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메타기술효율성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35초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의 질의 효율성 평가 (Query Efficiency Evaluation of the Metadata Exchanging Protocol for Metadata Registries)

  • 정동원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3-81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간의 메타데이터 교환을 위해 제안된 교환 프로토콜의 장점을 명시적으로 보이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하여 기술한다. 기존 접근 방법들은 교환 메커니즘의 높은 복잡도, 지역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의 종속성, 새로운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추가를 위한 높은 비용 등의 문제점을 지닌다. 이를 해결하기 메타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정성적으로만 그 장점을 보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정략적 관점에서 제안된 프로토콜의 장점을 기술하고자 함에 있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질의 효율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서 다른 요인에 의한 결과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질의 효율성 문제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평가 항목과 평가 모델에 대해 정의한다. 질의 효율성 평가를 위한 요인 중에서 대상 메타데이터의 개수, 각 메타데이터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개수 및 각 컴포넌트들을 구성하는 속성들의 개수를 주 파라미터로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시뮬레이션은 크게 세 가지 유형을 지니게 된다 정량적 평가를 통해 교환 프로토콜이 요구되는 이유와 그 정당성을 명시적으로 보인다.

  • PDF

메타프론티어와 교차효율성 모형을 통한 항만 클러스터링의 실증적 검증소고 (A Brief Empirical Investigation of Seaport Clustering by Using Meta-Frontier and Cross-efficiency Models)

  • 박노경
    • 무역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7-4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아시아 13개 항만의 2009년, 2010년, 2013년의 자료와, 3개의 투입요소(수심, 총면적 크레인 수)와 1개의 산출요소(컨테이너화물 총 처리량)를 이용하여 교차효율성모형과 메타프론티어 분석방법으로 개별효율성과 그룹효율성, 기술 갭을 측정함으로써, 교차효율성모형에 의해서 측정된 클러스터링이 국내항만들의 메타효율성을 증진시켰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과 2013년의 경우에는 부산, 인천, 광양항만 모두 그룹효율성이 증가하였다. 둘째, 중국의 항만들이 국내 항만들에 비해서 메타효율성과 그룹효율성 측면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갭 측면에서 보았을 때, 광양항의 기술 격차의 왜곡이 부산항이나 인천항에 비해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광양항은 2009년(닝보, 칭타오, 토쿄, 카오슝항)과 2013년(두바이항)과 클러스터링을 통해서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부산항은 2010년에 2그룹, 2013년에 1그룹항만, 인천항은 2010년과 2013년에 2그룹 항만들과 클러스터링을 통해서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다섯째, 교차효율성 모형과 메타효율성 분석방법을 통해서 부산, 인천, 광양항은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논문의 정책적인 함의는 본 연구에서 실증적으로 검증된 아시아 항만들 간의 클러스터링 방법[부산항은 홍콩, 상하이, 싱가포르항, 인천항과 광양항은 칭타오, 나고야, 닝보, 토쿄, 카오슝항과 클러스터링]을 국내항만들이 적극적으로 정책적인 도입을 해야만 한다.

  • PDF

공공병원과 민간병원의 생산성 격차 비교 (The Comparison of Productivity Change Gap of Public Hospitals and Private Hospitals in Korea)

  • 양동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203-215
    • /
    • 2013
  • 본 연구는 대한병원협회의 경영실적 통계자료에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간 공공종합병원과 민간종합병원의 패널자료를 추출하여 공공종합병원과 민간종합병원의 부트스트랩 메타맘퀴스트 생산성 지수를 산출하고 이 지수를 분해하여 생산성 변화와 생산성 격차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병원그룹의 메타효율성이 민간병원그룹에 비해 높으나 기술격차비율은 민간병원그룹이 공공병원그룹에 비해 높으며 프론티어에 가장 가까워 민간병원그룹의 소수 대형종합병원이 전체 종합병원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그룹별 생산성 증가는 민간병원그룹이 공공병원그룹에 비해 높았는데, 이는 프론티어의 이동효과($FCU^k$)보다는 기술추격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민간병원그룹과 공공병원그룹 간 기술효율성, 생산성 변화와 생산성 격차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공병원이 환자 진료실적 측면에서 민간병원 수준의 기술효율성과 생산성 변화 및 생산성 격차를 보임에 따라 공공병원이 환자진료실적 측면에서 공공병원으로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재정적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 공공병원이 선두적인 민간병원과의 연계를 통하여 의료기술과 경영기술을 습득하고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청소년 대상 과학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사용성 평가 연구

