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메주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42초

전통고추장의 발효관리와 품질

  • 신동화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대회
    • /
    • pp.79-89
    • /
    • 2000
  • 장류 중 비교적 늦게 우리식생활에 도입된 고추장은 고추의 도입시기인 임진란 이후 장류의 기본인 메주와 어울려 채소류 중심의 우리 식생활에 도입되었을 것이며 지금은 우리의 모든 요리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향신 조미료의 하나로 세계에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다. 고추장은 크게 나눠 전통고추장과 개량식으로 구분하는 바 가장 큰 차이점은 전자는 자연 발효한 고추장 메주를 사용하는 반면 후자는 순수 황국균에 의한 koji를 이용하면서 최종 제품에 가열과정이 없는 것이다. 우리나라 고추장 수요량은 약16만 톤 정도며 매출액은 약 1,165억 원으로 추산되는데 그중 60%가 공장산으로 고추장의 제조가 급격히 주부의 손을 떠나고 있다. 전통고추장의 비중은 전체 고추장에서 미미하나 아직도 상당수의 소비자에게서 선호되고 있으며 중소형 혹은 가내 규모로 농민의 소득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전통고추장의 문제는 자연발효에 의한 품질균일화 미흡과 품질개선 노력이 부족한 점과 유통 중 변색 및 가스생성에 의한 팽창과 내용물 유출인바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변색의 주원인은 빛(U.V.)과 열 임을 밝혔고 주로 효모에 의해서 발생되는 가스 및 내용물의 유출문제는 천연 항균성 물질을 함유한 양고추냉이와 겨자를 첨가하는 경우 성공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으며 품질도 오히려 개선되는 결과를 얻었다.

  • PDF

재래식 메주 및 된장중의 항산화성 물질에 관한 연구 1. 메주 발효 및 된장 숙성중의 지질산화와 갈변 (Antioxidative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1.Lipid Oxidation and Browning during Fermentation of Meju and Doenjang)

  • 이종호;김미혜;임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8-155
    • /
    • 1991
  • Lipid oxidation and browning during fermentation of domestic Meju and Doenjang were examined in order to elucid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browning products and phenol compounds from Meju and Doenjang. Peroxide values of lipids from Meju were detectable and slightly increased until 3 weeks of fermentation, but started to be decreased after 3 weeks of fermentation and notdetectable after 6 weeks. Peroxides were not detected in Doenjang during the whole fermentation, but started to be decreased after 3 weeks of period of 22 weeks fermentation. Carbonyl value were increased during the whole period of Meju fermentation, but started to be de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Doenjang fermentation. Hydrophilic fraction of browning products from Meju was much higher than lipophilic fraction and the former fraction was dramatically in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the fermentation. But the both fractions maintained high values during Doenjang fermentation. Hydrophilic browning products and phenol and phenol compound in Meju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gainst linoleic acid.

  • PDF

재래식 간장의 제조조건이 ethyl carbamate 생성에 미치는 영향 (Dependence of Ethyl Carbamate Formation on the Fermentation Variables in Korean Traditional Soysauce)

  • 정현정;권훈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2-98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식품내의 ethyl carbamate 전구체와 그 형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제조조건 보다는 원료 메주가 간장의 ethyl carbamate 형성에 기여도가 크나, 같은 메주로 제조한 간장의 경우, 저장 기간에 따라 생성이 증가하며 빛에 의해 그 농도가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가정에서 간장을 담을 경우 전통적인 방법 인 빛을 쪼여 주며 보관하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원료 메주에 따른 차이는 원료 콩의 화학적 조성도 관여를 하겠으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의'종류와 그에 따른 대사과정, 대사량의 차이에 의한 영향도 무시할 수 없으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전들을 밝혀내기 위하여 앞으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영남지방 농산물에서의 Zearalenone 생성균의 분리 (Isolation of the Zearalenone-Producing Strains from Agricultural Products in Youngnam Districts)

  • 김성영;정선희;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81-585
    • /
    • 1992
  • 영남지방으로부터 백미(60), 보리쌀(52), 대두(45), 땅콩(33), 옥수수(32), 메주(27), 벼(40), 보리(54) 및 토양(32) 등 총 375종의 시료를 수거하여 Fusarium속으로 추정된 균주를 분리하고, 분리균을 고체배지에 접종하여 배양(14일, $30^{\circ}C$)한 후에 zearalenone 생성균주를 선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75종의 시료에서 302주의 Fusarium속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302주를 고체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TLC와 HPLC법에 의해 zearalenone 생성균주를 선정하였다. TLC 결과에서 zearalenone 생성균주는 29주 [쌀(3), 메주(2), 옥수수(1), 보리쌀(5), 토양(4), 땅콩(3), 대두(4), 보리(5) 그리고 벼(2)]로 나타났으나, HPLC 분석결과 19주 [쌀(2), 메주(1), 옥수수(1), 보리쌀(4), 토양(3), 대두(2), 보리(3) 그리고 벼(3)]가 zearalenone 생성균주로 확인되었다.

