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매립장

Search Result 43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쓰례기 매립장 기피의사 추정: 수도권 매립장의 사례

  • Kim, Gwang-Im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5 no.2
    • /
    • pp.303-315
    • /
    • 1996
  • 폐기물 오염문제에 대한 국민적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폐기물 처리시설에 대한 주민의 반대는 최근 커다란 사회적인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혐오시설인 매립장의 입지를 반대하는 현상은 개인의 효용을 중시하는 경제주체의 경제행태 논리상 무시할 수 없는 현상이다. 주택가격과 주택까지의 거리와의 함수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주변지역주민들의 매립장 기피의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추정결과 주택가격으로 지불하는 금액을 통해서 주민들이 매립장을 피하기 위해 부담하고자 하는 의사는 유의성이 있었다. 비용부담의사는 매립장과 가까이 거주할수록 높았고,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현장추적자시험에 의한 폐기물매립장 침출수 유출경로 규명

  • 강동환;정상용;이광열;김병우;김태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63-66
    • /
    • 2004
  • 폐기물매립장에서의 침출수 유출을 확인하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추적자시험이 실시되었다. 추적자는 요오드와 Rhodamine WT를 이용하였으며, 추적자는 T-2, 4, 5공에서 주입하였다. 관측지점으로는 매립장내 우수관 출구와 측면배수구에서 모니터링 하였으며, 또한 주입공 하부의 9개 지하수공에서 모니터링 하였다. T-4, T-2와 T-5 지하수공에서 요오드와 Rhodamine WT 용액을 주입한 추적자시험 결촤 매립장의 바닥 차수막이 파손되어 침출수가 우수관내로 유출되고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또한 매립장내의 투수성이 매우 높아 일반적인 자연상태에 비해 매립장에서 우수관내로의 침출수 유입이 매우 빠름을 알 수 있었다. T-4와 T-2 지하수공에서 실시된 추적자시험에서 매립장의 차수벽 하부에 위치한 B-5와 B-6공에서 다량의 추적자가 관측되어 하부차수벽을 통해 침출수가 유출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현장에서 실시된 추적자시험을 통해 매립장에서의 침출수 유출은 매우 빠른 속도로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주 유출경로로는 T-4와 T-5 지하수공 주변의 바닥차수막과 매립장의 하부차수벽을 통해 유출 되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Composi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Cs from Major Waste Landfill Sites in Korea (전국 주요 쓰레기매립장 지역에 대한 VOC 성분의 조성과 배출특성에 대한 연구)

  • Kim, Ki-Hyun;Choi, Ye-Jin;SunWoo, Yo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4 no.1
    • /
    • pp.69-91
    • /
    • 2005
  • In order to accurately evaluate the distribu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produced in the landfill environment, we conducted a series of field campaign to measure VOC emissions from a total of eight landfill sites located all across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field measurements made from Sept. 2000 to Dec. 2004, we investigated VOC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1 large scale, 5 mid scale, and 2 small scale landfill sites. The results from our 4-years study is us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landfill facilities in Korea. If annual emission rates of VOC are compared in terms of toluene, the magnitude of its emission differed between the closed and active landfills. Whereas closed landfills show emission rates from a few tens to 500g/yr, those of active ones were recorded as 1,000 to 40,000g/yr.

  • PDF

Monitoring System to Measure the Waste Volume of Landfill Facility using 3D Laser Scanner (3D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매립장의 체적 계측을 위한 모니터링시스템)

  • Cho, Sung-Youn;Lee, Young-Dae;Ryu, Seung-Ki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3 no.3
    • /
    • pp.135-140
    • /
    • 2013
  • In this paper, we discussed about the volume monitoring system of a landfill facility. We proposed the waste volume calculation method using the point cloud of the surface of three dimensional object by measurement of the point cloud by the three dimensional scanner, which is based upon the robot technique. This computes not only the quantity of waste volume for continuos monitoring but also it helps not only to predict the evaluation factor of the usable age of a landfill. facility. Furthermore, the measuring system of waste volume was applied to the landfill facility in Ansung city.

쓰레기 매립지를 이용한 골프장 건설에 관한 연구

  • 류창현;김유일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8 no.1
    • /
    • pp.47-53
    • /
    • 2004
  • 환경친화적 개발 가능성에 있어서 쓰레기 매립지 골프장 건설은 골프장 이미지 개선, 부지 매입가격 절감, 메탄 에너지 재활용, 국토 이용률 상승, 녹지공간의 확보, 기술 경쟁력 확보 등의 매우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점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쓰레기 매립지 골프장 개발 가능요인과 쓰레기 매립지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이용가능성이 있는 매립지는 5%내외이며, 골프장과 같이 녹지를 제공하는 시설의 설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이미 개발된 미국의 쓰레기 매립지 골프장 시공 사례를 알아보고, 쓰레기 매립지 골프장 개발의 적극적인 도입을 위해 매립지 토지이용절차와 이용시 판단기준, 토지활용시 고려사항 등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미래의 쓰레기 매립지 활용에 있어 골프장 부지로 사용하고, 건설할 수 있는 타당성과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Drainage and reinforcement of landfill leachate using drain pile (배수파일을 이용한 매립장의 침출수 배수 및 보강)

