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메뉴 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ffects of Easy Understanding of Library User Interface on the Use of Electronic Materials in a Virtual Academic Library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이해용이성이 전자도서관 자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 Yoo, Jae-Ok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1
    • /
    • pp.59-72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easy understanding of user interface could affect the use of electronic materials in a virtual academic library. The user interface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was analysed in terms of label description and array of menus. The frequencies of menu use were collected by analysis of use log files after modified user interface was applied. Clear label descriptions of link menus and sub-menus of electronic material search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number of user clicks on the modified menu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more clearly menu labels are described, the more frequently users click the menus on the academic library user interface.

A study of generative melody interface (개인 멜로디 생성 인터페이스 연구)

  • Kim, Yeong-Seon;Ban, Sa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3-145
    • /
    • 2007
  • 다양한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바일 기기나 컨버젼스 제품들의 주요 특징으로, 주요 메뉴 외 다수의 부가 메뉴가 제공된다.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감상하기 위하여 메뉴 선택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객체를 검색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검색 상황에서 사용자 의지가 개입된 개인 멜로디를 출력함으로써 검색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에 고안된 인터페이스는 범용의4방향 버튼을 활용하여 각각의 메뉴에 사용자가 임의로 고유 음계를 지정할 수 있게 하였다. 지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러를 고속으로 변경 시 메뉴들은 지정된 멜로디를 출력하게 되며 이때의 출력음들이 모여 개인 멜로디가 생성된다. 본 논문을 통해 사용자 의지가 개입된 개인 멜로디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의 개발 과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An Experimental Comparison on Visualization Techniques of Long Menu-Lists (긴 메뉴항목 리스트의 시각화 기법 비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eo, Eun-Gyoung;Sung, Hye-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4 no.2
    • /
    • pp.71-87
    • /
    • 2007
  • With the rapid change of the Web and E-transaction application, the search interface is providing more powerful search and visualization methods, while offering smoother integration of technology with task. Especially,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long menu-lists are applied in retrieval system with the goal of improving performance in user's ability to select one item from a long list. In order to review visualization techniques appropriate to the types of users and data set, this study compared the five visualization browsers such as the Tree-structured menu, the Table-of-contents menu, the Roll-over menu, the Click menu, and Fisheye menu. The result of general analyses shows that among the hierarchical methods, the experienced group prefers the Table-of-contents method menu, whereas the novice's group prefers the Tree-structure method menu. Among the linear methods, the two groups prefer the Roll-over menu. The Roll-over menu is most preferred among the five browsers by the two groups.

Animation Techniques with Direction Control in Pull-down Menu for Improving Web User Interface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 향상을 위한 풀다운메뉴에서 방향제어가 가능한 애니메이션 기법)

  • Cho, Han-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1
    • /
    • pp.525-536
    • /
    • 2016
  • As obtaining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has increased recently, the importance of web-based user interface more than ever is being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liding structures of submenu in pull-down menu for improving web user interface. Animation techniques applied to the submenu of the pull-down menus that are being used at many web sites have very monotonous sliding structur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new sliding algorithm based on enlarging/reducing and moving animation techniques with direction control in pull-down menu is proposed.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can not only improve visual effects significantly but be also easily appli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web-based user interface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pull-down menus. Finally, experiments on application of the proposed sliding algorithm to responsive image slider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achieve good results. Further studies taking into account performance are needed to implement web-based interactive contents using the proposed method.

A Study on Personalized Menu Interface in Smart Phones (스마트폰에서의 사용자 맞춤형 메뉴 인터페이스 제공 기법 연구)

  • Kim, So-Young;Shim, Soo-Yeon;Ahn, Ji-Young;Lim, Soon-B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235-236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대중화됨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환경에서는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많은 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할 경우 메뉴를 찾아가는 것이 불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점에 적절한 메뉴를 추천해주는 사용자 맞춤형 메뉴 인터페이스 제공 기법을 연구하였다. 안드로이드 기반에서 구현하였으며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토대로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패턴 분석 결과에 기반한 메뉴 인터페이스 제공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Development of Mobile Phone Menu Structure based on Visual Concept Map (Visual Concept Map 에 기초한 핸드폰 메뉴 구조 개발)

  • Lee, Suk-Won;Myung, Ro-Hae;Kim, In-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399-404
    • /
    • 2008
  • 사용자 중심의 메뉴 기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지식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의 지식 구조를 이해하게 되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달된 자극들이 만들어낸 개념들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정신 모형(mental model)을 형성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인간의 지식 구조는 MDS (Multidimensional Scaling)과 Trajectory Mapping을 이용하여 Visual Concept Map 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인간의 지식구조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MDS 는 인간의 머릿속에 자리잡고 있는 개념들의 상대적 위치를 알려주고, Trajectory Mapping 은 개념들 간의 연결 상태를 보여준다. 즉, Trajectory Mapping 을 통하여 개념들 간악 인지적 정보를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MDS 와 Trajectory Mapping 을 이용하여 핸드폰 메뉴로부터 전달 받은 시각적 자극들에 악해 형성된 개념들에 대한 인간의 지식 구조를 Visual Concept Map 으로 시각화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시각화된 지식 구조를 바탕으로 메뉴 구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 MDS 와 Trajectory Mapping 을 이용한 인간의 지식 구조의 시각화는 사용자 중심의 메뉴 기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A 3D visualization method for mobile interface based on user's menu preference (사용자 메뉴 선호도 기반 모바일 인터페이스 3D 시각화 기법)