  • PDF

메주에서 분리한 검은 Aspergillus 균주의 동정 (Identification of Black Aspergillus Strains Isolated from Meju)

  • 홍승범;김대호;김선화;방나래;권순우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2-135
    • /
    • 2013
  • 검은 Aspergillus 속균은 동양의 발효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곰팡이로서 식품산업에 관련된 검은 Aspergillus를 흑국균이라고 한다. 흑국균은 A. luchuensis, A. niger, A. tubingensis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A. luchuensis는 동양의 발효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곰팡이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전통 된장과 간장의 주요 원료가 되는 메주에서도 검은 Aspergillus가 흔히 발견되었다. 33균주의 검은 Aspergillus가 2008년부터 2011년 사이에 전국적으로 수집한 98개의 완성메주로부터 분리되었고 추가로, 발효과정에 있는 메주로부터 검은 Aspergillus 21균주를 분리하였다. ${\beta}$-tubulin과 calmodulin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이들을 동정한 결과 이들은 A. niger 21균주, A. luchuensis 14균주, A. tubingensis 10균주, A. welwitschiae 9균주로 동정되었다. 이 중 A. luchuensis는 생장이 활발하고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분해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들의 산업적 응용에 대한 추가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균주를 달리한 된장의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Doenjang) Prepared from Different Types of Strains)

  • 박정숙;이명렬;김경수;이택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5-260
    • /
    • 1994
  • 재래식 메주, 고오지, 나토 메주, 고오지-나토의 혼용 메주를 사용하여 90일 수성시킨 된장의 향기 성분은 다음과 같다. 된장의 향기 성분을 Headspac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한 결과 36종이 검출되었는데 이중 알콜류 5종, 알데히드류 5종, 케톤류 8종, 유기산류 3종, 에스테르류 9종, 그 외 6종으로 확인되었다. 시험 된장별로는 재래식 된장에서 29종으로 가장 많았고, 고오지 된장과 고오지-나토 된장에서 각각 $26{\sim}24$종, 그리고 나토 된장에서 20종으로 가장 적었다. 관능기별 향기성분 조성비는 각 시험구에서 알콜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재래식 된장은 다른 시험된장 보다 카보닐 화합물, 에스테르 함량비가 높았고 고오지-나토된장에서는 이들의 조성비가 가장 낮았다. 된장의 향기 성분으로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은 화합물인 3-ethoxy-1-propene, dihydro-2-methyl-3-furanone, 1-hydroxy-2-propanone, 1-(2-furanyl)ethanone, 2-acetyl-ethylhexanoate 등 5종이 확인되었다.

  • PDF

장류제품의 아미노산 조성과 그 단백질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Korean Fermented Soybean Meju Products and the Evaluation of the Protein Quality)

  • 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10-214
    • /
    • 1973
  • 한국 재래식 장류 및 개량식 제품과 중간 가공물인 메주와 koji-mix 및 원료 대두에 대한 아미노산 조성과 available lysine 함량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각 제품의 단백질 품질평가를 시도하였으며 Eggum의 단백질 chemical score와 biological value 와의 상관회귀 방정식을 이용하여 각 제품 단백질의 대략적인 biological value를 추산하였다. 메주용 대두의 amino-N 함량은 총 질소량의 85%에 달하나 장류 제품에는 총 질소량의 약 75%의 amino-N 함량으로 감소하는 반면 $NH_3-N$ 과 기타 N-compounds 함량이 증가한다. 이중 가내제조된 간장은 예외적으로 낮아 총 질소량의 53%에 불과한 amino-N을 함유하고 있다. 장류제조에서 재래식 방법과 개량식 제품 단백질의 질적변화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으며, 메주제조 단계까지는 원료 대두단백질의 영양가가 크게 손상되지 않으나 사임 담금이후 후숙 분리과정에서 단백가가 크게 손상되어 제품의 단백가는 원료 대두 단백질의 약 1/2에 불과한 chemical score를 나타내며 약 $1/3{\sim}1/2$에 미달되는 낮은 lysine 가용도를 갖게된다.

  • PDF

Bacillus subtilis B-4와 Aspergillus oryzae F-5로 제조한 코오지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Koji Manufactured with Bacillus subtilis B-4 and Aspergillus oryzae F-5)

  • 권동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73-878
    • /
    • 2002
  • 재래식 메주의 맛을 지닌 코오지의 산업화를 유도하기 위해 재래식 메주에서 분리한 세균과 곰팡이를 이용한 코오지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코오지 제조에 선정된 곰팡이와 세균은 재래식 메주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 B-4와 Aspergillus oryzae F-5로, B. subtilis B-4와 A. oryzae F-5는 amylase와 protease 등의 효소분비능이 우수한 것이었다. B. subtilis B-4와 A. oryzae F-5를 각각 코오지 제조에 이용한 결과 색깔은 B. subtilis B-4로 제조한 코오지가 A. oryzae F-5로 제조한 코오지에 비해 약간 어두운 편이었고, 효소분비능은 B. subtilis B-4로 제조한 코오지가 A. oryzae F-5로 제조한 코오지에 비해 우수한 편이었다. 제국이 끝난 코오지에 대한 맛, 향, 색깔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에서는 B. subtilis B-4로 제조한 코오지가 A. oryzae F-5로 제조한 코오지에 비해 색깔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높은 점수를 얻고 있었다. 수분활성도가 제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수분활성도를 조절하여 제조한 코오지가 색도, 효소분비능, 생균수 및 관능검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