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출 추정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8초

데이터기반의 신규 사업 매출추정방법 연구: 지능형 사업평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A Data-based Sales Forecasting Support System for New Businesses)

  • 전승표;성태응;최산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1호
    • /
    • pp.1-22
    • /
    • 2017
  • 사업타당성 분석이나 기업 기술가치평가 등 미래의 사업에 대한 진입이나 투자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사업과 관련한 시장을 추정하고 그 안에서 확보 가능한 매출을 객관적으로 추정하는 과정이 필수 불가결하다. 이런 신규 매출이나 시장규모의 추정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분이 가능한데 크게 정량적인 방법과 정성적인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가지 방법 모두 많은 자원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우리는 신규 사업의 평가지원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매출 예측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업타당성 분석이나 기술가치평가를 위한 신규 사업의 매출 추정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알고리즘 기반으로 전통적인 정량 예측방법 중 하나인 유추방법에 주목했다. 동일한 국내 산업에서 최근 창업한 기업의 매출 실적을 국내 신규 사업의 매출액을 추정하는 유추 대상 변수로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여기서 유추예측 대상은 최초 매출액과 초기 성장률이며, 주요 비교 차원은 산업분류, 창업시기 등이 고려된다. 특히 본 연구는 우리나라 창업 기업이 가지는 매출 성장률의 평균회귀 현상을 활용하는 지능형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규 매출 추정을 위해서 역사적 자료인 창업 매출 실적을 활용하는 방법이 적절한지 판단하기 위해서 잠재성장모형 등을 활용해 산업분류에 따른 신규 사업의 초기 매출액과 연도별 성장률이 산업분류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기존 기업의 창업 후 4년간 매출 성과의 종단자료를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는데, 특정 산업분류에서 차이를 보여주는지 분석해 산업분류가 유추 예측에서 고려해야할 유의미한 변수인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속하고 객관적인 신규 사업 매출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게 해서 사업성타당성 분석이나 기술가치평가 과정의 효율성을 개선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

대형 할인점 매출 데이터를 이용한 Semi-Variogram의 추정과 거리에 의한 할인점 이용권 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 유성모;윤연상;김기환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JOINT CONFERENCEOF KDISS AND KDAS
    • /
    • pp.99-108
    • /
    • 2006
  • 대형 할인점 매출 데이터는 G-CRM, 에어기어 마케팅(Area Marketing)에 활용하기 위해 고객의 구매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TM중부좌표로 이루어진 고객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점간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통시에 측정된 자료들이 공간적인 변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면, 공간적인 변인의 함수식에 의한 예측모형을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인 변인으로 거리가 주어졌을 때, 대형 할인점 매출 자료에 대한 세미베리오그램(Semi-Variogram)의 모형을 추정하고, 관측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할인점 이용권을 공간예측기법으로 예측하였다. 그리고 공간예측 기법을 통해 예측된 할인점 이용권을 토대로 할인점 이용권 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매출 데이터의 공간이상치 탐지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실례로 알아보았다.

  • PDF

ARIMA-Intervention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인천국제공항 식음료 매출 분석 및 추정 연구 (Analysis and Estimation of Food and Beverage Sales at Incheon Int'l Airport by ARIMA-Intervention Time Series Model)

  • 윤한영;박성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58-468
    • /
    • 2019
  • 본 연구는 2015년 6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에서 발생한 품목별 식음료 매출액(POS)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0년 12월까지 식음료 매출액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시계열 분석기법들 중 하나인 ARIMA-Intervention(개입모형)을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 식음료 매출액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주요 시계열 영향변수들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변화폭을 추정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발생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는 식음료 월별 매출액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개입변수는 국내 THAAD 배치에 따른 중국 정부의 2016년 7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한국 방문을 자제를 권고한 한한령으로 설정하였다. 정상 예측치의 경우에 비록 식사 매출 상승세가 둔화되었다 하더라도 하계 극성수기인 2019년 7월 203억, 2019년 8월 212억으로 월별 매출액이 200억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되며 2020년에는 각각 214억 및 221억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음료 매출액은 2019년 7월에는 77억, 2019년 8월에는 81억으로 예측되며 2020년에는 79억 및 82억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저비용항공사들은 정규항공사에 비해 식음료 서비스가 전무하거나 유료화 정책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저비용항공사 이용객들은 여객터미널에서 출국 및 입국 시 식음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빈도가 높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앞서 예측자료에 제시된 것처럼 식음료 매출은 저비용항공사의 성장과 동반하여 증대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글로벌 플랫폼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구글 매출 추정 및 세원잠식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conomic Effects of Big Tech Companies: Focusing on the Google Revenue and Tax Issues)

