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맥주

Search Result 39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농업기술: 고품질 맥주보리 생산비결

  • Jo, Sang-Gyun
    • 농업기술회보
    • /
    • v.48 no.4
    • /
    • pp.39-40
    • /
    • 2011
  • 맥주보리는 수확시기와 수확 후 관리방법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매우 크다. 특히 맥주보리는 제맥(보리를 발아시켜 건조)이라는 과정을 거쳐 맥주를 만들기 때문에 발아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맥주보리의 수매제도가 색택 위주의 외관을 보고 품질등급을 정한다. 따라서 농가에서는 완숙 이전에 수확하여 고온에 건조시켜 출하하기 때문에 발아율이 저하되는 등 맥주보리 원맥의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맥주보리의 알맞은 수확시기와 수확 후 관리방법을 소개하여 양질의 원액생산에 도움을 드리고자 한다.

  • PDF

맥주의 Papain Chillproofing이 foaming에 미치는 영향(제 1보) Foaming 정량법 및 맥주생산공정의 spot check

  • 박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5.07a
    • /
    • pp.111.4-111
    • /
    • 1975
  • 1l들이 mass cylinder에 200ml의 맥주를 넣고 질소가스로써 발포시킨 다음 거품이 사라지는 현상을 시간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며 생산공정의 각 단계에서 채취한 맥주를 검사해 본 결과 chillproofing 공정 이후의 맥주에 foaming이 현저히 손상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 PDF

집중안전포커스 - 대한민국안전대상 소방방재청장상 수상 - 품질은 기본, 안전은 생명입니다 - 하이트맥주(주) 전주공장 -

  • Im, Jae-Geun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44
    • /
    • pp.16-19
    • /
    • 2009
  • 국내 최초 맥주회사를 창립한 하이트맥주는 끊임없는 기술개발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맥주회사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하이트맥주(주) 전주공장은 지난 제8회 대한민국안전대상 정부포상에서 소방방재청장상을 수상하며 우수한 품질을 통한 고객만족뿐 아니라 안전한 작업장 조성으로 타 기업의 모범이 되고 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sual Elements of Beer Brand - Focusing on the Label Design of China and Global Beer Packages - (맥주브랜드의 시각요소 비교연구 - 중국과 글로벌 맥주패키지의 라벨디자인을 중심으로 -)

  • Kim, Heehyun;Meng, Ya Qi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
    • /
    • pp.324-333
    • /
    • 2020
  • This study compares the visual elements of the top five global beer brands currently in the Chinese market with those of the top five Chinese beer brand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visual elements in the label design of beer package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fficient label design. To this end, it is a brand among visual elements of beer label design, and it investigates the label design of Chinese beer and global beer brand through the multi-accelerated comparative analysis method, focusing on color, illustration and layout, and analyzes the difference of elements appearing in the global beer label design from China by utilizing the recursive five-point scale.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visual elements used in the Chinese beer brand were more complex compared to the global beer brand, and most layouts were similar, making the product less differentiated. On the other hand, the global beer brand has secured brand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based on its iconic visual elements and diversity of layout. In order to establish itself as a strong brand in consumers' minds, the Chinese beer brand needs differentiated label design through active use of unique brand design.

효소에 의한 제탁작용과 맥주의 발포성 III.Pasteurization 이전의 제탁시간의 영향

  • 박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6.04a
    • /
    • pp.184.3-184
    • /
    • 1976
  • 제탁의 목적으로 맥주에 첨가한 Ppain이 숙성 도중에 어느정도 맥주의 발포성을 손상시키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발효가 끝난 처녀맥주에 30ppm의 papain을 첨가하고 $0^{\circ}C에서$ 22일동안 정치하면서 발포성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로써 pasteurization 과정을 밟지 않아도 30ppm의 papain은 맥주의 발포성을 현저히 손상시키는 사실이 알려졌다. 시판중의 3가지 papin 제품이 모두 같은 결과를 보였으며 papain의 농도를 5~15ppm으로 줄이면 발포성의 손실도 줄어졌다.

