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메모리 한계

Search Result 28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Intel KNL processo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igh bandwidth on-chip memory (인텔 KNL 프로세서 사례를 통한 고성능 온칩 메모리의 성능 병목 분석 및 해결 방안 연구)

  • Byun, Eu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92-95
    • /
    • 2020
  • 나날이 커져가는 데이터 처리량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수십개의 코어와 여러 채널의 고대역폭 메모리를 탑재한 프로세서가 상위 슈퍼컴퓨터 시스템에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Scale-out 방식은 성능 한계를 크게 끌어올릴 수 있지만 제대로 된 작업 배분이 되지 않았을 때 성능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텔 KNL 프로세서의 고성능 온칩 메모리의 성능 벤치마크를 진행하여 병목 현상이 실제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런 성능 저하 패턴을 찾아내고 원인을 분석하여 향후의 시스템에서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하드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수준에의 보완 방안을 제안한다.

A Survey on Neural Networks Using Memory Component (메모리 요소를 활용한 신경망 연구 동향)

  • Lee, Jihwan;Park, Jinuk;Kim, Jaehyung;Kim, Jaein;Roh, Hongchan;Park, Sanghyu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7 no.8
    • /
    • pp.307-324
    • /
    • 2018
  • Recently, recurrent neural networks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solving prediction problem of sequential data through structure considering time dependency. However, as the time step of sequential data increases, the problem of the gradient vanishing is occurred. Long short-term memory model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but there is a limit to storing a lot of data and preserving it for a long time. Therefore, research on memory-augmented neural network (MANN), which is a learning model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and memory element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MANN models that emerged as a hot topic in deep learning field and present the latest techniques and future research that utilize MANN.

Si3N4/AlN 이중층 구조 소자의 자가 정류 특성

  • Gwon, Jeong-Yong;Kim, Hui-Dong;Yun, Min-Ju;Kim, Tae-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06.2-306.2
    • /
    • 2014
  • 전자기기의 휴대성과 이동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메모리 산업에 있어 매우 매력적인 동시에 커다란 잠재성을 지닌다. 이미 공정의 한계에 부딪힌 Flash 메모리를 대신하여 10nm 이하의 공정이 가능한 상변화 메모리(Phase-Change Memory, PRAM), 스핀 주입 자화 반전 메모리(Spin Transfer Torque-Magnetic RAM, STT-MRAM), 저항 변화 메모리(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ReRAM)가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후보로서 거론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ReRAM은 빠른 속도와 낮은 소비 전력, CMOS 공정 호환성, 그리고 비교적 단순한 3차원 적층 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질화물 또는 질소를 도핑한 산화물을 저항변화 물질로 사용하는 ReRAM이 보고되고 있는데, 이들은 동작전압이 낮을 뿐만 아니라 저항 변화(Resistive Switching, RS) 과정에서 일어나는 계면 산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ReRAM의 저항 변화 재료로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Cell 단위의 ReRAM 소자를 Crossbar Array 구조에 적용시켰을 때 주변 Cell과의 저항 상태 차이로 인해 전류가 낮은 저항 상태(LRS)의 Cell로 흘러 의도치 않은 동작을 야기한다. 이와 같이 누설 전류(Leakage Current)로 인한 상호간의 간섭이 일어나는 Cross-talk 현상이 존재하며, 공정의 간소화와 집적도를 유지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실용화하기에 앞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ead 동작 시 발생하는 Cell과 Cell 사이의 Cross-talk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가 정류 특성(Self-Rectifying)을 가지는 실리콘 질화물/알루미늄 질화물 이중층(Si3N4/AlN Bi-layer)으로 구성된 ReRAM 소자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Sput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제안된 소자를 제작하였다. 전압-전류 특성 실험결과, 제안된 구조에 대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시뮬레이션 결과와 동일하게 Positive Bias 영역에서 자가 정류 특성을 획득하였고, 결과적으로 Read 동작 시 발생하는 Cross-talk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결과를 확보하였다.

