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립폐기물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3초

폐기물매립장에서 다짐에너지와 팽윤도에 의한 토양-벤토나이트 혼합토의 투수계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ydraulic Conductivity in the Soil-Bentonite Mixed Soils with Compaction Energy and Swelling in the Landfill)

  • 이종민;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4호
    • /
    • pp.61-72
    • /
    • 2001
  • 폐기물 매립장에는 발생되는 침출수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립장의 바닥 또는 측면에 투수계수가 1x$10^{7}$cm/sec이하인 차수재를 설치한다. 본 연구는 폐기물 매립장 차수재인 토양-벤토나이트 차수재 (혼합토)를 대상으로 하여 현장토의 토성에 따른 벤토나이트의 배합비와 투수계수의 특성을 파악하고 벤토나이트의 팽윤도 및 다짐방법이 차수층의 투수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동일조건에서 최대건조밀도는 SC계열의 혼합토가 CL계열의 혼합토보다 높게 나타났고, 최적함수비는 그 반대의 경향을 나타냈으며, 다짐방법별로는 최대건조밀도의 경우 D다짐시가 높게 나타났고, 최적함수비는 A다짐시의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다짐에너지에 따른 최대건조밀도의 차이는 SC계열의 혼합토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최적함수비의 경우는 CL계열의 혼합토가 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팽윤도에 따른 최대건조밀도 및 최적함수비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벤토나이트의 배합비 및 팽윤도가 증가함에 따라 투수계수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동일조건에서는 CL계열의 혼합토와 D다짐시 낮은 투수계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투수계수는 팽윤도보다는 벤토나이트의 배합량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일조건에서 SC계열의 혼합토와 A다짐시 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투수시험결과에 따른 시공시 경제성을 검토한 결과 팽윤도가 낮은 벤토나이트를 배합한 경우가 더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팽윤도별 재료단가의 큰 차이에 비해 투수계수 감소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전기전자제품(電氣電子製品)의 제조공정(製造工程)에서 발생(發生)하는 폐기물(廢棄物)로부터 금속회수(金屬回收)에 관한 기술(技術) 동향(動向) (Trend on the Metal Recovery Technologies from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 Manufacturing Process Wastes)

  • 정진기;신탁연;이재천;박상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4호
    • /
    • pp.26-34
    • /
    • 2012
  • 제품을 제조하는 대부분의 공정에서는 불량품이나 스크랩 등의 폐기물이 발생한다. 전기전자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에서도 금속을 함유한 복합물질의 폐기물이 다량 발생하며, 이로부터 금속을 회수하는 것은 자원재활용의 측면 뿐 아니라 매립 등의 처리에 대한 환경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기전자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품을 포함한 폐기물로부터 금속을 회수하는 기술에 대하여 1975년부터 2011년까지 공개/등록된 미국, 일본, 유럽, 한국의 특허와 SCI급 논문을 조사하였다. 키워드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필터링 하여 특허와 논문을 수집하여 연도별, 국가별, 기관별, 기술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특허의 경우는 한국, 일본, 미국 순으로 많이 제출하였고 논문의 경우에는 대만, 미국 순이었다.

A Large Slipping Finite Element Model for Geosynthetics Interface Modeling

  • Yi, Chang-Tok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3호
    • /
    • pp.35-48
    • /
    • 1996
  • 보강토구조물은 흙과 보강재 사이에 큰 변형이 발생하며 보강토구조물의 파괴양상도 보강재의 미끄러짐이나 변형에 의해 지배되며, 때때로 보강재의 재료의 파괴보다는 미끄러짐에 의해 보강토구조물이 파괴되므로 큰변형이 발생하는 흙-보강재의 모델링이 필요하다. 고형 및 액체폐기물 매립장에 쓰이는 라인너 시스템은 매립장의 경사와 쓰레기하중에 의해 큰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큰 변형의 문제는 기존의 접촉요소로써 모델링하는데 많은 제약 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흙과 토목섬유보강사이의 큰 만행을 모델링할 수 있는 접촉은소를 제안하였으며, 그 이론과 그 모델의 적용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 PDF

매립지 가스 발생량 평가 - 청주권 광역생활폐기물 매립장 사례연구 (Assessment of Landfill Gas Generation - A Case Study of Cheongju Megalo Landfill)

