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멀티터치스크린

Search Result 4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sign Multi Touch Screen by Linear Touch Sensor on Resistive Touchscreen (감압식 터치스크린상에서 선형 센서를 이용한 멀티 터치 스크린 구현)

  • Shin, Jae-Joon;Han, Tack-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309-312
    • /
    • 2009
  • 현대 사회가 모바일 컴퓨팅 시대로 나아가면서 개인들이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의 발전이 눈부시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이 점점 더 작은 크기의 기기를 원하고 그와 상반되어 더욱 큰 화면을 통하여 더 많은 정보를 한 눈에 처리하기를 원하면서, 별도의 입력장치가 필요 없이 전연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확산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 방식에 관해 알아보고, 특히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감압식과 정전식 터치스크린 방식의 차이점을 알아본다. 또한 멀티 터치 구현이 어려운 감압식 터치스크린 방식에서 선형센서를 이용하여 다중 입력 방식 터치스크린 구현 방안을 제안한다.

  • PDF

A Design on Mechanism for Recognize Simultaneous multiple-input in Multi-touch Screen Environment (멀티터치 스크린 환경에서 동시 다중입력 인식을 위한 메커니즘 설계)

  • Ju, Seung-Hwan;Seo, Hee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017-1020
    • /
    • 2011
  • 터치스크린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에 손가락, 펜 등을 접촉하여 입력하는 방식이다. 터치스크린은 정확성, 입력속도, 문자입력 등에서는 개선이 필요하나, 누구나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기존에는 현금인출기, 키오스크(Kiosk) 등 공공분야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터치스크린은 손가락을 접촉하는 것만으로 컴퓨터, 모바일 기기 등을 직관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현재는 단순 터치스크린 환경을 넘어 동시 다중 입력이 가능한 멀티터치 환경의 터치스크린이 상용화 되면서 동시 다중 입력을 통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시에 입력한 여러 개의 아이템을 인식하는 방법을 다중 입력 패스워드를 통해 시뮬레이션 해보았다. 선택된 아이템으로 리스트를 구성하고 이를 동시 입력 단위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의 다중 입력의 정확성과 시스템 입장에서의 인식률을 높이고자 하였다.

Image Processing Algorithms for DI-method Multi Touch Screen Controllers (DI 방식의 대형 멀티터치스크린을 위한 영상처리 알고리즘 설계)

  • Kang, Min-Gu;Jeong, Yong-Ji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8 no.3
    • /
    • pp.1-12
    • /
    • 2011
  • Large-sized multi-touch screen is usually made using infrared rays. That is because it has technical constraints or cost problems to make the screen with the other ways using such as existing resistive overlays, capacitive overlay, or acoustic wave. Using infrared rays to make multi-touch screen is easy, but is likely to have technical limits to be implemented. To make up for these technical problems, two other methods were suggested through Surface project, which is a next generation user-interface concept of Microsoft. One is 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FTIR) which uses infrared cameras, the other is Diffuse Illumination (DI). FTIR and DI are easy to be implemented in large screens and are not influenced by the number of touch points. Although FTIR method has an advantage in detecting touch-points, it also has lots of disadvantages such as screen size limit, quality of the materials, the module for infrared LED arrays, and high consuming power. On the other hand, DI method has difficulty in detecting touch-points because of it's structural problems but makes it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FTIR. In this thesis, we study the algorithms for effectively correcting the distort phenomenon of optical lens, and image processing algorithms in order to solve the touch detecting problem of the original DI method. Moreover, we suggest calibration algorithms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multi-touch, and a new tracking technique for accurate movement and gesture of the touch device. To verify our approaches, we implemented a table-based multi touch screen.

A Study on Interaction Style for Full LCD Mobile Phone based Touchscreen (터치스크린기반 Full LCD 모바일폰을 위한 인터랙션 스타일 연구)

  • Kim, Hyung-Mi;Noh, Hye-Eun;Suh, In-E;Ryoo, Han-Yo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26-232
    • /
    • 2007
  • 모바일폰의 LCD 전면화 추세로 인해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폰이 컨셉폰의 형태로 선보여지고 있고, 부분적으로 터치스크린을 차용한 모바일폰이 국내, 국외에 출시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간편하고 직관적인 조작감을 제공하며 유동적인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스크린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진보된 인터랙션 스타일도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터치스크린 기반의 모바일폰은 스타일러스를 그대로 사용하듯, 제한적이고 전형적인 인터렉션만을 제공하고 있고, 제안된 진보된 인터렉션 스타일들도 터치스크린 기반의 모바일폰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진보된 인터랙션 스타일 중에서, 원 포인팅과 2개 이상의 포인팅이 가능한 멀티 포인팅 인터랙션을 연구하여 터치스크린기반의 Full LCD 모바일폰에 적합한 인터랙션 스타일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인터랙션에 대한 문헌연구와 함께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디지털기기를 검토해보고, 터치스크린에 적용 가능한 진보된 인터랙션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그 후 터치디스크린 기반의 디지털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유저테스트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터치스크린 기반의 모바일폰에서 구현되어야 할 상세 인터랙션 스타일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인터랙션 스타일은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가능하게 하여 고기능, 고사양화 되어가는 모바일폰의 UI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ouch-screen Development Using Visible-ray (가시광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구현에 대한 연구)

  • Park, Jun-Woo;Jeong, Yong-Ji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8 no.3
    • /
    • pp.50-61
    • /
    • 2011
  • The Infrared touch method is generally used for a mid and large-size touch screen. But this method has several problems, such as difficulty with installation of a touch-object recognition device, limited application and coordinate error in multi-point touch system. Since we can take advantages of both color and local information when we use general cameras for a touch screen, a touch screen using general camera is more efficient than infrared one. It also has an advantage of easy installation of a touch-object device. However, it did not much appeal in a market because of several problems, such as color sensitivity, illumination and reflected light. In this paper, we study a method for a touch screen using a general camera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o recognize touch objects and coordinate calculation method to single and multi-point touch screen. It has the same recognition performance as an infrared touch screen for single-point method. And it does not have ghost point problem by using distance information of touch object and camera in multi-point touch system. But recognition performances of multi-point touch screen are less than single-point. If we improve execution time, this method can replace an infrared method for a single point touch screen, according to result of experience.

