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먹는 샘물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2초

먹는 샘물 중 bromate 분석 및 분포 특성 (Determination of bromate in bottled mineral water in Korea)

  • 안혜실;김현구;박주현;정동일;김태승
    • 분석과학
    • /
    • 제23권2호
    • /
    • pp.155-160
    • /
    • 2010
  • 먹는 물 중 bromate의 국내 외 시험방법에 대한 분석 조건을 비교하여 최적 시험조건을 확인하고 ion chromatograph-suppressed conductivity detector (IC-CD)를 사용하여 먹는 샘물 중 bromate 함량을 분석하였다. 시료 전처리를 위해 먹는 샘물 20 mL를 온가드 Ba-, Ag-, H-카트리지 순서대로 통과시키고 마지막에 $0.2\;{\mu}m$ 맴브레인 필터로 여과 하였다. 여과한 시료는 IC-CD에 주입하였으며, 시료 중 bromate는 10~50 mM의 KOH 이동상 및 수산화이온용액 이동상에 적합한 가드 및 분석용 컬럼인 AG 19 및 AS 19에 의해 분리하였다. Bromate의 검정 곡선은 $0.5\sim40\;{\mu}g/L$의 농도 범위에서 $r^2$값이 0.9998로 좋은 직선성을 보였으며, 방법검출한계(MDL) 및 정량한계(LOQ)는 각각 0.1, $0.5\;{\mu}g/L$이었다. 2009년 9월 이후 유통 중인 먹는 샘물 157 개 시료를 분석한 결과, 33 개 시료에서 bromate가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시료의 평균농도는 $2.4\;{\mu}g/L$ 이었다. 측정 농도 범위는 $0.5\sim6.5\;{\mu}g/L$로 모두 국내 먹는샘물 수질기준인 $10\;{\mu}g/L$ 이내였다.

먹는샘물 제조업체의 취수량 및 감시정 관리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Water Withdrawal Permit Rate and Monitoring Well Management of Bottled Water Manufacturers)

  • 손두기;박승혁;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29권3호
    • /
    • pp.329-337
    • /
    • 2019
  • 샘물개발허가의 유효기간은 5년이며, 연장허가를 위하여 만료 6개월 전까지 샘물환경영향조사 보고서를 첨부하여 기간 연장을 신청하여야 한다. 제출된 보고서의 심사과정에서 가장 큰 관심은 샘물 취수에 따른 지하수위 강하, 원수 수질분석 및 감시정의 모니터링 결과에 집중된다. 중생대 백악기 지역과 선캠브리아기 변성암 지역에 각각 위치하는 먹는샘물 제조업체의 취수정에 대하여 수중모터펌프의 양수능력과 양수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수위강하량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양수능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매시간 동일하게 양수시간과 회복시간을 조정하는 방법보다 수위강하량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변성암 지역에 설치한 감시정에 대하여 pH센서의 계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설치 후 경과시간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일정한 값에 수렴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관리가 어려운 pH항목을 감시정에서 제외하거나 사용자 친화적인 계측방법으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먹는샘물의 보관 기간에 따른 formaldehyde 및 acetaldehyde의 농도 변화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depending on the Time of Storage into Mineral Water)