  • 홍상표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5호
    • /
    • pp.321-330
    • /
    • 2008
  • Methane is a potent greenhouse gas and methane emissions from landfills have been linked to global warming. In this study, LandGEM (Landfill Gas Emission Model) was applied to predict landfill gas quantity over time, and then this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data surveyed on the site, Cheongju Megalo Landfill. LandGEM allows the input of site-specific values for methane generation rate (k) and potential methane generation capacity $L_o$, but in this study, k value of 0.05/yr and $L_o$ value of $170m^3/Mg$ were considered to be most appropriate for reflecting non-arid temperate region conventional landfilling, Cheongju Megalo Landfill. High discrepancies between the surveyed data and the predicted data about landfill gas seems to be derived from insufficient compaction of daily soil-cover, inefficient recovery of landfill gas and banning of direct landfilling of food garbage waste in 2005. This study can be used for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nd increasing awareness about the benefits of recovering and utilizing LFG (landfill gas) and mitig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소규모 도시 생활폐기물 매립장 대기 중 VOC의 농도 측정 -경산시 삼풍동 매립장을 대상으로- (Measurement of VOC in the Ambient Air of a Small Scale Municipal Landfill Site -A Case Study at the Sampung-dong Landfill in Gyungsan City-)

  • 백성옥;김배갑;서영교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9-68
    • /
    • 200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in the ambient air of a small scale municipal waste landfill site. Seasonal sampling was carried out simultaneously at two sites, i.e. one in the center of the landfill area, and the other at a boundary site. Among 38 target VOC, toluene appeared to be the most dominant compound, followed by benzene. and xylenes. The higher levels of BTX imply that paint -containing materials and/or organic solvents are the most significant sources of the VOC in the landfill environment. Seasonal variations for the samples collected at the landfill site indicated that the VOC concentrations tend to be higher in the spring and fall season and lower in the winter season. In addition, night- time concentrations appeared to be generally higher than day-time. Such daily variation might be due to more stabilized atmosphere during the night-time. Similar patterns were also found in samples collected at a boundary sit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municipal landfill, although it is small -scaled, could be an important emission source of atmospheric VOC, particularly in the vicinities of the landfill. Thus, an appropriate control strategy is required to prevent any undesirable secondary pollutions from the environmental sanitary facilities such as landfill.

LandGEM 모델을 이용한 청주권 생활폐기물 매립장의 매립지가스 발생상수 및 메탄 잠재발생량 산정 (Estimation of Methane Generation Rate and Potential Methane Generation Capacity at Cheongju Megalo Landfill Site Based on LandGEM Model)

  • 홍상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14-422
    • /
    • 2008
  • Methane is a potent greenhouse gas and methane emissions from landfill sites have been linked to global warming. In this study, LandGEM (Landfill Gas Emission Model) was applied to predict landfill gas quantity over time, and then this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data surveyed on the site, Cheongju Megalo Landfill. LandGEM allows the input of site-specific values for methane generation rate (k) and potential methane generation capacity $L_o$, but in this study, k value of 0.04/yr and $L_o$ value of $100\;m^3$/ton were considered to be most appropriate for reflecting non-arid temperate region conventional landfilling like Cheongju Megalo Landfill. Relatively high discrepancies between the surveyed data and the predicted data about landfill gas seems to be derived from insufficient compaction of daily soil-cover, inefficient recovery of landfill gas and banning of direct landfilling of food waste in 2005. This study can be used for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nd increasing awareness about the benefits of recovering and utilizing LFG (landfill gas) and mitig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재활용 인산석고의 조류 및 물벼룩에 미치는 생물독성 평가 (Ecotoxicity Evaluation of Phosphogypsum Recycle for Algae and Daphnia magna)

  • 박수호;김종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528-532
    • /
    • 2012
  • 국내에서 발생되는 인산석고를 매립성토재로 활용 가능성과 수중생물인 담수조류, 해조류 및 물벼룩에 미치는 생물독성을 평가하였다. 인산석고 혼합에 따라 담수조류의 비성장속도는 대체적으로 해조류에 비해 높았으며, PG30 조건에서는 담수조류 성장이 1.7배 정도 컸다. 물벼룩의 경우는 PG50에서는 다소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 독성값(TU)값이 0.3으로 독성기준치 1 이하로 나타나 인산석고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산석고를 일반토사와 혼합할 경우, 환경학적으로 폐기물 재활용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가지 생물의 독성 실험결과 PG30 조건에서 매립성토재로 사용할 경우 생물독성의 영향이 미미할 것으로 판단된다.

