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메타-종합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6초

전자자원 라이선스 관련 메타데이터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etadata for Licensed Electronic Resources)

  • 이두영;강순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35권4호
    • /
    • pp.57-80
    • /
    • 2004
  • 오늘날 대부분의 도서관 전자자원 이용은 라이선스 계약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용자의 전자자원 접속 및 이용은 라이선스 조건 범위 내에서 허용된다. 따라서 전자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라이선스 관련 데이터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자자원 관리를 위한 라이선스 관련 메타데이터를 설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방법으로 전자자원 메타데이터 스키마, 저작권 권리표현언어의 분석과 외국 대학도서관 전자자원 관리시스템의 라이선스 관련 데이터요소의 비교분석을 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전자자원 라이선스 관련 핵심요소와 선택요소로 구분하여 라이선스 관련 메타데이터를 설정하였다.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Program)

  • 김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33-43
    • /
    • 2016
  • 이 연구는 현재 교육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은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개입의 크기와 방향을 제시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분석방법으로, 개입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가능하다. 논문의 선정기준을 통해 총 33편의 연구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33편의 연구물에서 129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624로 나타났다. 인간특성 영역에 따라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정의적 영역, 운동적 영역, 인지적 영역, 사회적 영역, 복합적 영역 순으로 효과가 있었다. 참가자의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 고등학생, 중학생, 초등학교 저학년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개입시기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3차 예방, 2차 예방, 1차 예방 순으로 효과크기를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와 향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청소년의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의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Qualitative Meta-Analysis about the Change of Adolescences in the Process of Returning from the School Dropout)

  • 이정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86-39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의 과정에서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분야의 질적 연구 자료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은 같은 주제를 다룬 질적 연구들을 종합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에 이르는 과정을 다룬 국내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쳤다. 분석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내의 학술지에 출판된 7편이다. 선정된 개별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여 종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에게 학업중단으로부터 학업복귀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은 '성찰과 지지를 통한 자기 성장'이었다. 이 과정에는 포기, 표류, 자각, 결행, 분투의 5개의 변화단계가 나타났다. 변화를 이끄는 관련 요소는 자기자각, 현실인식, 자원과 지지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단계의 특징을 설명하고 논의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융합적 연구 -메타분석의 활용 (A Convergence Study about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 Meta analysis)

  • 김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25-33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교육현장, 상담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융합적 연구로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은 통계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선행연구물들에 대한 종합적인 결과와 프로그램 개입의 크기와 방향을 제시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분석방법이다. 논문의 선정기준을 통해 총 33편의 연구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33편의 연구물에서 92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839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하위 범주 영역에 따른 결과를 비교한 결과, 정서인식 영역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냈다(g=.919). 다음으로는 정서이입 영역(g=0.841), 정서활용 영역(g=0.834), 정서조절 영역(g=0.785), 정서표현 영역(g=0.766)순으로 효과크기를 보고하였다. 참가자의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대학생 및 성인, 초등학생, 중 고등학생,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와 향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억제이론 기반의 정보보안 행동의도에 대한 메타분석 (Analysis of MASEM on Behavioral Intention of Information Security Based on Deterrence Theory)

  • 김종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169-174
    • /
    • 2021
  • 효과적인 정보보안관리의 핵심요소인 정보보안 정책의 중요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조직 구성원의 보안정책 준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다양한 이론에 기반한 실증연구가 다수 수행되었다. 억제이론은 사용자의 보안행동을 설명하는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여러 연구들이 일관적이지 않거나 서로 상충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정성적인 문헌검토 차원이거나 개별 효과크기에 대한 단순한 정량적 분석에 그쳐 억제이론의 전반적인 모형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메타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28편의 기존연구를 대상으로 다변량 메타분석의 일종인 TSSEM 기법을 R 기반의 metaSEM 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무선효과모형을 활용한 분석결과, 전반적인 억제이론 모형의 적합성은 만족스러운 수준이었으며, 억제이론을 구성하는 공식적인 세 가지 요인인 처벌의 확실성, 엄격성 및 신속성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비공식적 억제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함께 상황적 변수를 조절변수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Establishing the Definitions of Metaverse and Metaverse Literacy and Developing the framework for Metaverse Literacy

  • Hee Chul, Kim;Iljun, Park;Myoeun,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197-20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와 디지털 교육, 그리고 미래교육과 관련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델파이 조사 방법론과 심층 인터뷰 방법론을 적용하여 메타버스와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정의를 도출하고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를 정립, 제시하기 위함이다. 1차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는 9명이며, 자료수집은 2022년 1월 12일부터 1월 17일까지 전자우편으로 발송되고 회송되었다. 2차 심층 인터뷰에 참여한 전문가는 4명이며, 자료수집은 2022년 3월 1일에서 3월 19일까지 각 전문가와 zoom을 통해 4회의 1:1 인터뷰로 진행되었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 메타버스의 개념 정의를 위한 기초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기존에 정의된 6명의 국내 학자들의 개념 정의를 선별하여 그에 대한 동의 정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조사하였고 추가 의견을 설문하였다.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개념 정의를 위한 의견수렴을 위해 기존에 정의된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정의에 대한 동의 정도와 추가 의견을 취합하였다. 메타버스 리터러시 구성 요소의 선정 및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해 기존에 개발된 메타버스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메타버스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12개의 하위 개념 구성 요소들에 대한 동의 정도와 추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메타버스와 메타버스 리터러시를 재정의하였고,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개념 구성 요소를 포함한 프레임워크를 재정리하여 2차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심층 인터뷰에서는 델파이 조사 결과로 재정립된 메타버스와 메타버스 리터러시에 대한 정의 및 메타버스 리터러시 프레임워크에 대한 심층 피드백을 수렴하였다. 1,2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최종 정의들과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 그리고 후속 연구의 제안을 제시하였다.