Production of 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Multi-touch Screen for AR Table-top Board Game (AR 보드 게임을 위한 멀티 터치 스크린 시스템 제작)

  • Han, Sang-Heon;Kim, Jung-Hoon;Kang, Maeng-Kwan;Park, Jung-Pil;Jang, Song-Hyun;Yun, Tae-Soo;Lee, Dong-Ho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80-8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AR 보드 게임을 위한 FTIR 방식의 멀티 터치 스크린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보드 게임은 카드의 정보나 위치등 다양한 정보를 보여주면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버튼과 같은 단순한 형태의 입력을 요구한다. 이러한 낮은 상호작용을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패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멀티 터치 스크린 시스템을 적용한 텐저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더 많은 상호작용과 높은 몰입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텐저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Jefferson Y. Han이 제안한 시스템과 유사한 형태의 FTIR 방식의 멀티 터치 스크린을 테이블 탑 형태로 제작한다. 또한, 스크린 위의 카드를 인식하기 위해서 특정한 모양의 패턴을 적용한 적외선 반사지를 카드에 입힌 후, DI 방식을 사용하여 카드의 고유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의 확장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높은 몰입감을 제공하기 위해 Bimber가 제안한 Virtual Showcase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이전의 단조로운 형태의 게임에서 벗어나 훨씬 다양하고 높은 몰입감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 PDF

Interactive Digital Storytelling Based on Interests (흥미도를 반영한 인터렉티브 디지털 스토리텔링)

  • Kim, Yang-Wook;Kim, Jong-Hun;Park, J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508-511
    • /
    • 2009
  • In Interactive Storytelling, storyline is develop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raction. Diffrerent from linear, fixed storytelling, users may select an event or make decisions which affect on the story plotting. Therefore user's feeling of immersion and interest may be greatly enhanced. In this paper, we used markers and multi-touch pad for user's interaction for interactive storytelling. Users could present his/her level of interest and provide feedback through markers and multi-touch pad, through which storyline was differently developed.

  • PDF

Design of an Infrared Multi-touch Screen Controller using Stereo Vision (스테레오 비전을 이용한 저전력 적외선 멀티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의 설계)

  • Jung, Sung-Wan;Kwon, Oh-Jun;Jeong, Yong-Ji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7 no.2
    • /
    • pp.68-76
    • /
    • 2010
  • Touch-enabled technology is increasingly being accepted as a main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human and computers. However, conventional touchscreen technologies, such as resistive overlay, capacitive overlay, and SAW(Surface Acoustic Wave), are not cost-effective for large screens. As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methods, we introduce a newly emerging method, an optical imaging touchscreen which is much simpler and more cost-effective. Despite its attractive benefits, optical imaging touchscreen has to overcome some problems, such as heavy computational complexity, intermittent ghost points, and over-sensitivity, to be commercially used. Therefore, we designed a hardware controller for signal processing and multi-coordinate computation, and proposed Infrared-blocked DA(Dark Area) manipulation as a solution. While the entire optical touch control took 34ms with a 32-bit microprocessor, the designed hardware controller can manage 2 valid coordinates at 200fps and also reduce energy consumption of infrared diodes from 1.8Wh to 0.0072Wh.

A Design of Korean Input Method using Direction of Vowel on the Touch Screen (터치스크린에서의 모음의 방향성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식의 설계)

  • Lim, Yang-Won;Lim, Han-Kyu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4 no.7
    • /
    • pp.924-932
    • /
    • 2011
  • Though the spread of the touch screen devices is now revitalized, the Korean input methods in the touch screen devices are mostly the button input methods using keypads. Even though the button input methods are used with a touch screen, they still adopts the existing qwerty keyboard. It means that the existing methods can not be improved.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Korean input method which can be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s and the touch screen devices, for example, a smart phone which has a limited sized screen. It assigns every vowel a process which corresponds with the Korean invention theory and the vowel input method is to drag it. Through the mock experiments, we confirmed that the simplification of the Korean alphabet is more efficient than the existing methods, in the point of the speed of the Korean input.

Low resistive multi-layer electrode for touch panel adopted with high performance stylus pen (저저항 멀티레이어 전극기반 고성능 스타일러스펜 일체형 터치패널)

  • Hong, Chan-Hwa;Lee, Jun-Min;Choe, Ho-Yeol;Kim, Yeong-Hoe;Gwak, Yeong-Jin;Jeong, 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42.1-42.1
    • /
    • 2018
  •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패널은 모바일에서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이르기까지 휴대용 전자장치를 위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덕분에 최근 몇 년간 관심이 집중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성형성과 정확성 및 고감도 터치패널 제작을 위해 Ionized Physical Vapor Deposition (IPVD)시스템을 이용하여 멀티레이어(Oxide/Metal/Oxide)의 투명전극을 형성 하였다. 멀티레이어 전극은 5.1 ohm/sq의 면저항과 89.5%의 투과율을 나타내며, 높은 신뢰성 및 접촉력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패턴크기보다 작은 3.8mm pitch 패턴의 15인치 GFF타입 터치패널을 성공적으로 제작 하였으며, 터치센서는 우수한 선형성, 정확성 및 고감도 스타일러스펜 (직경=1mm)의 멀티터치를 구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