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

Search Result 16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PEG-4 based XMT APIs for Scene Description (장면 기술을 위한 MPEG-4 기반 XMT API 구현)

  • 정예선;김규헌;기명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1.11b
    • /
    • pp.91-94
    • /
    • 2001
  • MPEG-4 시스템은 장면 자체를 하나의 구성 요소로 여기는 기존의 시스템과는 달리, 그 장면을 구성하는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A/V 객체(Audio/visual Objects)들을 하나의 단위로 인식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장면을 구성(Scene Composition)하고 표현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MPEG-4 시스템의 객체 기반 특징은 다양한 사용자와의 대화성(Interactivity)을 가능하게 하며 , 또한 편리한 컨텐츠 편집 및 재사용 등이 가능하기에 차세대 디지털 방송 컨텐츠 제작에 중요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객체 기반 A/V 편집 도구는 MPEG-4를 기반으로 차세대 디지털 방송 컨텐츠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작/편집 도구로써 , 장면을 표현하기 위하여 BIFS(Binary Format for Scene description)와 XMT(eXtensible MPEG-4 Textual format) 포맷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 BIFS 포맷은 저작된 결과물을 바이너리 형태로 표현하기 때문에, 저작된 결과물을 전송하는 데에는 용이하나, 중간에 저작된 결과물을 확인하기 어렵고, 또한 기존의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상호 작용(Interoperability)과 교환(Exchange)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반해, XMT는 차세대 마크업 언어로 각광 받고 있는 XML 에 그 기반을 두고 있기에 저작된 결과물을 제작자가 쉽게 저작물을 이해할 수 있으며, SMIL 과 X3D 같은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상호작용과 교환 또한 용이하게 한다 XMT는 기술 방법에 따라 XMT-A 와 XMT-0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XMT-A 포맷은 VRML에서 발전한 X3D(extensible 3D)를 바탕으로 MPEG-4 시스템의 특징들을 수용하여 구성되고 BIFS와 일대일로 대응된다. 반면에 XMT-0는 멀티미디어 문서를 웹문서로 표현하는 SMIL 2.0 을 그 기반으로 하였기에 MPEG-4 시스템의 특징보다는 컨텐츠를 저작하는 제작자의 초점에 맞추어 개발된 형태이다. XMT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저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저작 정보들을 손쉽게 저장하고 조작할 수 있으며, 또한 XMT 파일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API 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XMT 형태의 중간 자료형으로의 저장 및 조작을 위하여 XML 에서 표준 인터페이스로 사용하고 있는 DOM(Document Object Model)을 기반으로 하여 XMT 문법에 적합하게 API를 정의하였으며, 또한, XMT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API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공된 API는 객체기반 제작/편집 도구에 응용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에 사용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 Plugin Program for Multimedia Service in the Internet (인터넷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플러그인 프로그램 개발)

  • Yi, Sang-Hyon;Lee, Myeong-Won;Song, Ju-Won;Kim, Young-Wha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3 no.1
    • /
    • pp.49-55
    • /
    • 1997
  • In order to use a multimedia authoring tool in the Internet, it is necessary to have the Web browser manipulate the applications generated by the tool in the browser window. It can be accomplished by the technique of plug-in. Currently. Many kinds of plugin program are provided in the Internet, and can be accessed by using the Web growser. From the trend of increasing the usage of the Internet, it is needed to provide the Internet user with the plugin program so that some software tools developed could be used in the Web browser.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method of developing a plugin program for the playback module of a multimedia authoring tool. The applications generated by the authoring tool can be accessed in the Netscape Navigator browser.

  • PDF

TRSG 모델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및 저작 도구 개발

  • Na, In-H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6 no.1
    • /
    • pp.36-44
    • /
    • 2000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veloping of a tool which supports both multimedia presentation with user's participation through a high speed network and authoring of various media using a single authoring tool. To support real-time synchronous multimedia presentation, we adopt dynamic synchronization method and adaptive transmission algorithm for synchronizing data transfer rate between sender and receiver using buffer management algorithm based on QoS parameters. And we also allow user's participation in the presentation using TRSG(Temporal Relationship Specification Graph) model. Finally, the proposed tool supports the minimal level of QoS and its continuous play-out using event auditing threads which control the current state of a multimedia presentation continuously by monitoring of negative factors effecting on QoS, and synchronization.

