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매립가스

Search Result 264, Processing Time 0.145 seconds

Study on Removal of Trace Components from Landfill Gas Hydrate (매립가스 하이드레이트에서 미량성분 제거에 관한 연구)

  • Shin, Hyungjoon;Moon, Donghyun;Han, Kyuwon;Lee, Jaejung;Yoon, Jiho;Lee, Gangw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52.1-152.1
    • /
    • 2010
  • 매립지에서 유기물의 분해로 발생되는 매립가스는 악취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온난화지수가 21인 메탄이 약 50vol% 이상 포함되어 있어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매립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면 대기오염저감, 지구온난화 감소, 대체에너지원 확보뿐만 아니라 CDM사업 등과 연계하여 부가수익창출이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는 약 242개의 폐기물매립지가 있는데, 이중 매립가스를 활용하는 곳은 단지 14개소로 개별 경제성이 있는 대형매립지에서만 자원화시설을 설치하여 운영 중이며 그 외 매립지에서는 매립가스를 소각 또는 단순 대기 방출하여 대기오염유발과 동시에 대체에너지원 미활용으로 국가차원에서 큰 손실이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현재 매립가스 에너지화 기술로는 매립가스 열량에 따라 가스엔진, 가스터진, 증기터빈을 이용하는데 국내에서는 수분제거와 같은 간단한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정제 없이 사용한다. 그런데 매립가스 구성 성분 중 일부 미량가스($H_2S$ 등)는 부식성이 높아 실제 공정에서 큰 문제점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전처리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중심적환장으로 이송하여 경제성을 가지는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이드레이트 기술을 활용함에 있어 전처리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매립가스 구성성분 중 대표적 악취물질인 메르캅탄과 부식성 물질인 황화수소의 전처리 기술로서 활성탄 흡착방법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관찰이 가능하고 흡착탑을 2단으로 구성하여 활성탄 흡착탑을 제작하였다. 대상가스는 일반적으로 매립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흡착탑 전 후 가스의 성분분석은 LMSxi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활성탄의 상태, 접촉시간, 흡착탑의 구성에 따라 50~80%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이는 활성탄 흡착탑을 매립가스 에너지화의 전처리 시설로 사용될 경우 각각의 변수들에 대해 정확한 공정설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Study on Hydrate Kinetic of $CH_4+CO_2$ and $CH_4+CO_2+N_2$ System ($CH_4+CO_2$ System과 $CH_4+CO_2+N_2$ System의 Hydrate Kinetic 비교 연구)

  • Shin, Hyungjoon;Moon, Donghyun;Han, Kyuwon;Lee, Jaejung;Lee, Juho;Yoon, Jiho;Lee, Gangw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19.1-219.1
    • /
    • 2010
  • 매립지에서 유기물의 분해로 발생되는 매립가스는 악취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온난화지수가 21인 메탄이 약 50vol% 포함되어 있어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매립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면 대기오염저감, 지구온난화 감소, 대체에너지원 확보뿐만 아니라 CDM사업 등과 연계하여 부가수익창출이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는 약 242개의 폐기물매립지가 있는데, 이중 매립가스를 활용하는 곳은 단지 14개소로 개별 경제성이 있는 대형매립지에서만 자원화시설을 설치하여 운영 중이며 그 외 매립지에서는 매립가스를 소각 또는 단순 대기 방출하여 대기오염유발과 동시에 대체에너지원 미활용으로 국가차원에서 큰 손실이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중심적환장으로 이송하여 경제성을 가지는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이드레이트 기술을 접목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매립지에서 매립가스가 생성되는 과정에 표층부의 균열 및 차수막의 손상과 포집하는 공정에서 블로워 등의 사용으로 질소가 다량 포함되며 질소의 경우 상당히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에서 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하므로, 매립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시 질소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CH_4+CO_2$ System과 $CH_4+O_2+N$ System에 대하여 각각의 실험조건에서 Kinetic을 측정하였으며, 실험전후의 가스 조성을 Gas Chromatography로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매립가스에 공기가 유입될 경우, 질소의 영향으로 하이드레이트 생성조건이 가압되었고 하이드레이트 내 메탄의 함량비율이 줄어들었다.

  • PDF

Study on the Removal of Hydrogen Sulfide in Landfill Gases using Hydroquinone Clathrate (하이드로퀴논을 이용한 매립가스 내 황화수소 제거에 관한 연구)

  • Han, Kyuwon;Moon, Donghyun;Shin, Hyungjoon;Lee, Jaejeong;Lee, Gangw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89.2-189.2
    • /
    • 2011
  • 매립가스(LFG)는 약 50v/v% 이상의 메탄가스로 이루어져 있어 LFG의 자원화 사업은 국내 신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사업 중 태양광사업 다음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LFG의 대표적인 활용기술로는 가스엔진, 가스터빈 및 증기터빈을 이용한 발전과 중질가스 및 고질가스 형태의 연료로 생산하는 방식 등이 있으며 이러한 분야에 매립지가스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장치 부식의 주 원인이 되는 황화수소 가스의 제거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황화수소 제거를 위해 하이드레이트와 마찬가지로 동공을 형성하여 가스의 포집과 저장이 가능한 하이드로퀴논(HQ)을 이용하고자 한다. HQ은 $0^{\circ}C$ 부근에서 해리되는 하이드레이트와 달리 상온에서 고체 형태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가스의 포집 및 저장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메탄,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혼합가스에서 황화수소 90% 이상 제거를 목적으로 HQ와 반응시켜 동공 내에 이들 가스의 포집여부를 확인하였다.