  • Shin, Joon-Soo;Park, Jun-Boum;Seo, Min-Woo;Yune, Chan-Young;Chung, Choo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03a
    • /
    • pp.177-184
    • /
    • 2003
  • 매립장 내의 설치된 중간 복토층(intermediate cover)은 매립 도중 혹은 매립완료 후 종종 침출수가 하부의 침출수 집배수관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 매립장 내에 일정 침출수위를 형성시킨다. 이렇듯 중간 복토층은 침출수의 원활한 순환을 막아 매립장 바닥에 형성되어야 하는 침출수위가 중간복토층 위에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는 매립장의 구조적 안정성을 깨뜨리고 주변으로 침출수 누출을 유발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중간복토층 상부에 형성된 침출수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폐기물 매립시 중간복토층에 투수성이 뛰어나고 역학적 강도와 화학적 내구성을 갖는 배수파일(Drain Pile)을 설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배수파일은 중간복토층 상부에 형성될 수 있는 침출수를 매립장 바닥으로 배수시키고, 침출수 집배수정으로 이송이 가능하게 만든다. 또한 배수파일은 매립장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폐기물의 자체 강성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매립장의 측방유동을 막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실내시험을 통해 배수파일 충진재로서 굴패각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한 결과, 산업 폐기물인 굴패각이 침출수의 pH를 중화시키고 유해물질인 NH$_{4}$$^{+}$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실제현장의 침출수흐름을 모사하기 위해 범용 프로그램(SEEP/W)을 이용하여 매립지 내에서 배수 파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Electrical and Electromagnetic Surveys on the Nanji-do Landfill (난지도 매립장 전기.전자 탐사)

  • 이기화;권병두;정호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3 no.2
    • /
    • pp.95-100
    • /
    • 1996
  • Schlumberger electrical soundings and Coincident loop time-domain electromagnetic soundings were made on the Nanji-do landfill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fills and the subsurface structure. The measured data were transformed into apparent resistivity values and then inverted in terms of 1-D resistivity models. At 6 points, both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interpreted subsurface electrical structures. Interpreted layered models from each method show a good agreement. Obtained models show that a conductive zone exist below the shallow resistive zone. Conductive zone, which i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decomposition of organic waste materials and infiltration of precipitation, is terminated by resistive zone which is considered as basement. Considering the fact that conductive zone extends to the basement and there exist no barrier layers such as clay layers, contaminant plumes are likely to flow into the groundwater directly.

  • PDF

Electrical surveys at the Okmyung waste landfill of Pohang (포항 옥명 폐기물 매립장에서의 전기탐사)

  • Lee, Gi Hwa;Yun, Jong Ry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1 no.1
    • /
    • pp.41-50
    • /
    • 1998
  • Schlumberger soundings, dipole-dipole surve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mappings were carried out inside and in front of the entrance of the Okmyung waste landfill in August, 1997 and January, 1998. Inside and in front of the landfill, 11 and 4 electrical soundings and 1 dipole-dipole survey were carried out, respectively. Electrical conductivities were measured at 164 points along the 4 lines in front of the entrance of the landfill. Interpretations of survey data show that low resistivity zones of 0.3∼3 Ωm extend down to 65 m depth from the surface in the 6th landfill, which indicates subsurface contamination by leachate and leachate level at 3∼6 m depth from the surface. In the 9th landfill, low resistivity zones below 2 Ωm appear at 11∼15 m depth from the surface, which indicates a very slim chance of subsurface contamination. On the other hand, electrical survey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mappings reveal low resistivities at shallow depths in front of the entrance of the landfill, indicating a high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of weathered zone in this area. It appears that southern part of this area close to the 6th landfill is more contaminated by leachate.

  • PDF

Groundwater Contamination at the Seokdae Waste Landfill Area of Pusan City (부산 석대 폐기물 매립장 일대의 지하수 오염)

  • 정상용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2 no.1
    • /
    • pp.1-8
    • /
    • 1995
  • Wastes produce groundwater contamination, offensive odor, and hazardous gas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at the Seokdae waste landfill area and seeks the desirable ways to minimize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Groundwater levels, water chemistry and aquifer characteristics of wells were examined around the Seokdae waste landfill. The water chemistry of the Dong stream, the groundwater distribution and flow were also studi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estimated quantity of the percolation from the landfill base to the ground is 520 ㎥/day and the exten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is about 1-1.5 km from the center of the waste landfill. The groundwater contains heavy metals and other toxic elements.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groundwater of the waste landfill need several monitoring wells to check the quantity and quality of groundwater, pumping wells to extract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and slurry walls to protect the movement of contaminated groundwater.

  • PDF

매립장 침출수에 의한 오염지하수 정화 방법 연구

  • 송나인;도원홍;이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413-416
    • /
    • 2004
  • 매립장 침출수로 인해 오염된 매립장 주변 지하수 정화를 위한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염물로는 대표적 염화용제인 TCE와 PCE, 그리고 중금속인 As, Cd, Cr, Pb에 대하여 Air-sparging, 오존 산화법, 화학적 처리방법에 의한 정화효율 실험을 실시하였다. Air-sparging은 TCE, PCE에서 높은 제거효율을 가졌으며, 오존 산화법은 Cr, Pb에서 제거 효율이 좋았다. 반응제를 첨가한 공침방법의 경우, 모든 중금속에 대하여 소석회 첨가시 매우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As는 황산제일철에서, Cd, Cr, Pb는 탄산칼슘과 제올라이트 첨가시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실험결과로부터, 유기오염물과 중금속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매립장 주변 오염 지하수의 경우 휘발성 유기오염물의 제거를 위해서는 폭기방법이, 중금속의 경우에는 공침방법에 의해 수산화물, 탄산염으로 만들어 고형물로 처리하는 방법이 제거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