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

Search Result 167, Processing Time 0.062 seconds

A Author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multimedia contents development projects in distributed environment (분산 환경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프로젝트를 위한 저작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 고정호;김경렬;임채덕;이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22-27
    • /
    • 1998
  • 국내외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에 대한 연구는 급속히 변하고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환경의 저작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연구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프로젝트 관리에 맞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 Lecture Authoring Tool based on Multimedia Component (멀티미디어 컴포넌트 동기화 기반 강의저작 도구)

  • Choi, Yong-Jun;Jung, Sang-Joon;Ha, Sung-Yong;Kim, Jae-Il;Kim, Cho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916-921
    • /
    • 2000
  •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멀티미디어 처리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교육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강의를 저작하고 재생하는 원격 강의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제한된 형태의 학습자료만 사용하고 음성 및 드로잉에만 의존하는 형태를 벗어나지 못해 면대면 효과가 매우 좋지 않은 강의의 저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교수자의 강의노하우를 반영시킬 수 있는 원격 강의저작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의 강의를 학습자에게 최대한 전달하면서 면대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컴포넌트 기반 원격강의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하는 도구는 디지털 카메라 영상을 포함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사용하며, 드로잉과 포인팅을 이용하여 실감나는 강의를 쉽게 저작할 수 있으며, 강력한 압축기능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빠르게 강의를 전달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Multimedia Authoring Tools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에 관한 연구)

  • 김재운;유봉길;문창수;최정규;정종필;전희정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3 no.1
    • /
    • pp.47-62
    • /
    • 1998
  • The needs and practical use of multimedia authoring tools in education are increasing. In the paper. we analyze essential elements and the functional features of an authoring tool which may be required for developing multimedia CAI programs. Based on a review of popular authoring tools in the market, GREAT-II, Artware, Authorware professional, ToolBook and IconAuthor, we present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next generation multimedia authoring tools.

  • PDF

Implementation of a Java Base Cyber Lecture Authorizing Tool (자바 기반 사이버 강좌 저작 도구의 구현)

  • 김일민;장은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827-830
    • /
    • 2003
  • 인터넷의 등장과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원격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컨덴츠의 저작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전통적인 교실 수업과 같은 학습 효과를 얻기 위해 상호작용 적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도입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 기능상에 많은 제약이 있다. 원격 교육을 위한 강의를 작성하기 위해서 강의자는 관련 프로그래밍 기술 등을 익혀야 하므로 상당한 관련 지식이 요구되어 가상강좌를 개설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의자와 학생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가상 강의 저작도구를 설계 및 구현함으로써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는 초보자도 윈도우 기반의 메뉴방식으로 정보 입력을 통해 교수의 강의와 학생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가상 강의 구축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JVM(Java Virtual Machine)환경에서의 강의저작 및 재생 시스템 구현에 관한 논문이다. 이 시스템은 교수 강의 저작 도구를 구현하고, 수강생 개개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저작된 강의를 재생함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a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editor supporting Template and Preview Facility (탬플릿과 미리보기 기능을 지원하는 SMIL 저작도구의 구현)

  • 송준홍;김세영;원덕재;신동규;신동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394-396
    • /
    • 2001
  • 인터넷 상에서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 및 정보 서비스의 요구가 급증하게 되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운영 및 서비스에 대한 표준 기술의 개발 또한 활발히 진행되게 되었다. 이에 1998년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웹 기반 동기화 된 멀티미디어 통합 언어인 SMIL이 제안되었다. 선언적 마크업 언어인 XML(eXtended Markup Language)에 기반을 둔 SMIL은 웹 상에서의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지만, SMIL 또한 HTML(HyperText Language)과 같은 태그 기반 마크업 언어이므로 각 태그의 사용법을 숙지하여 텍스트 편집기를 이용한 비효율적인 저작에 치중되어 있었다. 이에 SMIL 응용업무에서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SMIL 전용 저작도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국내외에서의 활발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표기법에 기반 한 객체지향 모델링 툴을 사용하여 체계적인 소프트웨어 설계에 따른 SMIL 저작도구를 구현하였다. 템플릿 기능의 지원으로 효율적이고 편리한 SMIL 컨텐츠 생성을 위하여 인턴넷 망(network)의 대역폭에 따른 저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었으며, 미리 보기 기능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직관적이 운영을 지원하도록 구현하였다.

