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설 배관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2초

에너지플랜트의 최적 예방점검을 위한 위험도기반 설비 관리(RBI) 절차 개발 (Development of Risk Based Inspection (RBI) Procedures for Optimized Preventive Maintenance (PM) Planning of Energy Plants)

  • 최정우;윤기봉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4-80
    • /
    • 2011
  • 최근 국내의 많은 에너지 플랜트가 10여년 이상 가동되면서 설비의 장수명화 및 노후설비에 대한 건전성 확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랜트의 RAM (reliability, availability and maintainability)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플랜트의 RAM을 높이기 위해 RBI (Risk Based Inspection)는 중요한 핵심 기술이다. RBI 기술은 주로 정류 플랜트 설비, 매설배관 설비, 원자력플랜트 설비 등의 에너지 플랜트 분야에서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기 개발된 RBI 절차는 화력 발전플랜트 등 다른 에너지 플랜트에서의 적용이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플랜트에서의 최적 예방점검을 위한 일반적인 RBI 표준 절차를 개발하여 보고하였다.

3D FEM 모델링을 이용한 원전 매설배관의 방식성능 평가 및 결함탐지능 분석 (Evaluation of Corrosion Protection Efficiency and Analysis of Damage Detectability in Buried Pipes of a Nuclear Power Plant with 3D FEM)

  • 장현영;박흥배;김기태;김영식;장윤영
    •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61-67
    • /
    • 2015
  • 3D FEM modeling based on 3D CAD data has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CP system in a real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 The results of it successfully produced sophisticated profiles of electrolytic potential and current distributions in the soil of an interested area. This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a breakthrough for detection technology of damages on buried pipes when it comes into combining with a brand of area potential earth current (APEC) and ground penetrated radar (GPR) technologies. 2D current distribution and 2D current vectors on the earth surface from the APEC survey will be used as boundary conditions with exact 3D geometry data resulting in visualization of locations and extents of corrosion damages on the buried pipes in nuclear power plants.

유해물질 이송관로 파손누출 실시간 예방 및 감시 기술개발 (The Development of Real-Time Leak Monitoring System for Management of Hazardous Material Pipeline)

  • Chae, Sookwon;Seo, Jaesoon;Kim, Joonse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22-12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돌발적 충격에 의한 파손사전 예방감시를 위한 이중구조 파이프, 측량 및 시공 속성정보 수집을 위한 스마트 폰 앱 프로그램 개발, 실시간 감시를 위한 서버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파일럿규모의 시험을 야외시험장에 구축하였다. 파손 예방을 위한 데이터는 파이프에 부착된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다. 누출은 압력센서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시험하였다. VRS 측량장비와 스마트폰을 연계한 앱 프로그램과 서버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시간 자료 수집과 감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토양매설 스테인리스강 상수도 배관의 부식원인 규명 (Elucidation of Corrosion and Failure of Stainless Steel Tubing buried in Soil for Potable Water)

  • 김영식;박수진;황보덕;신민철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20-28
    • /
    • 2012
  • Since buried pipes contact the soil directly, corrosion by the soil could be occurred. Recently, some stainless steel pipes after 8 years burial at G area were corroded and leaked. In order to elucidate highly corroded phenomena(its rate was about 0.175 mm/y) of these pipes, the investigation for corrosion environment, soil, stray current's effect, and chemical analysis on the pipes were performed. Most of investigated sites were close to traditional water-closet and showed high moisture and thus those areas could be highly corrosive. In the investigation by two kinds of soil evaluation methods, it was revealed that the soils at G areas were highly corrosive, and moreover the contents of sulfate reducing bacteria in the soils were high. Also, open circuit potentials of many pipes showed different values and its potentials were high positive.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corrosion of buried pipes at G area could be affected by high corrosive soil's environment and stray current corrosion.