  • 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집
    • /
    • 한국문헌정보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논집 제17집
    • /
    • pp.61-89
    • /
    • 2004
  • 지식정보자원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정보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갖춘 검색엔진들이 개발되고 있다. 메타검색은 다른 웹 검색서비스보다 더 포괄적인 검색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더욱 안정된 검색 기술로써, 다양한 검색 정보원들에 대한 검색결과를 시스템이 통합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덜 든다는 점에서 효율적이고 사용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Selberg 1999). 그러나 이러한 메타검색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에서는 많은 이용자들이 각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검색하는 것보다 개별적으로 검색하고 그 결과를 스스로 통합하는 분리 인터페이스를 더 선호하고 검색결과에 더 만족하였으며, 검색 효율성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박소연 1999). (중략)

  • PDF

대체연료로서의 메타놀 (Fuel methanol as an alternative fuels)

  • 장병주
    • 오토저널
    • /
    • 제6권1호
    • /
    • pp.11-20
    • /
    • 1984
  • 이글에서는 메타놀의 성상과 재래의 내연기관에 메타놀을 사용하였을 때의 특성을 몇 가지 관 점에서 살펴보았다. 유리한 점으로 판단되는 사실은, 1)옥탄가가 높아 고압축비의채용으로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2)기화참열이 크고 물과의 친화성이 좋다. 이러한 점은 내부냉각방식의 채용으로 이상적인 충상혼합기를 형성할 수가 있을 것이며, 현재의 내연기관의 냉각계통, 즉 방 열기, 물펌프, 냉각휜 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 NO.chi.의 배출을 저하시키는 이점도 있다. 3)단일성분 연료이므로 배기가스 조성이 단순하며 깨끗하다. 이는 배기공해상 메타놀연료가 석유계연료보다 유리하다. 그러나 메타놀기관은 앞으로 기술적 연구, 개선을 필요로 하는 점도 있다. 1) 메타놀의 가솔린과 비교하여 인화점이 높고 기화잠열이 커서 시동성이 나쁘고 2) 메타놀은 어느 종류의 금속, 프라스택, 도료 등을 부식시킨다. 3) 메타놀은 세탄가가 낮아, 압축점화는 무리이며 4) 발열량은 석유계 연료의 약 절반이다. 따라서 시동성, 재료, 착화방법, 개질 가스의 이용법, 내부냉각 등의 기술적인 문제가 개발된다면 질, 량, 가격적인 면에서도 내연기관용에는 메타놀이 유리하다고 본다. 그러나 현시점에서는 기관측으로 보아 자동차용연료로는 가솔린에 혼합하는 방법이고 그렇게 된다면 20-30%의 연료가 절감되리라고 믿는다.

  • PDF

메타데이타의 생성 및 관리를 위한 RDF 문서 검증기와 N-Triple 생성기 (RDF Document validator and N-Triple Generator for Creation mil Maintenance of Metadata)

  • 조성훈;송병열;조현규;최의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5호
    • /
    • pp.619-624
    • /
    • 2004
  •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웹 상에서 공유되는 기업 정보와 카탈로그(catalog) 같은 비즈니스 정보의 양이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자 RDF 메타데이타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메타데이타의 관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RDF 메타데이타의 관리는 RDF/RDFS의 지식에 대해 제약받지 않고 웹 자원을 기술할 수 있어야 하고 메타데이타의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한 환경을 지원하여야 딴다. 그러나 이를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연구가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RDF/RDFS 문서를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 및 관리가 가능하며, RBF를 이용하여 기술된 메타데이타를 N-Triple로 제공함과 동시에 메타데이타의 유효성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UML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범정부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메타모델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Korea Enterprise Architecture's meta model using UML Diagram)