  • PDF

업계취재 - 크라운상표의 조선맥주

  • Lee, Du-Hong
    • 방재와보험
    • /
    • s.23
    • /
    • pp.30-31
    • /
    • 1984
  • 4만8천여평의 광활한 대지위에 세워진 공장전체가 푸른 나무와 녹지로 둘러싸여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맥주공장 크라운의 이미지를 더욱 신선하게 해주고 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640번지에 자리잡고 있는 조선맥주공장의 방재설비는 과연 어느 정도이며 오늘의 크라운맥주가 있기까지 반세기동안의 역정이 어떠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미리 약속을 하고 찾았다.

  • PDF

Comparison of Growth, Yield and Malting Quality Characters of Two Row and Six Row Barley (2조 및 6조대맥의 생육, 수량 및 품질특성 비교조사)

  • Cho, C.H.;Nam, J.H.;Lee, E.S.;Hong, B.H.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7 no.1
    • /
    • pp.41-48
    • /
    • 1982
  • A comparison was made for growth and yield of two rowed and six rowed barley varieties to differentiate their fundamental characteris in relation with brewing quality. Heading and maturing time of two rowed barley varieties were similar to those of six rowed covered but were earlier than those of six rowed naked ones. Most of two rowed varieties were spring barley and low temperature susceptible, but they were relatively photoinsensitive compared to six rowed varieties. Eventhough malting barley has heavier stands and grains, they were quite similar in yielding ability with six rowed cultivars with decreased number of grains per spike. In quality characters, malting barley has better germination energy and rate, lower protein content than the common six rowed barley and decisively better for brewing that six rowed barley with higher malt yield, extract yield and quality and enzyme activity. In comparison of malting barley varieties produced in Korea and Japan indicated that those varieties produced in Japan were better in germination characters, extract yield and quality, Kolback index and enzyme activity than those produced in Korea.

  • PDF

효소에 의한 제탁작용과 맥주의 발포성 제탁후의 저장 조건의 영향

  • 박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6.10a
    • /
    • pp.190.2-190
    • /
    • 1976
  • 발효가 갓 끝난 풋맥주를 30, 15, 5ppm papain으로 $0^{\circ}C에서$ 22일 동안 제탁시킨 다음 pasteurization 과정을 거치지 않고 $5^{\circ}C,$ $15^{\circ}C에서$ 15, 30, 40일동안 저장한 다음 맥주의 발포성을 조사해 보았다. 이 결과로 papain 농도를 5ppm으로 줄이고 저장 온도를 $5^{\circ}C로$ 유지하면 papain 제탁작용이 맥주의 발포성에 영향을 주지않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것은 pasteurization 과정을 필요치 않는 생맥주 제조에 실용이 가능하다.

  • PDF

중성토로 교정후 인산$\cdot$석회 함량높여야 -보리 및 맥주보리의 안전다수확 재배요령-

  • 하용웅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5 no.10
    • /
    • pp.61-69
    • /
    • 1984
  • 지난 겨울은 강추위와 가뭄으로 보리재배에는 불리하여 10a당 평균수량이 보리 234kg 맥주보리 260kg에 불과했으나 농가 다수확의 전국 최고 기록은 보리 744kg, 맥주보리 401kg로서 보리는 약 3.2배, 맥주보리는 1.5배나 되었다. 이와 같이 농가수량과 다수확 농가의 수량차가 큰 것은 바로 재배기술의 차이에서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보리 농사를 짓는 경우 기왕이면 힘을 덜 들이고도 안전하게 다수확을 낼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과거 다수확 재배농가들의 실례를 들어 알아보자.

  • PDF

Analysis of purine content in beer according to fermentation temperature (발효 온도에 따른 맥주의 퓨린 함량 분석)

  • Kwak, Hee-Jae;Kim, Soo-Kyoung;Lee, Byung-Seop;Li, Xi-Hui;Lee, Joon-Hee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4 no.4
    • /
    • pp.379-383
    • /
    • 2018
  • Beer is the most popular alcoholic fermentation product, but its high purine content has been known to be associated with hyperuricemia and gout.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he purine content of beer could be lowered by changing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during beer-brewing. We brewed beers at different temperatures, $10^{\circ}C$ and $20^{\circ}C$, that are two typical beer-brewing conditions for bottom- and top-fermentation, respectively, and the contents of the representative purines, adenine, guanine, and xanthine in each beer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s a result, the total purine content of the beer fermented at $10^{\circ}C$ was lower than that of fermented beer at $20^{\circ}C$. Especially, the content of adenine was lowered significa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