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스 미디어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5초

스포츠 마케팅과 매스미디어의 역학관계 연구 (A study on the Dynamic Relation between Sports Marketing and Mass Media)

  • 연승준;김상욱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8-29
    • /
    • 1999
  • 다양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스포츠가 매스미디어에 의해 그 범위가 확산되면서 광고와 마케팅에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스포츠마케팅과 매스미디어는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다. 그러나 스포츠 마케팅에 있어서 매스미디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들 하나 그 역학관계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저조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포츠 마케팅과 매스미디어와의 역학구조를 단계적으로 살펴보고 시스템 다이내믹스 개념을 이용하여 역학구조 내에서 영향을 연구하여 향후의 스포츠마케팅 연구 및 실행에 있어 매스미디어와의 관계연구에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 의제 분석 : '마스크 5부제'를 중심으로 (Mass Media and Social Media Agenda Analysis Using Text Mining : focused on '5-day Rotation Mask Distribution System')

  • 이새미;유승의;안순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60-469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최근 이슈로 떠오르는 '마스크 5부제'에 대한 온라인 뉴스 기사와 카페글을 분석하여 언론과 대중들의 반응을 담고 있는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 의제를 파악하고, 그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분석을 위해 네이버 뉴스 기사 전문 2,096건과 카페글 1,840건을 수집하고 데이터 전처리 과정과 정제과정을 거쳐 단어 빈도분석, 워드 클라우드,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매스 미디어에 비해 소셜 미디어는 '대리 구매', '개학 연기', '마스크 사용', '마스크 구입'과 같이 실생활 관련 토픽이 나타나 개인 미디어의 특성이 반영되어 정보 전달의 기능 보다는 개인의 의견, 감정, 정보를 교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적용된 연구방법의 적용으로 다양한 미디어 분석을 통해 사회이슈가 공중의제화되고, 정부의제로 진화하는 정책의제설정 과정에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책임과 어카운터빌리티: 허친스 보고서(1947)의 재고할 및 규범이론으로의 변천과정을 통해 본 현재적 의의와 과제 (Mass Media's Social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Focusing on Hutchins Report(1947) and Media Normative Theory)

  • 정수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7권
    • /
    • pp.23-4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매스미디어의 위기 타개 및 개혁을 위한 규범이론의 내용과 범위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허친스 보고서와 함께 허친스 보고서를 사상적 토대로 한 기존의 사회적 책임이론 관련 논의를 검토하여 한계점 및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허친스 보고서는 매스미디어의 책임과 어카운터빌리티를 도덕적 법적 의무로 제시하였으며 미디어와 시민의 상호 협력관계 속에서 적극적 자유 이행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하지만, 사회적 책임이론에서 미디어의 책임은 어카운터빌리티에 관한 논의가 결여된 채, '기능', '자율적 윤리',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소극적 자유로서의 한계를 노출해왔다. 따라서 자율규제나 기능주의적 접근에 의한 미디어의 사회적 책임 논의를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를 기반으로 한 적극적 자유 개념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사회적 토론과 합의를 거쳐 사회적 책임의 내용과 범위를 도출해 내야 한다. 허친스 보고서가 권고한 미디어카운터빌리티는 매스미디어가 시민사회와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사회적 자율규제'를 실천하기 위한 민주적 방안으로서, 그리고 사회적 책임이론에 내재되어 있는 한계 극복을 위해 유용하다. 따라서 다원적 미디어 시스템 하에서 미디어 환경 개선과 신뢰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미디어 특성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 그리고 어카운터빌리티의 내용 및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논의를 확장해야 한다.

  • PDF

자연재난 보도의 특성 분석: 태풍 루사의 사례 연구 (Media Reporting of Natural Disaster: the Case of Typhoon Rusa)

  • 김만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1-9
    • /
    • 2005
  • 매스 미디어는 재난 발생시 이재민 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기 때문에 매스 미디어의 역할은 재난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재난보도에 관한 현황 분석조차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카인즈를 이용하여 2002년 8월 29일 부터 10월 1일까지 태풍 루사에 관하여 신문과 텔레비전 뉴스에서 보도된 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재난 보도에서는 일기예보를 활용한 사전 경보 기능이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재난 피해자들의 무기력한 모습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의존이미지라는 재난신화를 만드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재민들에 대한 이와 같은 묘사는 성금을 모집하는 데에는 지대한 공헌을 하였을지 모르지만, 사실을 왜곡함으로써 효율적인 방재계획을 수립하는 데에는 역기능적 역할을 수행하였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미디어를 활용한 효율적인 경보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재난경보가 복잡한 사회 과정임을 인식하여, 신뢰할만한 공식적인 기관이, 명확하고 구체적인 메시지를 매스 미디어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매스 미디어의 성금 모금은 필요 경비의 조달과 공동체 의식의 공고라는 순기능적 측면이 있지만 이재민의 의존적인 태도를 영속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매스 미디어를 통하여 정부가 수행해야 할 업무와 자산 소유주가 담당해야 할 책임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연구 (A Study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Using Multimedia)

