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메타언어

Search Result 27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Meta Design (메타 디자인의 가능성)

  • 오창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2000.11a
    • /
    • pp.132-133
    • /
    • 2000
  • 오늘날 메타(mee)라는 용어는 '메타언어', '메타과학', '메타비평' 등의 합성어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이 사회에서 확인 받고 있다. 특히 메타언어는 메타라는 용어를 가장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메타언어는 언어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영역에서 언어의 한 특성, 흑은 자체의 구조를 설명하는 보다 일반화된 개념으로 소통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Suitability of Scripting Language in Metaverse Development (메타버스 개발과 스크립팅 언어 적합성에 관한 연구)

  • Hwa-Seon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299-300
    • /
    • 2023
  • 최근 인공지능의 현실화와 더불어 프로그래밍 언어인 Python의 독주가 한창이다. 그렇다면 과연 메타버스 시대가 현실화 된다면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가 대세가 될 것인가. 현재 메타버스 플랫폼인 로블록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루아스크립트, 제페토 월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Typescript에서 착안해서 미래의 메타버스 개발에 공용으로 사용될 효율적인 언어를 살펴보았다.

  • PDF

Generation of Class MetaData Based on XMI (XMI기반 클래스의 메타데이터생성)

  • Lee, Sang-Sik;Choi, Han-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2
    • /
    • pp.572-581
    • /
    • 2009
  • Study on the class using XMI Meta model and XML MetaDats ha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method of Data creation which is widely used. Most of MXL System are focusing on the editor funcition, Database connection and Generation of Markup language. Unlikelly, however,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creation of Markup language of Class MetaData which are extracted from MXI data modedl. In addition to that, the attribute of unit element within the cla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es within the model were set to be given and expressed respectively. For the generation of Markup language, XML schema was used to declare the detail data type.

A Study on the Development Methods of Metadata Language and Repository Architecture (메타데이터언어 및 저장체계의 개발 방법에 관한 연구)

  • Park, Dong-Jin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63-170
    • /
    • 2007
  • 아직 국내에서는 표준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보시스템 개발의 경험이 없으며 최신의 메타데이터 개발도구, 절차, 핵심기술 및 통합방법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없다. 그러나 향후 3-4년 이후에 본격적인 메타데이터 시스템의 개발이 시작될 예정인데 각 기관에서는 미래의 시스템에 대하여 어떻게 준비를 하고 진행을 해야 할지를 모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외국에서 성공적으로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는 메타데이터 기반 시스템을 벤치마킹하여 시스템 개발프로세스를 표준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의 개발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사전연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의 목표는 메타데이터 언어와 저장체계 개발과 관련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것이다.

  • PDF

User-defined types Based Consistent Query Language for Metadata Registry (사용자 정의 타입에 기반한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를 위한 일관성 있는 질의 언어)

  • Kim, Jang-Won;Jeong, Dongw-W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1-4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ISO/IEC 11179: Metadata Registry)들이 가지고 있는 메타데이터 정보를 검색하고, 공유하기 위해 일관성 있는 질의 언어를 제안한다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는 국제 표준으로서 메타데이터들을 정의하고 이들을 관리 및 공유를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와 같은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한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들이 서지, 환경, 의료 분야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를 기반으로 하여 기존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들을 검색하고, 공유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이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다양한 분야에 있는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로 SQL에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를 위한 공통 연산자들을 추가하여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에 존재하는 데이터들을 활용하는 연구가 있다. 하지만 이런 연산자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용 DBMS 엔진에 추가되어야 하며, 연산자들이 없는 경우 일관된 질의어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국제 표준인 SQL(ISO/IEC 9075) 에서 정의하고 있는 사용자 정의 타입(User-defined types) 을 기반으로 한 일관성 질의 언어를 제안한다.

  • PDF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도구 자동생성 시스팀에 관한 연구

  • Song, Yeong-Gi;Han, Sang-Man;Lee, Chung-Il;Park, Hyeon;Chae, Won-Ho;Hong, Jin-Pyo
    • ETRI Journal
    • /
    • v.11 no.1
    • /
    • pp.20-40
    • /
    • 1989
  • 지난 20년간 다양한 응용 분야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및 언어들이 제시 이용되어 왔고 특정의 방법론 및 언어를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도구들이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은 다양한 방법론 및 언어들에 따라 별개의 소프트웨어 도구들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메타언어로 방법론이 갖는 개념을 Entity-Relationship 모델로 기술함과 아울러 응용분야에 따른 언어를 정의함으로써, 정의된 방법론과 언어를 사용하여 원하는 시스팀을 기술하고 정보를 보관 관리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 지원 도구를 생성해주는 메타 시스팀의 개념과 구조를 소개하고,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기술한다.

