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염처리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6초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염색(I) -모섬유에 대한 염색성- (Natural Dyeing using the Colorants extracted from American Fleabane (I) -Dyeing properties on wool-)

  • Shin, Youn-Sook;Arang Cho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34-1440
    • /
    • 2003
  • 개망초로부터 색소를 추출, 분말화하여 FT-IR 분석을 행하고, 모섬유에 대한 염색조건과 매염이 염착량(K/S값) 및 색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염색한 시료의 견뢰도를 측정하여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개망초 색소는 모섬유에 높은 친화력을 보였으며, Langmuir형의 등온흡착곡선을 보여 염착이 주로 이온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착략이 pH 3.0에서 최대가 되었으나 강한 산성조건은 강도 저하를 비롯한 섬유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pH를 조절하지 않고 염색하였다. 피염물의 색상은 모두 Y 계열을 나타내었다. 철매염 처리한 경우를 제외하고 매염처리가 염착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았으며, 매염제 종류를 달리하여 염색한 모섬유의 색상은 크롬과 주석으로 매염한 경우 YR 계열을 나타내고 그 밖의 매염제에 의해서는 Y 계열의 색상을 나타내어 큰 변화는 없었다. 매염처리하지 않은 시료의 견뢰도는 매우 양호하였으며 매염처리가 견뢰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금계국 추출물에 의한 천연염색시 천연매염제 종류 및 매염방법에 따른 견직물의 염색성 (Effects of Different Natural Mordants and Mordanting Methods on the Dyeing Degree of Silk Using Extracts from Coreopsis drummondii)

  • 김병운;양승렬;허북구;박윤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6-193
    • /
    • 2005
  • 천연염료로서 금계국의 이용가능성과 금계국 식물체에서 추출한 염료를 이용한 천연염색시 천연매염제 처리농도, 매염방법 및 종류에 따른 견직물의 염색성을 조사하였다. 금계국 추출물로 견직물을 염색한 결과 표면색상은 무매염시 Y계열로 나타났으며, 매염처리시는 Y 및 YR 계열로 나타나 천연 염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충분했다. 동백나무 회즙, 굴껄질 회즙, 노린재 나무 회즙을 $10\%,\;20\%,\;30\%$ 농도로 매염처리 한 후 견직물의 염색성을 조사한 결과 농도에 따른 표면색상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염착농도는 $20\%$에서 가장 좋았다. 견직물의 표면색은 매염처리 방법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염착농도는 후매염, 선매염, 동시매염 처리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금계국 추출물로 천연염색한 견직물에 29종의 천연매염제를 처리한 결과 견직물의 표면색은 동백나무와 사스레피나무 회즙 매염처리구에서만 YR계열을 나타냈고, 그외 처리구에서는 Y계열로 나타났다. 또 천연매염제를 처리한 결과 염착농도는 무매염 처리구에 비해 월등히 높아져 천연매염제로서도 매염효과를 충분히 낼 수 있음을 확인되었다.

검정팥 종피 추출물에 의한 천연염색 (Natural Dyeing with Aqueous Black Bean Seed Coat extract)

  • 차해숙;배도규;정양숙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42-42
    • /
    • 2012
  • 팥에 함유되어있는 색소와 관련된 연구 중에서는, 검정팥의 색소성분을 분리하여 delphinidin-3-glucoside(D-3-G)로 보고한 Sasanuma의 연구와 검정팥 껍질속에 포함된 안토시아닌의 함량을 평가한 Yoshida의 연구 결과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정팥 종피에서 색소를 추출하여, 적정 염색조건을 설정하였으며, 매염제별 색상변화 및 견뢰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통해 염색 특성을 파악하여 새로운 천연염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진단하였을 뿐만 아니라 응용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의 확보에 주안점을 두었다. pH에 따른 염색성에서는 견직물의 경우 pH 4에서 가장 염착량이 많았고, 면직물의 경우에는 주어진 범위내에서는 pH가 높을수록 염착량이 많았다. 염색온도와 시간에 따른 염색성은, 견직물의 경우, 염색온도 $80^{\circ}C$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으며, 면직물의 경우도 견직물과 비슷한 결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염색시간이 경과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견직물에 대한 매염제 종류별 표면색의 변화에서는 Fe 매염포만 $YR{\rightarrow}Y$ 로 변화되었을 뿐 다른 매염제에서는 매염 후에도 색상 변화는 크지 않았다. 매염처리 전 견직물의 일광 견뢰도는 무매염이 4~6등급, Al 처리포는 4~5등급, Cu와 Sn은 3~4등급으로 나타났고 Fe는 2~3등급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세탁견뢰도에서는 무매염 2등급, 매염제 처리의 경우 2~3등급으로 나타났다. 무매염 면직물의 일광견뢰도는 1~2 등급, Fe 매염은 2~3등급, Cu 2등급 Al과 Sn은 1~2등급으로 매염처리에 의해 전혀 개선되지 않았으며, 세탁견뢰도의 경우 Cu매염이 4등급으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무매염, Al, Sn과 Fe는 3등급으로 나타났다.