메타회귀분석 편익이전 기법을 이용한 하천 복원 가치 추정 (Estimating River Spatial Restoration Values Using the Meta-regression Benefit Transfer Method)

  • 이희찬;유윤희;노수향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6-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진 하천 복원 가치추정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회귀분석을 활용한 편익이전을 제시함으로써, 편익이전의 타당성 및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문헌검색을 통해 '하천 가치평가', '하천 가치', '물 환경 가치추정', '하천 편익'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60편의 연구를 수집했다. 그 중 중복된 연구를 제외하고 가치추정 단위를 '원/년/가구'로 통일함으로써 51편의 연구를 분석에 사용했으며, 90개의 가치 추정치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하천 복원 가치 추정연구를 집대성하여 DB를 구축하고 요약통계량을 중심으로 선행연구 결과를 기술하였으며,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policy site의 특성과 조건에 맞게 함수를 조정하고, 조정된 함수를 사용하여 policy site의 가치를 예측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총 가치(원/년/가구, 2015년 불변가격)가, 독립변수로는 하천유형, 위치, 규모, 환경 서비스특성, 그리고 방법론 특성, 지불형태, 대상지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들이 포함되었다. 모형의 추정결과 조정된 값은.420으로써 종속변수 총변이의 42.0%를 모형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본류에서 멀어지는 소규모하천일수록 하천의 경제적 가치를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영향력 크기를 고려해 본다면 하천을 복원할 때 수질정화기능, 서식지기능, 이수기능, 치수기능, 여가 및 수변공간으로의 기능 순으로 고려하는 것이 하천의 가치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또한 지불방법은 매월, 인당 지불하는 것으로 제시할 때 경제적 가치 추정치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모델추정 결과를 활용한 함수이전에서는 만경강의 특성을 반영하고 조정함으로써 만경강의 가치를 추정하였으며, 모형으로부터 얻은 만경강 가치 예측치는 가구당 매년 41,214원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메타회귀분석은 선행연구를 객관적으로 종합할 수 있는 분석의 틀로서 충분한 활용 타당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보이며, 편익이전 시에 policy site의 자원특성과 조건에 맞춰 함수를 조정하여 예측치를 제시함으로써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의 융통성을 보여주었다. 이에 메타회귀분석을 통한 편익이전은 타당성 및 적용 가능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판단된다.

  • PDF

개인화된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관광정보서비스에 관한 메타데이터 (A Study on Meta Data about Sightseeing Information Service for Telematics)

  • 강의영;김한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9-42
    • /
    • 2005
  •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이동 중인 차량 내에서 다양한 정보를 개인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종합적인 서비스이다. 텔레매틱스 서비스의 대표적인 컨텐츠로는 교통정보와 여행정보가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안전운행과 이동으로 인한 제약사항 때문에 개인사용자에게 좀더 손쉽고 빠른 최적의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텔레매틱스 서비스 중 여행정보는 개인에게 적합한 서비스, 즉 개인화된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여행정보들은 일반적인 관광지 소개 정도로만 그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성향에 맞는 정보가 탐색되고 제공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정보가 필요하다. 이 시점에서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로서 데이터 각각을 표준화하는데 기준이 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텔레매틱스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데 토대가 되는 관광정보 메타데이터를 연구한다.

  • PDF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 메타인지 및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Epistemological Beliefs, Metacognition,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 김수진;정영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931-938
    • /
    • 2015
  •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 메타인지 및 과학 탐구 능력은 과학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식론적 신념은 과학 탐구 능력과 메타인지를 통해 과학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메타인지는 과학 탐구 능력을 통해 과학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과학 탐구 능력이 가장 컸고, 간접적인 영향력은 인식론적 신념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고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학 탐구 능력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학업성취도와 과학 탐구 능력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식론적 신념과 메타인지에 대해서도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인식론적 신념과 메타인지 및 과학 탐구 능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메타평가 모형 적용을 통한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ritime Traffic Safety Assessment Scheme by applying Metaevaluation Model)

  • 조익순;조경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83-390
    • /
    • 2013
  •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가 해사안전법(구. 해상교통안전법)에 명시(2009. 5. 27)되어 제도적 기반을 구축한 이후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은 계속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제도의 고도화를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평가에 관한 이론을 토대로 설계된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의 메타평가 분석틀, 즉 'PIP'OU 메타평가 모형'을 적용, 진단활동 전반에 대한 메타평가를 실시하여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진단 관련자들은 진단활동 자체가 제도의 목적에 부합하고 있으나 운영 측면은 미흡하여 '진단계획' 영역을 중심으로 개선이 필요하고 특히, 관련 이해당사자간 시각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고려하여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제도 개선사항의 시급성을 정량화하여 우선순위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관련 정책의 체계적인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