  • 이연희;이준배;박주현;최자윤;안경희;안혜실;권오상;김태승;한진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1-287
    • /
    • 2011
  •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먹는샘물에서의 보관 기간에 따른 formaldehyde 및 acetaldehyde를 DNPH로 유도체화하여 HPLC/UV로 분석하였다. 먹는샘물 79개 제품에 대하여 검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그 중 9개 제품에 대해 180일 기간 동안 경과 일수에 따른 온도 및 보관 재질에 따른 formaldehyde 및 acetaldehyde의 농도 변화를 조사하여 먹는샘물의 안전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먹는샘물 79개 제품에 대한 검출 현황을 조사한 결과 formaldehyde는 평균농도 $3{\mu}g/L$, 농도 범위는 $0{\sim}29{\mu}g/L$로 나타났으며, acetaldehyde는 평균농도 $20{\mu}g/L$, 농도 범위는 $0{\sim}154{\mu}g/L$로 나타났다. 검출된 제품의 대부분은 오존처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화반응에 의해 오존과 반응하여 formaldehyde와 acetaldehyde가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보관 기간에 따른 온도 및 재질별 formaldehyde와 acetaldehyde 농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PET병에 담긴 먹는 샘물은 대부분 제품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50^{\circ}C$ PET병의 시료는 180일 경과할 때까지 formaldehyde 및 acetaldehyde 모두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리병의 시료는 $25^{\circ}C$, $50^{\circ}C$에서 모두 미량의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보관 기간에 따라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볼 때 formaldehyde 및 acetaldehyde 농도는 PET 병과의 접촉시간 및 온도의 영향을 받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높은 온도에서는 PET병으로부터 aldehyde가 형성 및 물로 이동 과정을 통하여 증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먹는 샘물 생산 공정 중 소독제의 종류 및 사용, 유통기한, 보관방법 등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제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보존과정에서 증감되는 미량유해물질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먹는샘물의 녹농균 분포 및 검사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ing Detection Method of Pseudomonas aeruginosa, an Important Index Organism of Bottled Water Quality)

  • 정현미;김동빈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42-248
    • /
    • 2000
  • 1995년 먹는 물 관리법 제정 이후 공식적으로 분석이 이루어진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국내 시판중인 먹는 샘물의 원수 및 제품 수에서 각각 2.3%와 1.2% 수준으로 검출되어 세균항목 중 대장균군 다음으로 중요한 수질 세균항목으로 나타났다. 최초 제정된 공정시험법은 asparagine-acetamide 배지를 사용하는 일본 및 미국의 방법(A-A법)을 따랐는데, 녹농균의 검출민감도가 뛰어났으나 검출특이성이 높지 않았다. 검출특이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수용성 형광색소를 형성, pyocyanin 색소 발생, 카제인 가수분해 $42^{\circ}C$ 성장 등 녹농균에 특징적인 생화학적 특성을 녹농균 및 유사균 기준주 및 먹는 샘물 분리주에 실험한 결과 42$^{\circ}C$성장이 유사균을 녹농균과 가장 잘 구별시켜주는 특징이었다. 따라서 민감도가 놓은 A-A법에 $42^{\circ}C$ 성장실험을 녹농균의 여타 생화학적 동정시험 이전에 추가로 검사함으로 서 $37^{\circ}C$에서 오양성으로 판정되는 유사균의 상당수를 효과적으로 제외시킬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 PDF

생활용수 수요 및 가치분석을 통한 정책제언 (Study for Demand and Valuing of Residential Water and Policy Suggestion)

  • 박두호;박윤신;이광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5-280
    • /
    • 2006
  • 7대 특.광역시의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생활용수의 수요패턴과 서비스 개선에 대한 지불의사를 추정하였다.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정수기나 먹는 샘물을 이용하는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수도요금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큰 부담을 갖고 있지 않으며 요금 상승시 강한 절수 의지를 보였다. 수돗물이 정수기나 먹는 샘물처럼 안전하다면 소비자는 현재보다 약 16%$(153/m^3)$의 수도요금을 추가적으로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최근 상수도 수요패턴의 변화는 정부가 더 이상 일방적으로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아니라 수요자의 소비 행태 등의 철저한 분석결과를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상수도 정책이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먹는 샘물 수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Quality of Natural Mineral Water)

  • 임현철
    • 지구물리
    • /
    • 제7권1호
    • /
    • pp.41-41
    • /
    • 2004
  • 56 sample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water quality of the natural mineral water of Korea. The geology according to each sample location is grouped into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Okcheon metamorphic rocks, Jurassic granite, Cretaceous granite, and Jeju volcanic rocks. Average EC and pH values of the water is 150 μS/cm and 7.3, respectively and water type of the water is mainly Ca-Na-HCO3. Fundamentally, there still is no problem for the water quality of the natural mineral water. Nevertheless, nitrate was detected and arsenic and fluoride contents are near the drinking water standards, it is highly necessary to manage the water quality by installment of casing and grouting or by development of another production we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