파손평가선도(FAD)와 FORM을 이용한 매설배관의 건전성 평가 (The Reliability Estimation of Buried Pipeline Using the FAD and FORM)

  • 이억섭;김동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28
    • /
    • 2005
  • In this paper, the methodology for the reliability estimation of buried pipeline with longitudinal gouges and dent is presented and the limit state of buried pipeline is formulated by failure assessment diagram(FAD). The reliability of buried pipeline with defects has been estimated by using a theory of failure probability. The failure probability is calculated by using the FORM(first order reliability method) and Monte Carlo simulation. The results out of two procedures have been compared each other. It is found that the FORM and Monte Carlo simulation give similar results for varying boundary conditions and various random variables. Furthermore, it is also recognized that the failure probability increases with increasing of dent depth, gouge depth, gouge length, operating pressure, pipe outside radius and decreasing the wall thickness. And it is found that the analysis by using the failure assessment diagram gives highly conservative results than those by using the theory of failure probability.

3D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원전 매설배관 부식결함 탐상기술 개발 (Technology for the Detection of Corrosion Defects in Buried Pipes of Nuclear Power Plants with 3D FEM)

  • 김재원;임부택;박흥배;장현영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292-300
    • /
    • 2018
  • The modeling of 3D finite elements based on CAD data has been used to detect sites of corrosion defects in buried pipes. The results generated sophisticated profiles of electrolytic potential and vectors of current distributions on the earth surfac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defects in buried pipes, the current distribution on the earth surface was projected to a plane of incidence that was identical to the pipe locations. The locations of minimum electrolytic potential value were found. The results show adequate match between the locations of real and expected defects based on modeling. In addition, the defect size can be calculated by integrating the current density curve. The results show that the defect sizes were $0.74m^2$ and $0.69m^2$, respectively. This technology may represent a breakthrough in the detection of indirect damage in various cases involving multiple defects in size and shape, complex/cross pipe systems, multiple anodes and stray current.

지하매설 수소 배관망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 설계: 광섬유 기반 모니터링 사례를 중심으로 (Conceptual Design for Underground Hydrogen Pipeline Monitoring System: Case Study on Fiber Optic Sensing)

  • 박재우;염동준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4_2호
    • /
    • pp.673-686
    • /
    • 2022
  •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energy has increased hydrogen gas is in the spotlight as future energy. Due to its special properties, hydrogen gas is more difficult to detect requiring more precise sensing technology.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oncept of an underground hydrogen pipeline monitoring system. For this, the following research works are conducted sequentially; 1)selection of core technology for conceptual design, 2)state-of-the-art review, 3)design of a concept of the system. As a result, DAS(Distributed Acoustic Sensing), and DTS(Distributed Temperature Sensing) are selected as each core technology. Furthermore, a conceptual design of an underground hydrogen pipeline monitoring system is deducted. It is expected that the impact on the eco-friendly energy industry will be enormous due to the increasing interest in using hydrogen energy.

지하철역 공사지역 도시가스 배관 누출로 인한 피해면적 산정 (Estimating the Area of Damage Caused by Gas Pipeline Leakage in Subway Construction Zones)

  • 양용호;이재욱;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419-427
    • /
    • 2024
  • 지하철 공사장 인근에서 천공작업 중 부주의로 지하에 매설된 도시가스 배관에 구멍을 발생시켜 새어 나온 가스가 우수관 및 하수관을 통하여 지하 공사장 내부로 유입 정전기 등의 점화원과 접촉 폭발할 경우 피해 영향범위 및 위협구역을 ALOHA 프로그램에 적용 산정하였다. 도시가스 배관의 길이,직경 및 압력 등 다양한 조건을 입력하여 위협구역 산정결과 증기구름 가연성지역의 Red Zone는 1.2~1.4km, 폭발지역의 Yellow Zone는 0.8~1.0km 및 제트화재의 Red Zone는 45~61m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증기구름의 가연성 지역에서 농도와 조건이 적절히 조합된 상태이면 가연성을 증가시키고, 폭발지역 내부에서는 유리창이 깨질 수 있는 압력인 1.0psi로 폭발이 일어날 수 있으며, 제트화재인 경우에는 높은 온도와 열복사가 발생 주위 건물 밀집지역으로 화재가 빠르게 확산할 뿐만 아니라 열복사 영향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영향범위 및 위협구역 범위로 나타내었다.

