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메타버스 콘텐츠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Metaverse and Generative AI (메타버스와 생성형 AI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

  • Yuchul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117-11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과 생성형 AI와의 관련성과 상호작용을 살펴보고 생성형 AI가 메타버스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특징과 메타버스와의 연계성을 기반으로 메타버스와 생성형 AI의 관계에 대한 방향성을 찾는 연구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 PDF

The Christia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etaverse: Focusing on the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메타버스(Metaverse)의 기독교적 이해와 적용: 메타버스의 특성을 중심으로)

  • Park, Kunchun;Bong, Won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7
    • /
    • pp.511-523
    • /
    • 2022
  • This study attempts an appropriate Christia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metaverse. To this end, the general concept, type, and utilization of the metaverse were examined,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were analyzed in three main categories by the association of the concepts and the common factors. Based on this, the main focus of the Christian understanding of the metaverse found in this study is, first, the "transcendental worldview" of the metaverse. Applications include restructuring the Christian worldview and creating a Christian metaverse environment for future generations. Second, it is a "fusion and composite on- and offline" understanding of the metaverse. An integrated on- and off-line understanding of the church, worship, mission, and the missional acceptance of the metaverse are its applications. Third, in the metaverse, it is an "extension of the functionality of the avatar." This presents its application tasks, such as establishing human identity, expanding the concepts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and expanding Christian ethics and economic views. At the heart of the Christian understanding of the metaverse is worldview, mission, and understanding on human being.

A study on how the main attributes of the metaverse are applied to the currently serviced metaverse platform (메타버스 주요 속성이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얼마나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 Yong-Kyu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337-339
    • /
    • 2023
  • 2025년 메타버스에서 주요 응용시장 전망에 의하면, 헬스케어 1,111억 달러, 제품개발 1,097억 달러, 교육 907억 달러, 프로세스 개선 848억 달러, 유통 62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30년 메타버스 시장은 1조 5429억 달러 규모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 된다. 시장이 커져가며 메타버스는 다양한 기관과 전문가들로부터 다양한 속성이 정의되고 있지만, 메타버스를 실질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메타버스 플랫폼(metaverse platform)은 이러한 주요 속성이 얼마나 잘 적용되고 있는지 현 상황을 연구한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유저를 보유하고 있는 네이버 제페토와 2022년 9월 론칭하며 게임을 통한 메타버스 구현을 목표로 둔 넥슨의 메이플스토리월드에 메타버스의 주요 속성을 대입한다.

  • PDF

A study on deriving success factors and activating methods through metaverse marketing cases (메타버스(Metaverse) 마케팅 사례를 통한 성공요인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Jo, Jae-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4
    • /
    • pp.791-797
    • /
    • 2022
  • Through recent metaverse marketing case studies, success factors and activation method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platform, network, and device of the metaverse ecosystem in each industry. The importance of contents and platform of metaverse could be found in entertainment, fashion, office space and real estate, education, advertisement and commerce industries. In order to vitalize the metaverse, first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ctive participation and retention by providing a stable revenue model for market participants. Secondly, the importance of attractive content to expand subscribers is a key trigger for metaverse activation. Third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ing metaverse service by using a light and simple device for the user. Fourthly, a win-win cooperation strategy should be supported in the value chain of the industry through ecosystem scalability. In addition, business opportunities for market participants and additional revenue models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by Applying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ETAM) : Focused on the Virtual World Metaverse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적용한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가상세계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 Oh, Ji-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0
    • /
    • pp.204-216
    • /
    • 2021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factors affecting consumers' intention to use metaverse by applying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other words,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were set as content quality, perceived enjoyment, social influence, self-efficacy, and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96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the collected data from 267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hich are the antecedent variables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ffect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and perceived ease of use has an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Content quality and perceived enjoyment had an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metaverse. Social influence was found to affect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metaverse. Also, self-efficacy was found to affect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metaverse.