  • PDF

WN 박막을 이용한 저항 변화 메모리 연구

  • Hong, Seok-Man;Kim, Hui-Dong;An, Ho-Myeong;Kim, Tae-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403-404
    • /
    • 2013
  • 최근 scaling down의 한계에 부딪힌 DRAM과 Flash Memory를 대체하기 위한 차세대 메모리(Next Generation Memory)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TRS (international technology roadmap for semiconductors)에 따르면 PRAM (phase change RAM), RRAM (resistive RAM), STT-MRAM (spin transfer torque magnetic RAM) 등이 차세대 메모리로써 부상하고 있다. 그 중 RRAM은 간단한 구조로 인한 고집적화, 빠른 program/erase 속도 (100~10 ns), 낮은 동작 전압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다른 차세대 메모리 중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1]. 현재 RRAM은 주로 금속-산화물계(Metal-Oxide) 저항 변화 물질을 기반으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공정 과정에서 산소에 의한 오염으로 인해 수율이 낮은 문제를 갖고 있으며, Endurance 및 Retention 등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산소 오염에 의한 신뢰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금속-질화물(Metal-Nitride) 기반의 저항 변화 물질을 제안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우수한 열적 안정성($>450^{\circ}C$, 높은 종횡비, Cu 확산 방지 역할, 높은 공정 호환성 [2] 등의 장점을 가진 WN 박막을 저항 변화 물질로 사용하여 저항 변화 메모리를 구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WN 박막은 RF magnetron sputtering 방법을 사용하여 Ar/$N_2$ 가스를 20/30 sccm, 동작 압력 20 mTorr 조건에서 120 nm 의 두께로 증착하였고, E-beam Evaporation 방법을 통하여 Ti 상부 전극을 100 nm 증착하였다. I-V 실험결과, WN 기반의 RRAM은 양전압에서 SET 동작이 일어나며, 음전압에서 RESET 동작을 하는 bipolar 스위칭 특성을 보였으며, 읽기 전압 0.1 V에서 ~1 order의 저항비를 확보하였다. 신뢰성 분석 결과, $10^3$번의 Endurance 특성 및 $10^5$초의 긴 Retention time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고저항 상태에서는 Space-charge-limited Conduction, 저저항 상태에서는 Ohmic Conduction의 전도 특성을 보임에 따라 저항 변화 메카니즘이 filamentary conduction model로 확인되었다 [3]. 본 연구에서 개발한 WN 기반의 RRAM은 우수한 저항 변화 특성과 함께 높은 재료적 안정성, 그리고 기존 반도체 공정 호환성이 매우 높은 강점을 갖고 있어 핵심적인 차세대 메모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fficient Cache Management Scheme for Load Balancing in Distributed Environments with Different Memory Sizes (상이한 메모리 크기를 가지는 분산 환경에서 부하 분산을 위한 캐시 관리 기법)

  • Choi, Kitae;Yoon, Sangwon;Park, Jaeyeol;Lim, Jongtae;Lee, Seokhee;Bok, Kyoungsoo;Yoo, Jaesoo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1 no.8
    • /
    • pp.543-548
    • /
    • 2015
  • Recently, volume of data has been growing dramatically along with the growth of social media and digital devices. However, the existing disk-based distributed file systems have limits to their performance of data processing or data access, due to I/O processing costs and bottlenecks. To solve this problem, the caching technique is being used to manage data in the memory. In this paper, we propose a cache management scheme to handle load balancing in a distributed memory environment. The proposed scheme distributes the data according to the memory size, n distributed environments with different memory sizes. If overloaded nodes occur, it redistributes the the access time of the caching data.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cheme, we compare it with an existing distributed cache management scheme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A Model for diagnosing Students′Misconception using Fuzzy Cognitive Maps and Fuzzy Associative Memory (퍼지 인지 맵과 퍼지 연상 메모리를 이용한 오인진단 모델)

  • 신영숙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3 no.1
    • /
    • pp.53-59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model for diagnosing students'learning misconceptions in the domain of heat and temperature using fuzzy cognitive maps(FCM) and fuzzy associative memory(FAM). In a model for diagnosing learning misconceptions. an FCM can represent with cause and effect between pre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that students have about scientific phenomenon. An FAM which represents a neurallike memory for memorizing causal relationships is used to diagnose causes of misconceptions in learning. This study will present a new method for more autonomous and intelligent system than a model to diagnose misconceptions that was being done with classical methods in learning and may contribute as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learning diagnosis with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 PDF

Design of a High-capacity NAND Flash based File System for Sensor Node with very small Memory Footprint (적은 메모리 사용량을 가진 센서노드용 대용량 낸드 플래시 파일 시스템의 설계)