  • 우희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205-20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생 교육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강보건교육을 매스미디어를 활용한 교육매체를 직접 제작하여 지식전달인 지적 영역과 태도변화인 정의적 영역, 행동의 변화인 정신운동 영역을 살펴보았다. 이에 매스미디어를 활용한 보건교육의 장점은 더 개발하고, 단점은 보완하여 교육대상자들에게 흥미도를 높혀 관심을 가지고 행동의 변화를 보일 수 있도록 해야겠으며, 일회성인 교육매체 자료 보다는 사이버 공간에서도 교육대상자가 언제든지 다시 볼 수 있도록 하여 계속관리 교육이 되도록 할 수 있다.

  • PDF

매스미디어의 인지개발효과: 매스미디어 이용과 다중지능, 그리고 학업성적과의 관계 (Cognitive Development Effect of Mass Media: Revealing the Relationships among Mass Media Consumptions,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 장익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7권
    • /
    • pp.377-41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이제까지 매스미디어 효과론 연구에서 등한시 되어온 매스미디어의 긍정적 효과를 학생들의 지능발달과 학업성적과 매스미디어 이용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그 가능성을 점검해보고자 하였다. 매스미디어의 이러한 효과를 총체적으로 매스미디어의 '인지개발 효과'라는 한다면, 이제까지의 인지개발효과 연구들에는 텔레비전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이큐(IQ)를 종속변인으로 사용해 왔지만 아이큐검사의 타당성에 한계가 많기 때문에 새로운 지능이론을 원용하여 인지개발효과를 검증해볼 필요도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의의를 요약하면, 첫째는 텔레비전과 신문, 그리고 인터넷 전체를 대상으로 기존 연구에서 산발적으로 사용된 매체들의 이용 동기, 이용량, 그리고 이용형태 모두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그 영향력을 비교 검토하였고, 둘째는 종속변인으로서의 지능개념에 새로운 다중지능이론을 원용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연구결과를 보면, 지능과 학업성적의 경우 모두에서 매체 이용형태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생들의 지능 발달이나 학업성적에 있어서 어떤 내용을 접하느냐가 중요하며, 접촉하는 내용에 따라서는 인지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의 지능을 여러 가지로 나누어 보았을 때에 매체관련변인들이 지능의 종류에 따라 각각 상반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도 본 연구의 중요한 발견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체관련변인들이 8개의 다중지능들과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르다는 점에서 설정된 종속변인에 따라 그에 대한 설명틀도 각각 달라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무용의 미디어 플랫폼 활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중화 전략을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n the use of Media Platform in Dance: Focused on popularization strategy)

  • 임수진
    • 트랜스-
    • /
    • 제5권
    • /
    • pp.29-48
    • /
    • 2018
  • 본 연구는 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대중화를 시도하고 있는 국내 무용계의 현상을 살펴보고 이를 문화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고찰한다. 이는 무용의 대중화는 궁극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미디어를 매개로 한 대중화전략은 어떤 특징을 띄는가? 이러한 시도들은 모두 같은 속성을 지닌 대중화 전략으로 이해될 수 있는가? 라는 의문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를 위해 무용의 대중화 전략의 주요 매개로 사용되고 있는 방송매체와 최근 주목받는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의 특성을 살펴보고, 각 매체를 중심으로 관계 맺는 문화 참여자들의 의사소통 과정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방송매체를 매개로 한 활동은 사업가(자본)에 의해 통제되고 조종됨으로써 창작자와 수용자(시청자)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불가능해지고, 사업가가 계획한 문화상품을 생산하는 데 그침으로써 매스컬처(Mass Culture)의 성격으로 분류됨을 밝힌다. 반면 사업가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창작자와 수용자의 직접적인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창작의 권리가 보장되는 성격을 지닌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은 포퓰러컬처(Popular Culture)로 분류됨으로써, 무용의 대중화에 관한 담론 확장 및 방법에 적절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기능함을 제안한다.

  • PDF

성공적인 인터넷 컨텐츠 구축

  • 박보현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01년도 추계 컨퍼런스: 인터넷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디지털 컨텐츠 기술 발전 및 활용을 위한 컨퍼런스
    • /
    • pp.257-296
    • /
    • 2001
  • 인터넷이란 매체는 매스미디어의 보조수단이 아닌 그 자체만으로 독립된 또 하나의 매체이며 네티즌이라는 타겟은 또 다른 특성을 가진 여러 타겟으로 구분되어질 것이며, 이들에 대한 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기존의 네티즌은 X세대, N세대의 대명사로 불리웠다. 그리고 통계학적으로 고학력 사용자 70% 이상, 남성사용자가 60% 이상, 대도시 80% 이상 거주자라는 특정 타겟으로 분류 되어 왔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