  • 박가영;이용훈;정현호;이상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18-221
    • /
    • 2010
  • 본 논문은 범정부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EA)의 메타모델을 UML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개선 연구에 관한 논문이다. 여러 공공기관과 기업에서는 '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적용'이란 전자정부 로드맵 과제로 정보기술을 그들의 경영혁신을 위한 전략적 도구로 도입하였으며, 조직 전체의 최적화 및 통합, 조직의 진화관리, 조직업무의 효율성 및 효과성 등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EA를 개발 및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EA 프레임워크에서 제안하는 메타모델들은 단순한 네모 박스와 선으로 연결된 의미가 부족한 메타모델들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모델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으로 UML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새로운 메타모델 다이어그램들을 제안한다. UML에서 사용된 의미를 가진 다이어그램을 범정부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의 메타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의미적인 메타모델의 다이어그램을 통해 보다 의미 전달이 용이한 메타모델로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opic Map 기반의 MARC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MARC Based Topic Map)

  • 장화수;고일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년도 제3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6권1호
    • /
    • pp.309-315
    • /
    • 2008
  • 문헌정보처리 표준화도구인 MARC는 포멧의 문제점과 다양한 웹자원 메타데이터 정보조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웹 기반의 XML표준 포멧의 도입을 시도하였고, MARCXML로 변환되어 시스템간 상호운용되고 있으나, MARCXML은 서지정보의 의미특성이나 메타데이터의 표현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MARC 레코드의 표현을 XML 구조로 변환한 것일 뿐이다. 시맨틱의 핵심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Topic Map은 XML기반의 표준기술언어인 ISO의 XTM을 이용해 정보와 지식의 분산 관리를 지원하는 기술이다. 학술정보자원에 대한 DB 구축 시 Topic Map언어인 XTM을 이용한다면 이미 개발된 여러 메타데이터 등을 한곳으로 통합하면서도 신축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 시스템에서 새로운 Topic Map을 구축하는 것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등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학술DB로부터 Topic Map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추출하기 위한 정보 소스로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MARC에서 언급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XML의 특징인 시스템간 상호운용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기초 학문자료의 복잡한 관계의 개념구조, 자료유형 및 자료간의 의미적 상관관계 등을 표현에 있어 효율적인 개발방법임을 제안한다.

  • PDF

국가 R&D 정보 유사문서 검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imilar Document Retrieval for National R&D Information)

  • 한희준;주원균;석중호;최기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83-286
    • /
    • 2012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는 국가 R&D와 관련된 과제, 성과, 인력, 시설 장비, 기술산업 정보에 대해 이용자에게 통합검색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용자는 질의어를 입력하여 원하는 정보를 선별하게 되고, 한 건의 상세 메타정보 및 원문을 검색서비스의 최종 목적지로 삼는다. 이 때 이용 중인 정보와 유사한 다른 유형의 R&D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면 이용자의 검색 및 탐색노력을 줄임으로써 정보획득의 요구를 쉽게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 R&D 정보의 메타데이터와 검색엔진의 부스팅 기법을 이용하여 이종 정보간 유사문서 검색 방법에 대해 논한다. 이는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서비스 최종 화면(메타 상세보기)에서 제공함으로써 검색 서비스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수량-수질 연계 관리를 위한 온톨로지 기반 데이터베이스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Ontology-based multi-domain metadata for joint management of water quantity and quality)

  • 오정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6-456
    • /
    • 2022
  • 최근 정부에서 국내 물관리일원화를 추진함에 따라 수자원에 대한 양적, 질적, 파생적 기능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기술적 기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하천, 호소 등 수자원에 대한 수질관리와 수량관리가 별도로 이루어지다보니, 수질 및 수량에 대해 관측지점, 관측시점 등이 모두 다른 실정이다. 상호 간 영향이 뚜렷한 수량 및 수질을 연계하여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체 내 동일 지점에 대한 관측데이터 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려면 수량-수질 연계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 항목 및 관계 등의 설계가 중요하다. 즉, 데이터를 단순히 모아놓는 것이 아닌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큐레이션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량-수질 연계 관리가 가능한 데이터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를 설계 및 분석하고자 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방법론으로는 먼저 수량 및 수질 도메인의 데이터 항목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온톨로지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설정한다. 온톨로지를 활용하면 해당 도메인에서 데이터 간 관계성을 보다 분명하게 정의할 수 있다. 데이터를 클래스나 인스턴스에 정의하고, 각 데이터 간 관계를 속성에 정의한다. 또한 수량-수질 데이터 연계 관리 시 고려하여야 할 요소를 분석하여 제시한다. 이를 통해 수량-수질 데이터 연계 관리에 있어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의 적용성 및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