A study on R&D trends and propects of Metaverse (메타버스 개발동향과 발전전망 연구)

  • Seo, Seong-E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600-607
    • /
    • 2008
  • 메타버스 개발을 위한 세계 각국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미국의 <세컨드라이프>를 시작으로 MS와 구글이 차세대 메타버스 개발을 서두르고 있고, 일본에서도 , , 등이 이미 출시되었거나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이에 발맞춰 메타버스에 관한 연구도 한창인데, 2006년 5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제1회 메타버스 로드맵 서alt(Metaverse Roadmap Summit)이 대표적이다. 미국미래학협회(ASF)주최로 열린 이 행사에는 미국의 저명한 IT전문가, 게임제작자들이 대거 참가했고, 조직위측은 이날 햇사에서 진행된 수십 시간 분량의 토론을 인터넷에 고시해서 1년동안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했다. 그리고 1년 후인 2007년 6월 <메타버스 로드맵 3D웹으로 가는길>을 발표됐다. 뿐만 아니라 비슷한 시기에 일본의 <노무라연구소>에서도 IT로드맵을 발표하고 메타버스의 발전전망을 제시했다. 이에 반해 세계최고의 IT기술력을 자랑하는 국내에서는 메타버스에 관한 개발과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미국의 <메타버스 로드맵>과 일본의 을 중심으로 메타버스의 개념과 발전전망을 살펴보고, 현존하는 가상세계 중 메타버스 개념에 가장 근접했다고 평가받는 린든랩의 <세컨드라이프>의 의의와 한계를 짚어보았다. 또한 제2, 제3의 <세컨드라이프>를 노리고 있는 세계 각 국의 메타버스 개발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차세대 메타버스 개발의 성공조건으로서 풍부한 콘텐츠 제공과 SNS기능의 강화, 미러월드의 발전가능성등에 주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90년대 온라인게임의 성공 이후 장기간 침체 현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의 가상세계 개발연구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지닌다고 하겠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verse and Gamification (메타버스와 게이미피케이션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 Shin, Yu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545-54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 속에서 사용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구체화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적용되고 있는 게이미피케이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 향후 게이미피케이션 고도화를 기반으로 구현되는 메타버스 플랫폼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Suitability of Scripting Language in Metaverse Development (메타버스 개발과 스크립팅 언어 적합성에 관한 연구)

  • Hwa-Seon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299-300
    • /
    • 2023
  • 최근 인공지능의 현실화와 더불어 프로그래밍 언어인 Python의 독주가 한창이다. 그렇다면 과연 메타버스 시대가 현실화 된다면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가 대세가 될 것인가. 현재 메타버스 플랫폼인 로블록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루아스크립트, 제페토 월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Typescript에서 착안해서 미래의 메타버스 개발에 공용으로 사용될 효율적인 언어를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Expanding and Developing of the e-Sports Area Using Metaverse (메타버스를 활용한 e-스포츠 영역 확장과 발전에 관한 연구)

  • Gang, Hui-Jin;Kim, Hyo-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205-20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e-스포츠 산업의 영역 확장 및 발전 가능성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19 사태 발생 후 상승세를 보인 e-스포츠 산업 발달 과정에 새롭게 대두된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했을 시에 생기는 새로운 방향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현재 e-스포츠 산업의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는 게임들 혹은 소규모 행사들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실제로 적용 했을 시 현재 주목받고 있는 대규모 e-스포츠 행사가 아닌 e-스포츠 행사에 참가하지 못하거나 적극적인 참여를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Quality Assurance of the Metaverse Platform Based Games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 게임의 품질보증에 관한 연구)

  • Kim, Hyo-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61-64
    • /
    • 2022
  • 국내 게임 시장 규모가 2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 가운데, 내년 게임업계 화두로 메타버스와 NFT가 가장 주요한 이슈가 될 것이다.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변화는 편의성, 상호작용 방식, 화면 공간 확장성 측면에서 기존 PC, 모바일 기반의 인터넷 시대와 메타버스 시대는 확실하게 차이가 존재한다. 기존에 비해 혁신적인 변화의 특징들에 대해서 메타버스 환경에서 게임들의 특징들도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게임개발이 활성화되는 환경에서 메타버스 기반에서 개발되고 플레이 되는 게임들에 대한 품질 보증(Quality Assurance : QA) 혹은 테스트를 위한 방법과 내용에 대해서 기존의 방법들과의 차이점과 향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게임 품질을 측정하는 새로운 요소들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