  • Han, Kyoung-Hoon;Lee, Ki-Hyuk;Song, Jun-Young;Han, Hyung-Jin;Choi, Won-Chul;Han, Ji-Yean;Sohn, Ki-R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140-145
    • /
    • 2007
  • 최근에 에너지의 효율성이 좋고 대용량화가 쉬운 낸드 플래시가 센서 노드를 위한 차세대 저장소로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센서 노드용 파일 시스템은 노어 플래시 기반으로 개발되어 있으며 낸드 플래시에 적용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대용량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파월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지만, 센서 노드는 오직 4-10 KByte의 매우 작은 크기의 메모리를 지원하므로 효율성이 뛰어난 파일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논문은 1 Kbit의 매우 작은 크기의 EEPROM을 부착하여 이러한 메모리 한계를 극복하였으며 자원의 효율성, 대용량의 지원 및 신뢰성을 고려한 새로운 파일 시스템의 설계에 대하여 논한다. 위치를 유지해야 하는 데이터의 위치저장을 위하여 EEPROM을 사용하며 장기간 데이터를 수집할 때 페이지의 갱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로그 리스트 기반의 페이지 처리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이는 획기적으로 페이지 갱신 횟수를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보다 긴 시간동안 데이터의 수집을 용이하게 만들며 센서 노드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 PDF

Hardware based set-associative IP address lookup scheme (하드웨어 기란 집합연관 IP 주소 검색 방식)

  • Yun Sang-Ky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0 no.8B
    • /
    • pp.541-548
    • /
    • 2005
  • IP lookup and forwarding process becomes the bottleneck of packet transmission as IP traffic increases. Previous hardware-based IP address lookup schemes using an index-based table are not memory-efficient due to sparse distribution of the routing prefixes. In this paper, we propose memory-efficient hardware based IP lookup scheme called set-associative IP address lookup scheme, which provides the same IP lookup speed with much smaller memory requirement. In the proposed scheme, an NHA entry stores the prefix and next hop together. The IP lookup procedure compares a destination IP address with eight entries in a corresponding set simultaneously and finds the longest matched prefix. The memory requirement of the proposed scheme is about $42\%$ of that of Lin's scheme. Thus, the set-associative IP address lookup scheme is a memory-efficient hardware based IP address lookup scheme.

KM-leveling : A Level-Based Wear Leveling Scheme for NAND Flash Memory (KM-평준화: NAND 플래시 메모리를 위한 레벨 기반소거 횟수 평준화 기법)

  • Kim, Do-Yun;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b
    • /
    • pp.321-326
    • /
    • 2007
  • 최근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랜 스위치, 디지털 셋톱박스, 휴대용 MP3 플레이어, 노트북용 PC 카드, 내장 기기의 펌웨어 등 플래시 메모리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저장 장치와 달리 플래시 메모리는 특정 블록에 쓰기 연산을 하기 전에 해당 블록은 미리 소거(erase-before-write)되어 있어야 하는 제약이 있으며, 각 블록은 소거될 수 있는 횟수가 제한적이다. 이런 단점들은 플래시 메모리가 대용량화됨에 따라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각 블록에 대한 소거 횟수의 제한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거 횟수 평준화 기법(wear-leveling) 기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의 소거 횟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소거 횟수 평준화 기법으로 전체 블록에 대한 소거 횟수 레벨을 두어 소거 횟수 평준화를 이루는 KM-평준화(KM-leveling)를 제안한다. KM-평준화는 소거 횟수 평준화를 위한 전체 블록의 계산 비용을 최소화하고 블록에 대한 소거 레벨을 두어 적은 공간을 사용하는 효율적인 기법이다. 본 논문은 M값 범위 이내에 각 블록의 소거 횟수들이 존재하도록 보장하는 KM-평준화를 제안한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과 보안

  • 김형중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0 no.5
    • /
    • pp.635-644
    • /
    • 2003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만 볼 수 있는 보안문제를 가용성, 인증성, 익명성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 분야의 보안기술은 기존의 방법과 여러 면에서 다르다. 무선 애드학 네트워크 또는 센서 네트워크의 예에서 보는 것처럼 제한된 계산 성능과 메모리, 전력소모를 최소화히기 위한 통달거리 제한 및 아이들 상태 유지, 온라인 서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해 발생하는 집중형 기술 구현이 불가능한 한계로 인해 새로운 이슈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런 문제들과 해결책 일부를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