  • 강형구;전성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1호
    • /
    • pp.1-11
    • /
    • 2023
  • 빅테크 기업으로 불리는 글로벌 플랫폼들은 전 세계적인 규모로 성장하면서 데이터의 축적과 가격경쟁력, 네트워크 효과를 확보했다. 이로 인한 경쟁우위를 배경으로 글로벌 플랫폼이 그 위상을 더욱 강화되고 있다. 유럽연합(EU) 집행위 경쟁분과위원회는 반독점 위반을 이유로 구글에 대해 막대한 과징금을 부과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구글의 미납 세금을 거둬들이기 위한 것이라 해석되기도 하였다. 실제로 글로벌 플랫폼의 편법적인 조세회피를 겨냥하여 '구글세' 형태의 과세 노력이 진행 중이다. 한편, 국내 콘텐츠 스타트업 및 중소벤처기업 등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글로벌 플랫폼의 국내 매출과 세금 규모는 정확히 측정되지 않고 있다. 구글의 경우 연구문헌에 따르면 2017년 한국 매출을 약 2조~3조원으로 추정하였으나, 구글코리아는 2021년 매출이 2,900억 원이라 신고하고 130억 원의 세금을 납부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글로벌 플랫폼의 경제적 효과를 검증하고 구체적으로 대표적인 글로벌 플랫폼인 구글의 연간 국내 매출액과 세금을 정량적으로 추정하고자 하였다. 구글에서 발간한 구글 경제 효과 관련 문건에서 제시된 수치를 기초로 구글의 연간 국내 매출과 세금을 추정한 결과, 연간 매출 4~9조 원, 세금 3,906억 원~9,131억 원의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이런 글로벌 플랫폼 기업의 국가별 과세 권한 문제를 구글이라는 구체적 사례를 가지고 추정함으로써 앞으로 전개될 디지털 경제 시대의 국가, 조세 정책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할 수 있다.

  • PDF

비기술적 혁신이 제품혁신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mpact of Non-technological Innovation on the Performance of Product Innovation)

  • 문성배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31-353
    • /
    • 2018
  • 본 연구는 2008년과 2010년 한국 제조업 부문 기술혁신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비기술적 혁신 활동이 기업의 기술적 혁신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비기술적 혁신 활동을 조직혁신과 마케팅혁신으로 구분하고 각 혁신 활동이 혁신제품의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Tobit모형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조직혁신과 마케팅혁신 모두 혁신제품의 매출 비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기술적 혁신 활동은 급진적 혁신제품인 시장 최초의 혁신제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비기술적 혁신의 세부 유형별로 효과를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조직혁신 중에서는 업무수행방식의 변화만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마케팅혁신은 제품디자인, 제품홍보, 가격전략 등이 혁신제품의 매출 비중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시외전화시장의 구조 분석 모형 (A Study on the Structural Analysis Model for Domestic Long-Distance Telephone Market)

  • 원동유;김태호;조용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7A호
    • /
    • pp.1264-1274
    • /
    • 2001
  • 본 논문은 국내 시외전화시장을 설명할 수 있는 각 변수를 도출하고 이에 따른 분석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분석모형을 통해 모의실험을 수행하고 이 결과로 시외전화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시외전화의 매출액은 모든 시장구성 변수들의 변동에 비탄력적인 반응을 보이며 매출액의 증가에 대체효과를 보이는 두 개의 변수인 이동전화의 사용과 인터넷 이용자수의 교차탄력도는 추정기간 내내 장단기적으로 모두 0.03 미만으로 이들의 변화에 따라 매출액이 보이는 반응은 예상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우리나라 환경산업 노동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creation of environmental industry in Korea)

  • 황석준
    • 환경정책연구
    • /
    • 제7권1호
    • /
    • pp.101-118
    • /
    • 2008
  • 본 논문은 환경산업에 의한 노동수요 창출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 발표하는 통계, 특히 환경부의 환경산업조사통계를 기초로 하여 오차항에 대한 다양한 가정을 통해 부분균형적인 단일 노동수요함수를 추정하여 보았다. 추정결과 환경산업의 환경부문 매출액 증가를 통한 노동수요 탄력도는 최소 0.193에서 최대 0.256에 해당하는 것으로 계산되어 각 산업별 환경기업들의 10억원의 매출증가를 통해 7.7에서 10.3명의 노동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계측되었다. 이는 특히 정부의 정책지원이 환경산업의 총매출액 1%에 해당하는 금액의 매출증가를 유도한다면 연간 $1,600{\sim}2,300$명의 직접 고용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계측되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환경산업 노동력의 많은 부문이 단순노무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향후 환경산업의 발전을 극대화하고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중추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기술개발과 수요증대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하겠다. 결국 이러한 정책적인 지원이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전의 가능성을 극대화할 것이다.

  • PDF

식품과 포장산업

  • 이동선
    • 월간포장계
    • /
    • 통권2호
    • /
    • pp.50-59
    • /
    • 1993
  • 지난해 우리나라의 포장산업의 총 매출규모가 국민총생산의 2퍼센트 선에 이르고, 이같은 포장산업의 매출에서 식품 및 관련제품의 포장생산 비중이 55퍼센트가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만큼 식품산업과 포장산업은 가장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으며, 이 두 산업이 보조를 나란히 하여 발전해왔다고 볼 수 있다. 본지는 이번호부터 식품포장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기획연재한다. 이번호에는 식품과 포장산업 제하의 글에서 종합적인 내용을 개괄하고, 계속해서 식품포장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