  • Yu, Seok-J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7
    • /
    • pp.49-55
    • /
    • 2010
  • The analysis of menu preference by different users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mobile interface design. Current mobile phones do not provide any functionalities to customize the user interface based on use history after they are released by manufacturers or mobile carriers. Though a number of functions are loaded into mobile devices, all the menus are uniformly presented to users regardless of menu preference, and it becomes a reason to decrease the usability of mobile interface. To improve this limitation, this paper suggests how to apply 3D visualization methods to mobile interface, depending on menu use history. In addition, for performance evaluation, 3D mobile interface system was implemented using 3D visualization methods such as depth, transparency, and animation. Finally, experiments for performance evaluation were performed in order to measure and compare menu search times.

Projector-based Tangible Menu System in Virtual Environment (가상환경에서의 프로젝터 기반 텐저블 메뉴 시스템)

  • Lee, Young-Bo;Yun, Chang-Ok;Yun, Tae-Soo;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277-28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환경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젝터 기반의 텐저블 메뉴 시스템을 제안한다. 텐저블 메뉴 시스템이란 텐저블 인터페이스(Tangible Interface)의한 형태로서 가상현실을 체험하고 있는 사용자가 프로젝터를 통해 메뉴 스크린에 투영된 영상을 보면서 디지털 정보를 제어하는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장치이다. 텐저블 인터페이스의 또다른 형태로서, 디지털 데스크(Digital Desk) 시스템의 경우 프로젝터의 영상이 투영되는 대상이 되는 데스크의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휴대 가능한 메뉴 시스템에 적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 환경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메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메뉴 스크린에 투영되는 영상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가상 환경상에서 높은 몰입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에서 사용자와의 유연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시스템으로 사용 될 수 있다.

  • PDF

Menu design for touch screen interface with regard to task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processes (터치스크린 환경에서의 작업 특성 및 인지 과정을 고려한 메뉴 디자인)

  • Kong, Byung-Don;Min, Jung-Sang;Myung, Ro-H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763-768
    • /
    • 2009
  •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작업 환경에 따른 사용자의 작업 특성 및 이와 관련된 인지 과정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손가락을 직접 사용하는 새로운 작업 환경인 터치스크린을 적용하는 다수의 기기들은 바뀐 작업 환경에 대한 고려 없이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방식에서의 메뉴 구조를 그대로 따르고 있어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움직임 및 인지적 과정을 야기시켜 사용성의 저하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 손가락 작업 환경의 물리적 특성 및 이에 따른 사용자들의 보다 단순한 인지 과정을 고려한 동적인 메뉴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동적인 메뉴구조에서 보다 빠른 작업 수행 경향을 보였으며, 인지적 과정에 있어서도 그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터치스크린 환경에서의 작업 특성 및 인지 과정을 고려한 동적인 메뉴 구조는 정적인 메뉴 구조보다 일반적인 사용자 중심의 메뉴 기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보인다.

  • PDF

A study of the effect on the usability for mobilephone main menu navigation (모바일폰의 메인메뉴 네비게이션 방식이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h, Young-Jae;Lee, Hyun-J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327-332
    • /
    • 2007
  • 모바일폰의 컨버전스가 가속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습득해야 할 정보량이 증가하였고,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학습과 숙련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부담이 발생하게 되었다. 모바일폰의 주 사용자층인 20-40대 외에 10대와 50대 이상의 이동전화 이용률이 꾸준히 증가하여 실버폰과 키즈폰 시장이 형성될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제조사에서는 획일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인만을 제공하여 다양한 사용자 층의 요구와도 서로 맞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폰의 휴먼인터페이스 요소 중 메뉴요소에 해당하는 메인메뉴의 네비게이션 방식에 중점을 두어 각 사용자 유형별로 사용성을 측정하였다. 국내외 모바일폰 제조사에서 2006년 출시된 제품에서 메인메뉴 네비게이션 방식을 추출하여 8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플래시 기반의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사용성 측정에 이용하였다. 모바일 사용성 평가를 위한 요인을 중심으로 10대부터 60대 이상의 다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뮬레이터 사용을 관찰하여 분석하였으며 또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폰 기종을 고려하여 설문지로 사용성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방식도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유형별로 사용성이 높은 인터페이스를 선별하고 사용자의 개성과 선호도를 고려한 선택적인 UI 개발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