  • PDF

매립 작업중인 쓰레기 매립지에서 대기중에 유출하는 가스의 분포특성

  • 이해승;이찬기;류돈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61-64
    • /
    • 1997
  • 본 연구는 매립 작업중인 준호기성매립지에서 유출가스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H$_4$가스는 대부분 입형가스포집관에서 유출되며, $CO_2$가스는 총유출량의 약 50% 정도가 입형가스포집관을 통하여 유출된다. (2) 매립지 표면에서는 CH$_4$가스 보다 $CO_2$가스가 많이 유출된다. (3) 법면 복토층은 면적비율이 작으나 가스 발생량이 많으며, 특히 $CO_2$가스의 발생율이 높다. (4) 쓰레기층 표면에서의 CH$_4$가스 발생량은 미소이므로 무시하여도 된다. (5) 쓰레기층 노출, 복토층 다짐정도등에 따라 발생량의 변화를 보인다. (6) 매립부에서 새로 반입된 쓰레기층에서 $CO_2$가스 유출량이 많다. (7) 가스포집관과 복도 표면을 포함한 가스 유출량은 CH$_4$가스 유출이 많으나, 전체로는 $CO_2$가스 유출량이 많다.

  • PDF

Development of process for energy recovery from landfill gas using LFG-Hydrate (LFG-Hydrate를 통한 매립가스 에너지화 공정 개발)

  • Moon, Donghyun;Shin, Hyungjoon;Han, Kyuwon;Lee, Jaejung;Yoon, Jiho;Lee, Gangw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52.2-152.2
    • /
    • 2010
  • LFG는 매립된 폐기물 중 유기성분이 혐기성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되면서 발생하며, 이러한 매립지가스는 주변 지역의 자연 및 생활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소각 등의 방법으로 LFG를 처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매립지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량은 폐기물 1톤 당 $150{\sim}250m^3$로서 매립 후 2~3년 후에 최대량이 발생하며 매립 후 20~30년 후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함으로 안정적인 LFG의 공급이 가능하며, 메탄함량이 50%인 경우 약 $5,000kcal/m^3$의 높은 발열량을 가지므로 대체에너지원으로 이용할 경우 환경적인 문제 해결 및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LFG 자원화 할 경우 가장 안정적인 방안으로 발전 및 중질가스로 활용하는 것이나, 발전의 경우 최소 200만톤 이상의 매립용량을 갖추어야 경제적인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중질가스로 활용하는 경우 인근에 가스 수요처를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만약 중 소규모의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LFG를 안전하고 경제적인 조건으로 저장 및 수송할 수 있다면 중 소규모의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LFG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안전하고 경제적인 저장과 수송기술을 통하여 발전이 아닌 중질가스로의 활용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여러 곳의 매립장에서 발생한 LFG를 한 곳으로 집중시켜 고질가스로 전환하는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정제된 고질가스를 이용하여 발전보다 경제적인 자동차 연료나 도시가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LFG의 저장과 수송기술 중 GTS 기술을 통하여 저장과 수송에 제약이 크고 많은 비용이 소비되는 기체 상태의 에너지원을 하이드레이트화 시킴으로서 중 소규모 매립지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가스저장과 지상수송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LFG 에너지화 실증화 플랜트를 설계/제작 하였으며, 메탄+이산화탄소+물 하이드레이트 형성 실험 결과 4.56 Mpa, 277.2 K 조건에서 3시간을 한 사이클로 하는 공정운전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생성된 슬러리상의 하이드레이트를 고압으로 배출하여 펠릿으로 형성시켰으며, 형성된 하이드레이트 펠릿의 경우 92.27%의 메탄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Variation of Landfill Gases in Completed Refuse Landfill Site after the Stabilization (사용종료 매립지의 지반안정화 후 매립가스의 변화)

  • Lee, Min-Hee;Ju, So-Young;Park, Jun-Kyu;Yeon, Ik-Jun;Kim, Kwang-Yu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5 no.1
    • /
    • pp.27-34
    • /
    • 2004
  • The reclaimed waste layer in a completed refuse small landfill site was stabilized by JSP(Jumbo Special Pattern System) method. There were some variations of landfill gases(LFGs) after the stabiliz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andfill gases emitted from a open dumping landfill site. We measured concentration of landfill gase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and 28 months later.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s of $H_2S$ and $NH_3$ gases before the construction were 123.51ppm and 171.54ppm,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higher than TWA(Time Weighted Average) values. But the concentrations of $H_2S$ and $NH_3$ gases after the construction were 55.59ppm and 20.51ppm, and they also decreased 9.04ppm and 11.82ppm in 28 months. $CH_4$ and other landfill gases after the construction were little or a little detected in the landfill site. Hence we found out that concentrations or classes of landfill gases causing some problems extremely decreased by way of the stabilization.