Implementation of SMIL Authoring Tool for Synchronized Multimedia Data Integration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통합 및 동기화를 위한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전용 저작도구의 구현)

  • 김세영;신화종;김상국;신동일;신동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6-18
    • /
    • 2000
  • 인터넷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해 복잡해진 지식체계에 따른 다양해진 정보를 손쉽게 구할수 있게 되었으나,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과 같은 정적인 텍스트 위주의 고정된 내용의 웹 페이지 저작으로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점차 증대되는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게 되었다. 시간에 기반을 둔 멀티미디어 객체를 동기화 하는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을 기술할 수 있는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이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러한 SWIL은 선언적 마크업(Markup) 언어이므로 텍스트 편집기 등으로 쉽게 저작할 수 있으나, 태그(Tag)기반 언어이므로 태그를 암기하고 사용법을 숙지하여야만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Java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편의적인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입각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통합 및 동기화를 위한 SMIL 전용 저작도구의 구현 및 향후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MPEG-4 Authoring Tool supporting Various Players (다양한 재생기를 지원하는 MPEG-4 저작 도구)

  • 이숙영;박한성;차경애;김상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523-525
    • /
    • 2002
  • MPEG-4 컨텐츠 저작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환경의 중요한 요소 기술이다. 본 논문은 다양한 네트웍 환경과 단말 및 재생기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MPEG-4 저작도구를 설명한다. 이 저작 도구는 MPEG-4 컨텐츠가 다양한 재생 파일로 변환한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컴포지션 트리라는 자료구조를 가진다. 이 자료구조는 중간 코트로서 MPEG-4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며 MPEG-4, ASF, HTML 등 다양한 형식의 재생 파일로 변환된다. 그러므로 한번 재생된 MPEG-4 컨텐츠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 단말기에 독립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PDA 퉁 무선 환경에서의 재생으로도 확장 가능하다

  • PDF

A Study on the Efficient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Contents Using Multimedia Authoring Tools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이용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에 관한 고찰)

  • Kim, Min-Sung;Kim, Yoon;Park, Sung-Hoo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1 no.1
    • /
    • pp.1-8
    • /
    • 2010
  • Computers can intensify the students'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about the solution to the problems in class, therefore, computers can be the most appropriate educational tools for the study of problem solving and have been also recognized as a representable study method in the information age, which can pass on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 to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Mutimedia producing tool helps us develop and maintain the educational courseware by way of using general technology of multimedia system. In this thesis, it presents the efficient development process of educational software by using mutimedia producing tool, its educational advantages and problems, and its future progress direction as well.

The 3D Sound Contents Authoring Tool (멀티미디어 컨텐트 제작을 위한 입체음향 생성저작도구)

  • Kim, Jae-Woo;Myung, Hyun;Kim, Hyun-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6b
    • /
    • pp.75-7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트 생성을 위한 입체음향 생성 저작도구 개발에 관하여 논의한다. Windows 95/98, Windows NT 환경의 PC 상에서 동작하는 입체음향 생성 저작도구는 일반적인 음향 편집기가 갖는 편집기능 및 음향 효과 기능 이외에 음상정위 기능, 음장제어 기능의 입체음향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스피커를 통하여 입체음향을 청취할 경우 발생하는 크로스톡크를 제거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개발된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Mono, Stereo 형태로 저장된 음향파일을 순수한 소프트웨어 만으로 가공하여 바이노럴(Binaural) 형태의 입체음향을 생성하여 가상 음원의 위치 및 이동궤적을 정의할 수 있으며 가상공간이 갖는 공간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여 GUI를 통하여 3차원 공간 상의 가상음원의 위치 및 이동 궤적과 가상공간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입체음향 생성저작도구는 일반 PC 환경에서 사용자가 가공하고자 하는 임의의 오디오 파일을 입체음향으로 생성할 수 있는 GUI 환경을 제공하며, 저비용으로 효과적인 입체음향 컨텐트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 및 멀티미디어 컨텐트 제작의 고부가가치화와 입체음향 기술의 산업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Validation Scheme in SMIL Authoring Tool (SMIL 저작도구의 검증 스킴 구현)

  • 김경일;김태현;이승원;정병달;이영진;이규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441-444
    • /
    • 2000
  • Web의 등장은 텍스트위주의 단순한 미디어의 정보를 이미지, 오디오 , 비디오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변화시켰다. 여기에 한걸음 더 나아가 여러 종류의 미디어를 통합하여 표현하기 위한 요구가 확산되어 1998년에는 SMIL 이라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합하여 표현하기 위한 동기화 언어가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SMIL을 사용한 멀티미디어 동기화 문서를 기술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류에 대한 분류를 보여주며, 이러한 오류들을 검사하고, 제거할수 있는 SMIL 저작도구의 검증 스킴 개발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