • 송태희;김철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317-323
    • /
    • 1999
  • 칼슘을 첨가한 메틸셀룰로오스(CaMC)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CaHPMC-15)의 식용코팅을 미숙자두에 처리하여 자두의 연화 현상을 알아보았다. 비코팅 자두는 저장 기간 동안 중량 및 호흡률 감소 현상을 나타내었고, 적정산도는 감소하였으며, pH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CaMC와 CaHPMC-15를 코팅하였을 때 초기의 중량감소와 호흡률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연화의 지표로 사용되는 수용성 펙틴 함량과 polygalacturonase(PG)의 활성은 저장 중 증가하였으며, pectin esterase(PE)의 존재 또한 확인되나 CaMC와 CaHPMC-15식용코팅에 의하여 연화현상을 억제하였다.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기계적 경도가 감소되었으나 식용코팅에 의하여 자두의 경도 유지 효과가 있었으며, 관능검사 결과 저장 기간 중 자두 조직의 연화가 감지되었고 코팅자두의 경우 비코팅자두보다 더 단단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미숙자두에 CaMC와 CaHPMC-15를 코팅함으로서 수확 후 연화현상을 억제할 수 있었다.

  • PDF

자원순환형 선인장 줄기 분말을 혼입한 모르타르의 굳지 않은 특성과 강도 (Fresh and Strength Properties of Mortar Produced with Recycled Cactus Stem Powder)

  • 김효정;권기성;이가연;이긍주;김윤용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65-37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열매를 수확한 후 폐기되는 손바닥 선인장 줄기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선인장 줄기 분말을 시멘트계 재료의 혼화제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인장 줄기 분말을 혼입한 모르타르의 굳지 않은 특성과 강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기존의 당류계 혼화제인 지연제 설탕과 증점제 메틸셀룰로오스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선인장 줄기 분말은 지연제로서 효과를 뚜렷하게 보여주지 못하였다. 반면, 선인장 줄기 분말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플로 및 공기량이 메틸셀룰로오스를 혼입한 모르타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증점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인장 줄기 분말의 혼입율이 0.3% 이내일 때에는 모르타르의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형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혼성 폴리스티렌 나노입자의 합성 및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Hybrid Polystyrene Nanoparticles by Using Reactive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Phthalate)

  • 정인우
    • 폴리머
    • /
    • 제30권5호
    • /
    • pp.437-444
    • /
    • 2006
  •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phthalate (HPMCP)에 isophorone diisocyanate (IPDI)와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를 순차적으로 반응하여 우레탄 그룹을 형성하고 HPMCP에 비닐 그룹을 도입하여 반응형(reactive) HPMCP를 합성하였다. 제조된 반응형의 HPMCP와 반응전의 순수한 HPMCP의 분자량, 산가, 임계 미셀 농도(CMC) 등을 측정하였으며, 스티렌의 유화 중합에 고분자 유화제로서 도입하였다. HPMCP의 함량을 단량체인 스티렌 대비로 6, 9, 12, 18, 24 wt%로 도입하여 HPMCP 혼성 폴리스티렌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최대 중합 속도($R_{p,max}$), 입자당 평균라디칼 개수(n), 입자 크기 분포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제조된 HPMCP 혼성 폴리스티렌 나노입자의 모폴로지를 TEM으로 분석하여 core-shell 구조임을 확인하였으며, TGA를 이용하여 열적안정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반응형 HPMCP는 순수 HPMCP와는 달리 HEMA의 비닐 그룹으로 인해 높은 중합속도와 작은 입자 크기, 높은 표 값을 나타내었으며, 높은 젤 함량을 나타내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의 유연학적 특성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acrylonitrile)/Cellulose Acetate Blend Solutions in N,N-Dimethyl Formamide)

  • 박승한;송인규;김병철
    • 폴리머
    • /
    • 제33권4호
    • /
    • pp.384-388
    • /
    • 2009
  •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과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 블렌드/디메틸포름아미드(DMF) 용액의 유변학적 특성을 온도와 블렌드 조성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모든 고분자 용액이 온도 변화에 따라 매우 특징적인 유변학적 거동을 보였다. 8 wt% 용액의 경우 $20{\sim}60^{\circ}C$ 온도범위에서 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고 손실탄젠트값이 감소하였다. $20^{\circ}C$에서는 용액의 물성이 블렌드의 조성에 영향을 받았으나 40 및 $60^{\circ}C$에서는 조성비가 용액 물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감소하였다. 더 높은 온도에서의 더 긴 분자 이완시간으로부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분자간력에 의한 물리적 구조 형성이 촉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변학적 특성에 대한 원인은 묽은 용액의 특성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었다. 고분자 용액의 고유점도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