폐기물 매립지 내에서의 침출수 거동(II)- 누적수위 저감을 위한 양수법의 수치해석 - (Leachate Behavior within the Domestic Seashore Landfill(II)- Numerical Analysis of Pumping Method for Reducing Leachate Level -)

  • 장연수;조용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11-120
    • /
    • 1999
  • 투수성 중간복토재로 인한 침출수 흐름 거동과 누적수위 저감을 위해 양수정을 이용한 수직배수공법의 적용 가능성을 흐름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MODFLOW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장 양수시험과 순간충격시험으로부터 획득한 투수계수와 저류계수를 이용하여(장연수 외, 1999) 현장의 수리상황을 수치적으로 검증한 후, 매립지에서 누적수위를 저감하기 위한 양수정의 최적양수율, 영향반경, 수평드레인의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본 수치해석 결과 대상지역의 지반조사결과(장연수 외, 1999)에서도 나타났던 저투수성의 중간 복토재로인한 매립지내의 수직흐름을 방해하는 차수효과가 다시 확인되었다. 단정 양수시 120 ton/day까지 가능하였던 양수율은 수평드레인 추가후 300 ton/day까지 증가하였으나 드레인 길이가 시간-수위강하 곡선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 PDF

하수슬러지 처리공정에 대한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LCA) Study of Wastewater Sludge Treatment Systems: Incineration, Composting, Solidification)

  • 한지영;조희찬;김도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4호
    • /
    • pp.17-26
    • /
    • 2002
  • 폐기물 관리법에 의하면 2001년부터 슬러지의 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매립이외의 다른 처리방식을 도입해야 할 상황이다. 전과 정평가는 제품 및 서비스의 전과정을 통해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정량화 하는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환경성에 대한 정책의 입안 및 제품의 비교평가 등 그 활용분야가 다양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를 이용하여 슬러지의 처리방법 중 소각, 퇴비화, 고형화에 대한 환경성을 비교 평가하여 적절한 처리방식을 선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각각 처리시설의 Data는 구리시 하수처리장의 소각시설, 난지도 하수처리장의 퇴비화 시설, 수도권매립지의 고형화 처리시설을 방문하여 운영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국내 D/B로 구축된 전력 및 수송자료도 이용하였다. 전과정 평가를 수행한 결과 퇴비화가 가장 낮은 환경 부하를 나타냈고. 고형화 처리방식이 가장 큰 환경부하를 나타냈다.

폐FRP 미분말을 재활용한 BMC 복합재료의 제조 및 기계적 물성 (Prepa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ulk Molding Compound Composite Prepared using Recycled FRP Waste Powder)

  • 황의환;전종기
    • 공업화학
    • /
    • 제21권2호
    • /
    • pp.217-223
    • /
    • 2010
  • 일반적으로 FRP 폐기물은 단순하게 매립하거나 소각처리하고 있다. 매립은 난분해성으로 인하여 토양을 영구 오염시키고, 소각은 분진과 유독가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FRP 폐기물의 처리방법으로 매립, 소각, 화학적 재활용, 재료적 재활용 및 연소열의 에너지활용 등 몇 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재료적 재활용을 포함한 모든 처리방법이 경제적 기술적 환경적 관점에서 제한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재료적 재활용방법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료적 재활용의 가능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첨가량을 다양하게 변화(25, 30, 35 wt%)시키고 또 충전재 대신 폐FRP 미분말을 대체(0, 25, 50, 75, 100 wt%) 사용하여 다양한 BMC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BMC시편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 내열수성시험 및 전자현미경 관찰을 행하였다. 시험결과 폐FRP 미분말의 치환량이 증가됨에 따라 기계적 강도는 감소되었으며, 내열수성시험에 의하여 시편의 물성은 크게 열화되었다. 폐FRP 미분말의 치환량 50 wt% 이상에서 BMC의 유동성이 크게 저하되어 BMC 복합재료에 문제가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