지역난방 열배관망 운영데이터 기반의 파손확률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Failure Probability Model based on Operation Data of Thermal Piping Network in District Heating System)

  • 김형석;김계범;김래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322-331
    • /
    • 2017
  • 지역난방은 국내에 1985년 처음 도입되었다. 지하 열배관망의 사용연한이 30년 이상 증가함에 따라, 지하에 매설된 열수송 배관 특성상 유지관리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후화가 진행된 열배관망 유지보수를 위한 정기적인 점검, 운영관리 시 다양한 복합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현장에서 경제적 관점에서 최적 유지보수 및 교체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는 모형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지역난방공사 수도권 5개 지사열 배관망 운영 시 보수이력과 사고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정성적 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통계적 기법을 도입하여 파손확률 모델을 개발하였다. 보수이력 및 사고성 자료의 정성적 분석 결과, 파이프라인 손상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건설 시공불량, 배관의 부식과 자재 불량이 전체의 약 82%를 차지했다. 통계 모델 분석에서는 분류의 분리 점을 0.25로 설정함으로써 열배관 파손 및 비 파손 분류의 정확도가 73.5%로 향상 되었다. 파손확률 모델 수립을 위해 Hosmer와 Lemeshow 검정과 독립변수의 유의성 검정, 모델의 Chi-Square 검정을 통해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 하였다. 열배관망 파손의 위험순위 분석결과에 따르면 파손확률을 가장 높이는 경우는 겨울철 서울지역 자동차 도로에 있는 10년 이상 된 250mm이하 배관 Reducer에서 F 건설회사가 시공했던 열배관망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열배관망 시스템의 유지관리 및 예방점검, 교체 사업 우선순위를 정할 때 활용 가능하다. 또한 이를 통하여 점검 유지보수 등 사전에 사고예방 계획을 수립하여 대처함으로써 열배관 파손의 빈도를 감소시키고 보다 적극적인 열배관망 관리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연성 파이프 시공에 의한 전통가옥지붕에 매설된 자동소화장치 (Automatic Fire Extinguisher Having Flammable Pipes Inserted in a Cultural Assets Roof)

  • 조태준;김재준
    • 복합신소재구조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6-31
    • /
    • 2014
  • 숭례문과 같은 목조 구조물에서는, 소화(消火)가 지붕내부에서 발생하는 경우, 기존 소화장비로 소화가 불가능하여 지붕구조를 해체하기 전에는 소화가 거의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경사진 직선 파이프배치에 의한 지붕에 매설된 자동소화장치는 고 건축물(古建築物)의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자동 소화장치는 화재 검출기의 검출 신호에 의해서 다수의 직선 파이프로 소화배체를 공급하여 화재 발생시 소화작동을 하는 소화 시스템을 구비하는데, 건축물의 지하 또는 별도의 장소에 각종 소화 기기들이 위치되고 배관을 통하여 상기 직선 파이프에 소화수 또는 소화 가스를 제공한다. 건축물의 지붕 내부에 구비된 적심상에 다수의 직선 파이프들이 배치되고, 적심 구멍에 스프링클러가 배치되며, 건축물의 실내에는 화재 감시 카메라 또는 열감지 센서와 같은 화재 검출기들이 배치 된다. 소화 수에 의한 화재 진압에 선행하여 상기 메인 파이프와 직선 파이프에는 하론 가스와 같은 소화 기체가 충전되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 이와 같은 하론 가스가 먼저 스프링 클러를 통하여 분사되도록 한 다음, 하론 가스의 소모완료시 자동으로 가압수 장치로 전환되도록 밸브계통을 자동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직선 파이프들은 지붕을 다수의 구역으로 나누고, 그 구역에 맞추어 구역 별로 소화 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메인 파이프를 설치하고, 이에 직선 파이프들을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 진압시 다량의 소화 수를 일시에 공급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귀중한 문화재산의 신속한 자동 소화가 가능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