  • PDF

The evaluation of methodological quality of meta-analysis studies in speech language pathology using AMSTAR (AMSTAR에 기반한 국내 언어치료 분야 메타분석 논문의 방법론적 질평가)

  • Han, Minju;Byeon, Haew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2
    • /
    • pp.161-165
    • /
    • 2020
  • Although research using meta-analysis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science, not all meta-analytical papers are of the same quality. In particular, although meta-analysis is a research method with the highest level of evidence, it may be possible to derive distorted conclusions or alternatives by simply integrating representative values without considering heterogeneity among individual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meta-analysis papers on the subject of language arbitration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2010 to June 2019, and used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 (AMSTAR).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final five papers, the average of 7.4 points out of 11 points was found above average. In order to raise the qualitative level of Meta-analysis in speech-language patholog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verification of publication bias and specification of conflicts of interest.

Korean Outline Font Editing System based on UFO Using METAFONT (메타폰트를 이용한 UFO 기반의 한글 외곽선 폰트 시스템)

  • Gwon, Gyeong-Jae;Son, Min-Ju;Jeong, Geun-Ho;Choi, Jae-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44-48
    • /
    • 2016
  • 오늘날 폰트를 디자인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외곽선 방식은 글자의 크기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나 글자의 굵기나 스타일을 변화시키려면 다시 수작업을 통해서 디자인을 변경해야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폰트인 메타폰트는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글자의 변화가 매우 용이하다. 하지만 메타폰트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므로 메타폰트에 대한 선행학습이 필요하여 폰트 디자이너에게 사용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폰트 디자이너에게 익숙한 외곽선 방식에 편집기를 제공하면서 글자의 스타일에 대한 변화를 메타폰트에서 처리하여 다양한 폰트를 파생할 수 있는 한글 외곽선 폰트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시스템에서는 외곽선 방식의 폰트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외곽선 폰트 편집기를 구현하였으며 외곽선 방식의 폰트를 메타폰트로 변환하는 UFO2mf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폰트 시스템은 기존 외곽선 방식의 스타일 변화에 대한 수고를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Meta-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linguistic Ability and Cognitive Reserve in Normal Aging (정상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과 인지 보존능력 간 상관성에 관한 메타분석)

  • Lee, Mi-S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1
    • /
    • pp.359-373
    • /
    • 2015
  • Cognitive reserve(CR) is the ability to optimize or maximize performance through complementary brain networks. CR is relevant to normal aging in cognitive-linguistic abilities. There are few domestic systematic reviews or meta-analyses that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CR and cognitive-linguistic domains in healthy older people. This meta-analysis included 32 studies published since 2000. In result, education level topped the list, followed by the occupation, cognitively stimulating activities, and the multilingualism. Most studies were related to memory, global cognition, and language. CR had a modest positive association with cognitive-linguistic performance. Multiple domains including memory and language also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across most measures of CR. This study provides evidence-based information to support cognitive-linguistic ability in normal aging.

A Study on Recognition of Citation Metadata using Bidirectional GRU-CRF Model based on Pre-trained Language Model (사전학습 된 언어 모델 기반의 양방향 게이트 순환 유닛 모델과 조건부 랜덤 필드 모델을 이용한 참고문헌 메타데이터 인식 연구)

  • Ji, Seon-yeong;Choi, Sung-p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8 no.1
    • /
    • pp.221-242
    • /
    • 2021
  • This study applied reference metadata recognition using bidirectional GRU-CRF model based on pre-trained language model.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161,315 references extracted by 53,562 academic documents in PDF format collected from 40 journals published in 2018 based on rules. In order to construct an experiment se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utomatically extract the references from academic literature in PDF format. Through this study, the language model with the highest performance was identified, and addition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model to compar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raining set. Finally, the performance of each metadata was confi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