  • PDF

식물염료염색 견직물의 색채 및 견우도에 관하여 (Colour Difference and Colour Rastness of Dyed Silk Fabric with Serveral Kinds of Vegetable Dyes.)

  • 정인모;이용우;송기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1-64
    • /
    • 1986
  • 몇 종의 식물자료에서 추출한 염액으로 견을 염색하여 색채를 조사하고 염색견에 3종의 매염제처리를 한 후 세탁 및 내광견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annin계 및 뽕나무뿌리로 염색한 견포의 색채는 연한 다색계통이었으며 염색견포에 황산동 및 황산제일철로 매염처리하면 색상(Hue)은 염재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변화되었고 명도 및 채도(V/V)는 모두 감소되었다. 2. Tannin계 및 뽕나무뿌리로 염색한 견포에 황산동 및 황산제일철로 매염처리하면 미매염견에 비하여 세탁견도가 1급내외 향상되었고 매염처리견의 자외선조사에 의한 dye-loss율이 미매염처리 견보다 크게 감소되어 내광견도가 향상되었다.

  • PDF

자초염료의 염색성 증진을 위한 방안(I) (A Study Improvement of Adsorption of Gromwell)

  • 최인려;최정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5-50
    • /
    • 2001
  • Cotton, Silk, Acrylic fabrics을 chitosan으로 처리하여 천연염료 자초로 Al, Sn, Cu등의 매염제를 이용한 염색을 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chitosan 처리포가 미처리포 보다 염색성이 모두 월등하게 우수했다. 또한 Al, Sn, Cu 등의 단독매염제의 사용시 보다 chiotosan과 함께 사용했을 때가 더욱 우수했다. 특히 아크릴포의 경우 무매염, Sn, Al 매염의 사용시 염색효과가 거의 발현되지 않았으나 chitosan 처리포의 경우 염색효과가 나타났으며, chiotosan 처리포를 중금속매염제와 함께 사용했을 때는 우수한 염색성이 발현되었다. 위 3종 중금속매염제 중 Cu로 chiotosan 처리포를 실험했을 때가 염색성이 가장 우수했다.

  • PDF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제2보) -면섬유에 대한 염색성- (Natural Dyeing using the Colorants extracted from American Fleabane (Part II) - Dyeing properties on cotton -)

  • 신윤숙;조아랑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625-1631
    • /
    • 2004
  • 개망초로부터 추출한 색소의 면 섬유에 대한 염색성을 조사하였다. 염색조건과 매염처리가 염착량(K/S값)및 CIELAB 색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염색한 시료의 견뢰도를 측정하여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개망초 색소의 면 섬유에 대한 친화력은 높지 않았으며, Freundlich형의 등온흡착곡선을 보여 염착이 주로 수소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 또는 후매염처리 방법보다는 전매염처리 방법이 염차량 증진에 더 효과적이었으나, 주석매염제를 제외하고 매염제에 의한 염착량 증진효과는 크지 않았다. 매염처리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는 Y계열의 색상을 나타내어 큰 변화는 없었다. 모든 시료의 세탁견뢰도는 낮았으며 , 땀 및 마찰견뢰도는 매우 양호하였으며 매염 처리가 견뢰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검정팥 종피 추출물에 의한 천연염색 (Natural dyeing with aqueous Extracts of Black bean seed coat)

