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ouch-screen Development Using Visible-ray

가시광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구현에 대한 연구

  • Park, Jun-Woo (Department of Embedded software, Kwangwoon University) ;
  • Jeong, Yong-Jin (Department of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Kwangwoon University)
  • 박준우 (광운대학교 임베디드소프트웨어공학과) ;
  • 정용진 (광운대학교 전자통신공학과)
  • Received : 2010.09.13
  • Accepted : 2011.02.15
  • Published : 2011.05.25

Abstract

The Infrared touch method is generally used for a mid and large-size touch screen. But this method has several problems, such as difficulty with installation of a touch-object recognition device, limited application and coordinate error in multi-point touch system. Since we can take advantages of both color and local information when we use general cameras for a touch screen, a touch screen using general camera is more efficient than infrared one. It also has an advantage of easy installation of a touch-object device. However, it did not much appeal in a market because of several problems, such as color sensitivity, illumination and reflected light. In this paper, we study a method for a touch screen using a general camera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o recognize touch objects and coordinate calculation method to single and multi-point touch screen. It has the same recognition performance as an infrared touch screen for single-point method. And it does not have ghost point problem by using distance information of touch object and camera in multi-point touch system. But recognition performances of multi-point touch screen are less than single-point. If we improve execution time, this method can replace an infrared method for a single point touch screen, according to result of experience.

중대형 터치스크린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적외선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 방법은 터치인식장치의 설치가 어렵고, 응용의 범위가 제한적이며, 멀티포인트 방식에서 좌표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일반 카메라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의 경우 접촉이 일어난 위치 이외에서 접촉 물체의 색상정보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적외선을 사용하는 터치스크린보다 활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적외선 터치스크린에 비하여 설치가 간편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주변의 색상 및 조도에 따라서 인식 성능이 달라지고, 스크린의 반사광도 인식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지금까지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카메라를 사용하는 터치스크린의 구조, 접촉 물체의 인식 및 싱글 포인트 및 멀티 포인트의 좌표 연산과정에 대하여 연구한다. 이 방법은 싱글 포인트의 터치스크린에서 적외선 카메라방식과 동일한 인식성능을 보였다. 멀티 포인트 터치스크린은 접촉 물체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기존의 터치스크린이 가지고 있는 고스트 포인트(Ghost point)를 해결하였으나, 싱글 포인트 터치스크린에 비하여 인식성능이 감소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싱글 포인트 터치스크린의 수행속도를 개선할 경우 적외선 카메라방식을 대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성완, 권오준, 정용진, "스트레오비전을 이용한 저전력 적외선 멀티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의 설계",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제47권 SD편, 2호, 68-76쪽, 2010년 2월
  2. Pak-Kiu Chung, Bing Fang and Francis Quek, MirrorTrack - A Vision Based Multi-Touch System for Glossy Display Surface,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isual Information Engineering, July, 2008, Xi'an, China.
  3. J. Y. Han, "Low-Cost Multi-Touch Sensing through 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In Proceedings of the 18th Annual ACM Symposium on User Interface Software and Technology, pp.15-118, 2005.
  4. A. D. Wilson, "TouchLight: An Imaging TouchScreen and Display for Gesture-Based Interaction," In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odal Interfaces, pp.69-76, 2004.
  5. R.Y. Tsai, "A versatile camera calibration technique for high accuracy 3d machine vision metrology using off-the-shelf TV cameras and lenses", IEEE Journal of Robotics and Automation, vol. RA-3, pp. 323-344, 1987.
  6. Agarwal, A., et al."High Precision Multi -touch Sensing on Surfaces using Overhead Cameras", Horizontal Interactive Human- Computer Systems, 2007. TABLETOP '07. Second Annual IEEE International Workshop on, pp. 197 - 200, 2007.
  7. 정성완, 이현오, 정용진, "광학 영상 기법을 이용한 멀티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 개발",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 344-347쪽, 전북대학교, 대한민국, 2009년 5월
  8. Displaybank's Research Division, "미래형 터치스크린 기술 분석 및 시장전망(내장형 터치스크린 기술과 시장)", Displaybank, pp.12-16,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