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맵시벌과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산 미기록 기생벌 2속(벌목: 맵시벌상과)에 대한 보고 (New Records of the Two Genera of Parasitoid Wasps (Hymenoptera: Ichneumonoidea) from South Korea)

  • 유영혁;최수빈;손주형;한희원;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11-315
    • /
    • 2020
  • 맵시벌상과에 속하는 Testudobracon pleuralis Ashmead, 1906, Diadromus subtilicornis Gravenhorst 1829 2속 및 2종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형태진단, 분포, 삽화를 수록한다.

한국산 쌍점박이납작맵시벌속 (벌목, 맵시벌과, 가시뭉툭맵시벌아과, 배고랑뭉툭맵시벌족)에 관한 고찰 (Review of the genus Apophua (Hymenoptera:Ichneumonidae: Banchinae:Glyptini) from South Korea)

  • 강규원;최진경;이종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91-101
    • /
    • 2016
  • 이전까지 한국산 점박이납작맵시벌속은 1955년 김에 의해 보고된 1종이 유일했으나, 본 연구를 통해 6미기록종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동구북구지역에 보고된 점박이납작맵시벌속의 검색표와 한국산 점박이납작맵시벌속의 기재 및 사진을 제공하였다.

낙엽송잎벌 천적인 낙엽송잎벌살이뾰족맵시벌의 생물학적 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ndasys liaoningensi (Hymenoptera: Ichneumonidae), as a Parasitoid of Pachynematus itoi (Hymenoptera: Tenthredinidae))

  • 이총규;이상길;박일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53-556
    • /
    • 2009
  • 낙엽송의 새로운 해충인 낙엽송잎벌의 천적 종류, 발생량 및 생활사를 강원도 철원과 태백에서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년간 조사하였다. 주요 천적으로는 낙엽송잎벌살이뾰족맵시벌로 동정되었다. 낙엽송잎벌살이뾰족맵시벌의 1화기 낙엽송잎벌에의 기생률은 우화상 조사에서 42%로 높은 기생률을 보였다. 출현 시기는 5월부터 9월 사이였으며, 최성기는 5월 21일부터 6월 20일 사이였다. 낙엽송잎벌살이뾰족맵시벌의 발생 수와 시기는 기주인 낙엽송잎벌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한국산 나방살이뭉툭맵시벌속(벌목, 맵시벌과, 가시뭉툭맵시벌아과)의 8미기록종에 관한 보고 (Eight New Records the Genus Teleutaea (Hymenoptera, Ichneumonidae, Banchinae) from South Korea)

  • 강규원;최진경;이종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235-241
    • /
    • 2018
  • 본 연구결과에서는 한국산 나방살이뭉툭맵시벌속의 8미기록종을 한국에 처음 보고하며, 나방살이뭉툭맵시벌속(신칭) 역시 한국에 처음으로 기록되는 속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산 나방살이뭉툭맵시벌속의 분류를 위한 검색표 및 미기록종들의 진단형질과 표본사진을 제공하였다.

한국산 물벌속(벌목: 맵시벌과: 물벌아과)의 미기록 1종 보고 (Discovery of an Aquatic Wasp, Agriotypus silvestris Konishi & Aoyagi (Hymenoptera: Ichneumonidae: Agriotypinae) in South Korea)

  • 김창준;오승환;서경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275-278
    • /
    • 2018
  • 한국산 맵시벌과의 미기록종인 뭉툭물벌(Agriotypus silvestris Konishi & Aoyagi, 1994) (신칭)의 국내분포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뭉툭물벌의 식별형질의 기재와 주요형질에 대한 사진과 함께 한국산 물벌속의 검색표를 제시한다.

한국산 맵시벌과의 분류학적 연구 9. 자루맵시벌족(뭉툭맵시벌 아과) (A Systematic Study of the Ichneumonidae (Hymenoptera) from Korea IX. The Tribe Phytodietini (Tryphoninae))

  • 차진열;이종욱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권2호
    • /
    • pp.147-164
    • /
    • 1988
  • 한국산 자루맵시벌 족을 재고찰한 결과 9종의 기존종이 확인되었으며, 연구결과 한국 미기록종인 Netelia (Bessobates( kiuhabona Uchida, Netelia (Netelia) laevis Cameron 2 종 및 1 신종인 Netelia (Bessobates) corrensis, n.sp 가 추가됨으로서 한국산 자루맵시벌 족에는 총 12종이 보고된다.

  • PDF

한국산 미기록 고치벌 Rhogadopsis obliqua (벌목: 고치벌과: 꽃파리고치벌아과)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Parasitic Wasp, Rhogadopsis obliqua (Hymenoptera: Braconidae: Opiinae), from South Korea)

  • 한윤종;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1-4
    • /
    • 2023
  • Rhogadopsis속은 주로 굴파리에 기생하는 고치벌로 Opius속의 아속으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시맥의 형태와 단계통 분기군을 형성함에 따라 Rhogadopsis속은 속으로 격상되었다. 전라남도 여서도에서의 동물상 조사 결과, Rhogadopsis obliqua의 수컷 표본을 쓸어 잡기로 채집되었다. Rhogadopsis obliqua의 기술과 진단 형질 도판을 수록한다.

한국산 미기록 고치벌 Phaedrotoma (벌목: 고치벌과: 꽃파리고치벌아과)속 2종에 대한 보고 (Two New Records of Braconid Wasps, Genus Phaedrotoma (Hymenoptera: Braconidae: Opiinae), from South Korea)

  • 한윤종;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9-13
    • /
    • 2023
  • Phaedrotoma속은 주로 과실파리과, 혹파리과, 물가파리과, 꽃파리과, 똥파리과, 초파리과의 유충에 기생을 하는 고치벌로 한국에는 12종이 기록되어 있다. 본 조사연구 결과로 Phaedrotoma rugulifera와 Phaedrotoma vermiculifera 2종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이들의 표본은 쓸어잡기로 채집되었다. 두 종의 기술과 진단형질도판을 수록한다.

동구북구산 Mesochorinae 아과 (벌목:맵시벌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III. -Astiphromma jezoense Uchida의 계량형능학적분석 (Systematic Study of the Mesochorinae(Hymenoptera: Ichneumonidae) from the Eastern Palearctic Region III. - Morphometric Analysis of Astiphromma jezoense Uchida -)

  • 이종욱;서경인;차진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4-113
    • /
    • 1996
  • Astipromma jezoense Uchida의 종내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리적으로 상이한 서식지에서 채집되 7개 개체군을 대상으로 계량형능학적분석을 실시하였다. 계량형능학적분석은 요인분석의 주성분분석과 판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성분분석의 결과 25개의 형질이 4개의 factor들로 집약되어 나타났다. 이중 특히 다리의 형질들이 암·수모두에게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분석의 결과를 보면, 암·수 모두 서식하는 지리구에 따라 뚜렷한 형태적 gap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고, 그러한 결과를 도출해낸 판별형질로는 암컷에서는 가운데 홑눈의 최장폭을(MOD)과 복부제1마디의 길이(FTL)가 숫컷에서는 뺨의 길이(MSL)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미기록 기생벌 Schizoprymnus terebralis (벌목: 고치벌과)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Parasitoid Wasp Schizoprymnus terebralis (Hymenoptera: Braconidae) from Korea)

  • 유영혁;최수빈;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27-29
    • /
    • 2019
  • 고치벌과에 속하는 Helconinae아과의 Schizoprymnus terebralis ($Snofl{\acute{a}}k$, 1953)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재기재, 진단, 숙주 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