  • 차해숙;정양숙;배도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76-8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검정팥 종피에 함유된 천연색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천연염료로서의 적용을 위해 염색조건 즉 염색온도, 염색시간, 염색 pH, 욕비에 따른 K/S 값을 측정하여 적정 염색조건을 설정하고, 여러 매염제를 적용하여 색상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견뢰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에 따른 염색성에서는 견직물의 경우 pH 4에서 가장 염착량이 많았고, 면직물의 경우에는 주어진 범위 내에서 는 pH가 높을수록 염착량이 많았다. 2. 염색온도와 시간에 따른 염색성은, 견직물의 경우, 염색온도 $40^{\circ}C$$60^{\circ}C$에서는 전반적으로 염착량이 낮고 시간에 따른 염착량의 차이도 크지 않았으나 염색온도 $80^{\circ}C$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면직물의 경우도 견직물과 비슷한 결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염색시간이 경과될수록 K/S 값이 크게 나타났다. 3. 견직물에 대한 매염제 종류별 표면색의 변화에서는 Fe 매염포만 YR${\rightarrow}$Y 로 변화되었을 뿐 다른 매염제에서는 매염후에도 색상 변화는 크지 않았다. Sn 매염과 Ti 매염포는 무 매염포 보다 $L^*$값이 상승하였으나 나머지 매염제는 $L^*$값이 크게 감소되었다. 면직물에 대한 표면색의 변화는 견직물에서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L^*$값에 있어서는 견직물과 다르게 Ni 매염포만 무매염포보다 $L^*$ 값이 크게 나타났다. 4. 매염처리 전 견직물의 일광 견뢰도는 무매염이 4~6등급, Al 처리포는 4~5등급, Cu와 Sn은 3~4등급으로 나타났고 Fe는 2~3등급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세탁견뢰도에서는 무매염 2등급, 매염제 처리포는 전부 2내지 3등급으로 나타났다. 무매염 면직물의 일광견뢰도는 1~2등급, Fe 매염은 2~3등급, Cu 2등급 Al과 Sn은 1~2등급으로 매염처리에 의해 전혀 개선되지 않았으며, 세탁견뢰도의 경우 Cu매염이 4등급으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무매염, Al, Sn과 Fe는 3등급으로 나타났다.

  • PDF

연두색 천연염색 견직물의 색채특성과 감성요인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쪽과 괴화의 복합염색을 중심으로 (Effects of Colorimetric Properties and Color Sensibility Factors on Color Preferences for Green Yellow Natural Dyed Silk Fabrics: Focused on Combination Dyeing with Indigo and Japanese Pagoda Tree)

  • 신주동;김여원;최종명
    • 감성과학
    • /
    • 제21권1호
    • /
    • pp.143-154
    • /
    • 2018
  • 본 연구는 친환경적이고 감성적인 패션상품의 색채기획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쪽과 괴화로 복합염색 후 무매염 견직물과 4종의 매염제(Al, Cu, Fe, Zn)를 처리한 견직물에 대하여 색채특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복합염색 후 매염처리된 연두색 견직물에 대하여 여대생을 대상으로 색채감성과 색채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색채특성과 색채감성이 색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쪽/괴화로 복합염색된(무매염) 견직물은 선 염색한 쪽 농도가 $10g/{\ell}$이면 녹색, 쪽 $20g/{\ell}$을 사용하면 청록색을 나타내었으며, 4종의 매염제를 사용하여 처리시 거의 모든 경우 연두색을 나타내었다. 연두색을 나타내는 복합염색된 견직물 10종의 색채감성을 요인분석한 결과, 유쾌성, 품위성, 편안성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러한 색채감성은 쪽 농도와 매염제의 종류에 따라 대부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복합염색된 연두색 견직물의 색채특성과 색채감성요인 간에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 $L^*$값, $b^*$값, $C^*$값이 크고 $a^*$값이 작을수록 유쾌성과 편안성 감성을 더 강하게 느끼며, $L^*$값이 작고 $a^*$값이 클수록 품위성 감성을 더욱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쪽과 괴화로 복합염색하고 매염처리한 연두색 견직물의 색채감성요인을 예측변수로 활용할 수 있는 색채 선호도 예측 회귀식이 제안되었다.