  • PDF

A SMIL 1.0 Contents Generating Tool Implemented by JAVA (JAVA로 구현한 SMIL 1.0 컨텐츠 생성도구)

  • Song, Jun-Hong;Kim, Se-Young;Lee, Jong-Youl;Kim, Hyun-Hee;Shin, Dong-Kyoo;Shi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565-568
    • /
    • 2001
  • 고속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관련 기술의 발달에 따라 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기반 구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단순 이미지, 텍스트만으로 구성되었던 기존의 웹 서비스 환경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의 정적인 텍스트 위주의 고정된 내용을 표현하는 웹 페이지 저작으로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급격히 증대되는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1998년도에 시간에 기반을 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통합 및 동기화를 위한 효과적인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을 기술할 수 있는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이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 의해 제안되었다. SMIL은 XML(eXended Markup Language)에 기반 한 선언적 마크업(Markup) 언어이며 텍스트 편집기 등으로 쉽게 저작할 수 있으나, 태그(Tag)기반 언어이므로 태그의 사용법을 숙지하여야만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Java를 기반으로 한 SMIL 문서 템플릿 기능과 멀티미디어 소스의 미리 보기 기능을 지원하는 SMIL 저작도구의 설계, 구현에 대하여 서술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Multimedia Authoring Tool (W3C 표준기반 웹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의 설계 및 구현)

  • Kim, Se-Young;Shin, Hwa-Jong;Kim, Sang-Kok;Shin, Dong-Il;Shin, Dong-K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735-738
    • /
    • 2000
  • 인터넷과 데이터 통신의 발달에 따른 관련 기술의 발전과 대중화로 인하여 다양해진 정보를 손쉽게 구할 수 있게 되었고, 현재 통신산업의 환경 또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의 정적인 텍스트 위주의 고정된 내용을 표현하는 웹 페이지 저작으로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급격히 증대되는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1998년도에 시간에 기반을 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통합 및 동기화를 위한 효과적인 프리젠테이션 (Presentation)을 기술할 수 있는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이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Synchronized Multimedia Working Group (WG)에 의해 제안되었다. SMIL은 XML(eXended Markup Language)에 기반한 선언적 마크업 (Markup) 언어이며 텍스트 편집기 둥으로 쉽게 저작할 수 있으나, SMIL 또한 태그(Tag)기반 언어이므로 태그의 사용법을 숙지하여야만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Java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편의적인 SMIL 전용 저작도구의 설계, 구현 및 향후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Multimedia Library Information System (멀티미디어 도서관 정보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김연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5.08a
    • /
    • pp.83-86
    • /
    • 1995
  • 본 연구에서 구축된 멀티미디어 도서관 정보시스템은 대학도서관을 기본 모형으로 하여 설계하였다. 이 시스템은 7 개의 모듈 즉 참고문헌제공 전문가시스템, 학술지 브라우징, 멀티미디어 데이타베이스, 텍스트 데이타베이스(온라인 열람목록, OPAC), 외부데이타베이스(온라인/CD-ROM/인터넷 데이터베이스), 도서관 이용안내, 시스템이용법으로 구성된다. 시스템의 구현 환경은 IBM 컴퓨터 466DX2/Dp을 사용하고 시스템 개발도구로는 하이퍼텍스트 기능이 첨가된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인 멀티미디어 툴북을 이용하고 이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방식을 채택하였다.

  • PDF

MPEG-4 Content Authoring Framework for Digital Broadcasting (디지털 방송용 MPEG-4 컨텐트 저작 프레임웍)

  • 이동훈;김희선;차경애;김상욱;김경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203-205
    • /
    • 2000
  • 디지털 방송용 멀티미디어 컨텐트는 객체 기반의 사용자 상호작용 지원 및 실시간스트리밍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 기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디지털 방송용 MPEG-4 컨텐트 생성을 위한 저작 모델과 제안된 모델을 적용한 저작 도구를 소개한다. 특히 컨텐트의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특정 파일 포맷에 독립적인 저작 인터페이스와 컨텐트 컴포지션 트리를 제안한다. 정의된 트리는 멀티미디어 디스크립션의 한 표준인 MPEG-4 표준안에서 제안한 장면 디스트립션 형식인 BIFS를 포함하여 다양한 포맷의 컨텐트 생성을 지원하고 기능에 대한 확장이 용이하다. 그리고 이를 응용한 저작 도구에서는 객체 기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방송용 컨텐트를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효과나 템플릿 등 고급-수준의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PDF

멀티미디어 저작도구 립스틱(LipStick)98

  • 추일대
    • KSCI Review
    • /
    • v.5 no.1
    • /
    • pp.47-53
    • /
    • 1998
  •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이나 CD-ROM 타이틀 개발 등 문자, 영상, 음성, 비디오, 하이퍼, 애니메이션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형태의 교안 작성이나, 멀티미디어용 안내서, 홍보물 혹은 광고물 제작, 학습용, CD-ROM 타이틀을 제작할 수 있으며, 특히 대학에서 멀티미디어 수업 교재로 활용을 많이 할 수 있는 S/W이다.

  • PDF

Development of an Authoring Tool Based on Components (컴포넌트 기반 저작도구의 개발)

  • 송태옥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82-385
    • /
    • 2001
  • 학습에 있어서 게임 요소의 도입은 학습동기 유발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컨텐츠 개발에 있어서 중복적인 개발 노력을 배제하여 경제적·시간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컴포넌트들과 저작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컴포넌트들은 게임 제작에 필요한 기능을 캡슐화하여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용하기 편리하고 학습 컨텐츠를 적은 노력으로 손쉽게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가 조립된 학습도구는 ActiveX 컨트롤로 변환되므로 네트웍 기반 학습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 컴포넌트들을 이용한 개발의 예로서 역할놀이용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