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머리사냥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Rethinking Cultural Identity and its Drivers in Present-Day Indonesia: A Case Study of the Dayak (현대 인도네시아의 문화정체성과 그 동인(動因)에 대한 재고찰: 다약인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 MAUNATI, Yekti
    • SUVANNABHUMI
    • /
    • v.3 no.2
    • /
    • pp.79-123
    • /
    • 2011
  • 문화정체성은 실로 구성적 성격을 지닌 개념으로, 문화정체성의 구성은 상황 (그리고 역사)과 상념 사이에서 발생하는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결과에서 비롯된다. "다약인"이라는 개념의 형성 및 구성에 있어서도 서로 다른 다양한 힘이 작용해왔다. 식민 지배기에 탐험가들과 학자들은 서구적 방식으로 "다약인"의 구성을 구체화시켰고, 이것은 해방 이후 인도네시아 국가의 향방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다약인 정체성의 구성과 그 동인에 관한 논의는 머리사냥, 긴 형태의 가옥들, 종교 등과 같이 다약인을 그려내는 특정한 이미지에 다만 집중하고, 다약을 그려내는 이러한 이미지들이 오늘날 다약인 정체성과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는가에 관한 논의이다. 과거 머리사냥 풍습에 관해서도 다약인에게 있어서 머리사냥의 의미와 관례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분석이 현재 전무하다. 다약인 사회의 또 다른 주요 특징은 독특한 주거양식에서 찾을 수 있다. 주거양식은 대부분의 문헌에서 추정해온 것처럼 독특한 것이 아니라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다약인은 껜야인처럼 종종 연립가옥(라민)을 그들의 중심문화로 여긴다. 깔리만딴 동부에 위치한 롱메카에서 문화와 청년축제가 개최되었는데 이 축제의 전체 진행은 자문화의 재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2006년에 끄라얀에서 개최된 이와 유사한 한 문화축제는 페뭉 에라우 펜제라니(Pemung Erau Pengerani)라고 불린다. 종교 역시 다약인의 인류학적 설명에 있어서 주요 특징으로, 다약인은 보르네오에 거주하는 비(非)무슬림교도들로 정의된다. 과거에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령신앙을 숭배했으나, 다약인들 사이에서 기독교로의 대규모 개종이 일어나면서 다약인은 기독교도와 일반적으로 동일시되었다. 깔리만딴 지역의 무슬림은 다약인이 될 수 없다는 게 일반적인 생각이다. 실로 다약인이 된다는 것은 수많은 힘들의 집합체로부터 그 구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The History and Performative Aspect of Bhutan Paro Tshechu (부탄 파로 체추 <참>의 역사와 연행양상)

  • Jeon, Kyung-Wook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37
    • /
    • pp.327-363
    • /
    • 2018
  • Bhutan's mask dance drama, Cham is performed in the festival of Tshechu. Originating from the 17th century, Tschechu is a religious ritual as well as a traditional festival held to commemorate the birth of Padmasambhava, who spread Buddhism in the kingdom of Bhutan. Bhutanese Cham and Tibetan Cham share similar traits in their content of , , and in their characters of Pawo and Pamo. Meanwhile, , , , , , , , are distinctive performances of Bhutanese cham. Moreover, the clown character Atsara in Bhutanese cham is a character that does not appear in the Tibetan Cham. Atsara, a humorous character, can be identified by its use of a long phallus ornament on the head or by a distorted face mask with a phallus in its hand. Bhutanese Cham, originally from Tibet, is a religious mask dance drama handed down in Lamaism temples. In later generations, new performances reflective of Bhutan's history, myth, legends, and religion were added in large amount. Thus, the Cham of Bhutan now has very independent and characteristic aspects.

JANG-YOOK-DANG's and Irreverence by casting upon the world (장육당(藏六堂)의 육가(六歌)와 완세불공(玩世不恭))

  • Yoon, Yoeng-Ok
    • Sijohaknonchong
    • /
    • v.25
    • /
    • pp.101-127
    • /
    • 2006
  • JANG-YOOK-DANG(장육당) is the pen-name of Lee, Byeol(이별). His elder brother is Lee, won(이원). He was putted to death by the king Yeon-san(연산군). So abandoning the way of the world, JANG-YOOK-DANG hided himself at mountain valley in Peong-san of Hwng-haedo(황해도 평산). Here he angled for fish and with the persons over sixty years old drunk, sang the songs. Then he composed the poem . This poem spreaded abroad, and came to the ears of Lee, Hwang(이황). He criticized this poem to have irreverence by casting upon the world, not to have gentleness and affability. But imitating the poem he composed intended to be sung. For that gentleness and affability are the instruction of the Poetry, he filled the poems with contents of the gentleness and the affability. But the livings of the two persons were different, and then their poems was intended to be sung were different. In these different contents, we can not say that this or that is right. JANG-YOOK-DANG would do to express his bitter sentiments by his so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