  • PDF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 of Improvement of Existing Landfill Gas(LFG) Production by Using Food Waste Water (음폐수 이용 기존 매립지 가스 발생 향상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효과)

  • Shin, Kyounga;Dong, Jongin;Park, Daewon;Kim, Jaehyung;Chang, Wonsoek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5 no.3
    • /
    • pp.104-113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correlation between methane gas production and injection of food waste water to motivate to expand renewable energy as a way of GHG (Green House Gas) mitigation to achieve the national GHG target proposed for the climate agreement in Paris last year. Pretreatment of food waste water was processed with pH 6 at $35^{\circ}C$ and used the fixed-bed upflow type reactor with the porous media. As a result of operation of pilot-scaled bioreactor with food waste water, the methane gas production was 6 times higher than the methane gas production of control group with rain water. The average production of methane was $56{\ell}/day/m^3$ which is possible to produce $20m^3$ of methane in $1m^3$ of landfill. As a way of energy source, when it is applied to the landfill over $250,000m^3$, it is also able to achieve financial feasibility along with GHG reduction effect. GHG reductions of $250,000m^3$ scale landfill were assessed by registered CDM project and the annual amount of reductions was 40,000~50,000 $tCO_2e$.

Optimization of pipeline Operation for Stable Landfill Gas Collection Using Numerical Analysis (안정적 매립가스 포집을 위한 배관망 최적운용 분석)

  • 김인기;김세준;허대기;김현태;성원모;배위섭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6 no.3
    • /
    • pp.43-52
    • /
    • 2001
  • It is important that the gas collected from wells completed in waste landfill should be continuously and stably transported to pre-treatment stage through pipelines. The transport is generally affected by fluid flow characteristics of landfill, gas reserves, leachate moisture holdup in pipeline, structures and dimensions of pipeline network, etc. This paper analyzes the pipeline transport and collection mechanism for gas generated in a durable waste landfill. From the results, the optimal controlled scheme of blower inlet pressure is proposed for the prevention of trapped gas pocket zones.

  • PDF

Methane Oxidizing Capacity of Landfill Cover Soils to Reduce Atmospheric Methane Emissions (메탄의 대기 배출량을 저감시키는 매립지 복토층의 메탄 산화능력에 관한 연구)

  • Park, Soyo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3 no.4
    • /
    • pp.187-196
    • /
    • 2004
  • 매립지에서 배출되는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배출되는 지구온난화 가스이지만 열을 흡수하는 능력에 있어서는 이산화탄소 보다 25에서 35배 정도 더 크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 현상에 대한 메탄가스의 영향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매립지로부터 배출되는 메탄가스는 호기성 상태의 매립지 복토층을 통과 할 때 산화될 수 있으므로 매립지 복토층은 메탄가스의 배출을 저감시키는 바이오필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batch 실험을 통하여 매립지 복토층에서의 메탄산화속도에 대한 토양수분과 온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최대 산화속도는 토양수분 15%(w/w), 배양온도 $35^{\circ}C$의 환경조건에서 $1.03{\mu}mol\;CH_4g^{-1}soil\;h^{-1}$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토양수분과 온도를 함수로 하는 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전국에 4 군데 지역을 선발하여 각 지역의 토양수분과 온도 데이타를 수집하고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각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매립장에서의 월 평균 메탄산화량을 예측하였다. 예측 결과 환경조건이 양호한 지역의 매립지 복토는 메탄의 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바이오필터의 효과를 가지지만 환경조건이 불리한 지역의 매립지 복토에서는 바이오필터의 효과가 크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법령과고시 1 - 가스배관 벽체매립시대 열다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77
    • /
    • pp.40-43
    • /
    • 2013
  • 건축물 가스배관이 외벽이 아닌 벽체에 매립됨으로써 건축물 외관의 새 지평을 열게 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도시가스 사용에 따른 국민생활과 기업 활동에 불편을 주는 애로점을 해소하기 위해 건축물 도시가스배관 매립 등의 내용을 포함한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을 지난 7월 25일 개정 공포하고 시행에 들어갔다. 이로써 7월 25일 이후 공사 입찰 공고분부터 가스배관의 벽체 매립이 적용된다. 그동안 도시가스배관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이번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벽에 매립 설치됨으로써 도시가스배관을 이용한 범죄예방효과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 미관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가스계량기의 설치는 계량검침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외부 설치가 유도됨에 따라 사생활 침해와 검침원 사칭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가스콘센트를 설치토록 하여 주민불편과 비용부담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은 그동안 대한설비건설협회 가스설비공사협의회(위원장 조종택)가 지속적으로 건의하여 받아들여진 것으로, 가스설비공사협의회는 건축물 내 가스배관 설치기준 연구의 정책 기술 자문위원으로 적극 참여한 바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