식용오디 추출액을 이용한 천연염색 (Natural Dyeing by extraction solution of Mulberry used for Food)

  • 이광우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48-48
    • /
    • 2011
  • 오디를 약제나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염색재료를 이용한 천연염색은 화학염료의 잠재적인 인체독성이나 알르레기 유발 가능성을 간단하게 극복할 수 있는 대안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약리 효과를 갖는 식물을 염색 재료로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 뿐 아니라 피부와 인체에 유익한 약성을 발휘하는 천연염색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천연색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식품이나 화장품 등에 첨가하여 기능성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도 진행중으로 오디에 함유된 anthocyanin 색소를 이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주지역에서 생산하는 식용오디를 경기도 남양주에 위치한 아세아기공사에서 제작한 생즙추출기로 문경시 수평면에서 위치한 이젠하우스에서 추출한 오디생즙을 구입하여 염색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처리 섬유의 무게를 200g 으로 하여, 욕비 1:10 으로 하여 처리액을 2000g 고정하였다. 처리시에 오디추출액의 비율을 10%(200g+1800g), 20%(400g+1600g), 30%(600g+1400g), 40%(800g+1200g), 50%(1000g+1000g)으로 조정한 염색액에 면, 레이온, 견, 옥사를 처리온도, 처리농도를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처리온도를 $40^{\circ}C$, $60^{\circ}C$, $80^{\circ}C$ 로 하였으며, 처리시간은 1시간으로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처리후에 매염시간은 $60^{\circ}C$에서 1000g의 매염제로 철, 구리, 명반의 1% 용액에 10분간 처리하였다. 실험후 온도에 따른 염색의 정도와 처리농도, 매염제 처리전후의 염색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색차값를 측정하였다.

  • PDF

수수 추출물에 의한 견직물의 염색 (Dyeing of Silk Fabric with Aqueous Sorghum Extract)

  • 이성은;배도규;정양숙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43-4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량으로 손쉽게 구 할 수 있는 식물염료를 확보하여 새로운 천연색소자원을 탐색하기 위해서 진행되었으며, 시료의 최적 추출 조건을 확립하고 추출된 색소의 실크에 대한 염색 특성을 살펴 최적 염색조건을 설정하고, 염색견뢰도를 평가하여 수수 등겨 추출물의 천연색소로의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수수 색소 추출 시 생산성과 편리성을 고려하여 추출은 pH 4, 추출온도 $60^{\circ}C$, 추출시간 24시간이 적정조건으로 제시되었으며, 수수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탄닌의 최대흡수파장은 282nm로 나타났다. 견직물의 pH에 따른 염색 특성은 pH가 증가할수록 K/S값이 증가하여 염착량이 증가하였으며, 염색온도가 높을수록 염색시간이 길어질수록 염착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염색온도가 높을수록 염색시간이 경과될수록 색상은 $Y{\rightarrow}YR$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염색온도가 높을수록 채도가 증가하였다. 욕비가 클수록 염착량은 감소하였으나, 채도는 약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매염제 처리에 의한 색상변화에서는 Al, Ni 매염은 색상변화는 적었지만, Cu와 Fe 매염은 명도와 채도를 크게 감소시키고 아울러 색상도 Cu는 적갈색으로 Fe는 진회색으로 변화되었다. Sn과 Ti 매염에 의해서 명도는 약간 감소하고 채도는 약간 상승하여 연한 주황색으로 색상이 변화하였다. 설정된 조건에서 염색된 염색포의 일광견뢰도는 2~3급, 세탁견뢰도 변퇴색은 2~3급, 오염은 4~5급으로 나타났다. Fe로 매염된 염색포의 일광견뢰도는 증가하여 3~4급으로 나타났으며, 매염제 처리에 의한 세탁 견뢰도는 같거나 약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