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니폴드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2초

비선형적 매니폴드를 이용한 임의 얼굴에 대한 얼굴 추적 및 인식 (Face Tracking and Recognition on the arbitrary person using Nonliner Manifolds)

  • 주명호;강행봉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342-347
    • /
    • 2008
  • 사람의 얼굴은 강체(rigid object)가 아니기 때문에 얼굴을 추적하거나 인식하기는 쉽지 않다. 또한 시스템에 미리 학습되어 있지 않은 임의의 얼굴의 경우 지속적으로 얼굴의 변화를 추적하고 인식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얼굴들에 대해 비선형적 매니폴드 모델을 구축하고 각 모델을 선형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비디오 기반의 영상으로부터 시스템이 알지 못하는 임의의 얼굴에 대해 추적하고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된 임의의 얼굴은 얼굴 포즈나 표정 혹은 주위 환경 등에 따라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서로 다른 얼굴들과 서로 다른 유사성을 갖는다. 따라서 입력 얼굴과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얼굴들과의 확률적인 접근을 통해 유사성을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유사성을 이용하여 입력 얼굴에 대한 새로운 비선형적 매니폴드 모델을 구축한다. 또한 추정된 모델은 매 프레임마다 입력 얼굴에 따라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실험 결과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임의의 얼굴에 대해 추적하고 인식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과산화수소/케로신을 이용한 다중 분사기 엔진 설계 및 수류 실험 (Design and Cold Flow Test of a Multi-injector Engine using Hydrogen Peroxide/Kerosene)

  • 이양석;전준수;고영성;김유;김선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6-44
    • /
    • 2012
  • 친환경 추진제인 고농도 과산화수소와 케로신을 추진제로 사용하는 다중 분사기 액체 로켓 엔진을 설계하였다. 엔진의 설계 요구 조건을 결정한 후 엔진의 주요 형상 치수를 이론적인 배경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다중 분사기는 6개의 분사기를 장착하였으며, 상용 해석 툴을 이용하여 과산화수소 매니폴드 내의 유동 해석을 수행하여 매니폴드 내에서 균일한 유량분포 및 냉각성능 확보를 위해 유동 정체 구간과 재순환 영역을 최소화하였다. 매니폴드 유동장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유동이 최적화 되는 다중 분사기를 제작하였으며, 수류 실험을 통하여 추진제의 유량, 분무각 및 분무 성능을 확인하였다.

가솔린엔진 흡기매니폴드의 흡기유량 및 분배특성 (Intake-Air Flow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Gasoline Engine Intake-Manifold)

  • 염경민;박성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718-4725
    • /
    • 2011
  • 본 연구는 성능 해석을 통하여 1600cc급 흡기매니폴드의 흡기유량 및 분배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차원 엔진 성능해석 프로그램과 3차원 유동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흡기 매니폴드의 정상상태 유동해석을 수행한 결과, 일차원 유동해석과 3차원 유동해석의 유량계수 표준편차는 1% 미만으로 우수한 분배특성을 나타내었다. 일차원 해석 결과가 3차원 결과 대비 미소하게 증가된 결과를 보였지만 동등한 유량계수 경향성을 나타냈다. 비정상상태 해석은 분배특성 측면에서 정상상태 해석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정상상태 해석결과를 통한 비정상상태 분배특성의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흡기 매니폴드 가스켓 블레이드 적용에 따른 배출가스 고찰 (Investigation of Emission Gas by using the Intake Manifold Gasket Blade)

  • 이민정;김태중;신윤찬;조홍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4-61
    • /
    • 2018
  • 자동차의 엔진에서 불완전 연소는 유해 배기가스 생성의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엔진에서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고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줄이기 위하여 흡기 매니폴드에 가스켓 블레이드를 적용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증가에 따른 배기가스의 변화를 해석과 실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3D 유동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스켓 블레이드의 개수와 각도에 따른 유동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 결과 가스켓 블레이드를 적용한 흡기 매니폴드 출구에서 공기의 평균 유속은 블레이드 개수가 6개와 $30^{\circ}$각도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다. 해석 결과를 기반으로 무부하 엔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가스켓 블레이드가 배기가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엔진 회전수가 2000 rpm에서 4000 rpm으로 증가함에 따라 배기가스인 HC, CO, NOx는 평균적으로 각각 23.4%, 16.5%, 3.8% 감소하였으며 배기가스의 배출량 감소 효과는 점점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하체 충돌을 고려한 심해저 매니폴드 보호 구조물 설계 (Design of Subsea Manifold Protective Structure against Dropped Object Impacts)

  • 우선홍;이강수;정준모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3-240
    • /
    • 2017
  • Subsea structures are always vulnerable to accidental risks induced by fishing gear, dropped objects, etc.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a subsea manifold protective structure that protects against dropped object impacts. Probable dropped object scenarios wer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shapes and masses of the dropped objects. A design layout for the manifold protective structure was proposed, with detailed scantlings and material specifications. A method applicable to the pipelines specified in DNV-RP-F107(DNV, 2010)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annual probabilities of dropped objects hitting the subsea manifold.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es provided the structural consequences due to the dropped object impacts such as the maximum deflections of the protective structure and the local fracture occurrences. A user-subroutine to implement the three-dimensional fracture strain surface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local fractures occur. The proposed protective structure was shown to withstand the dropped object impact loads in terms of the maximum deflections, even though local fractures could induce accelerated corrosion.

Ka 대역 위성 중계기용 출력 멀티플렉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utput Multiplexer for Ka-Band Satellite Transponder)

  • 이주섭;엄만석;박상준;이필용;염인복;박종흥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706-71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Ka대역 위성 중계기용 출력 멀티플렉서의 설계 및 제작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출력 멀티플렉서는 저역통과필터, 채널필터, 매니폴드(Manifold)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성 중계기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채널필터는 이중모드로 설계하였다. 채널별 주파수 선택도를 높이기 위하여 채널필터는 4차 타원 응답형으로 설계하였으며, 저역통과 필터는 13차 corrugated 형으로 설계하였다. 채널필터와 매니폴드의 초기 설계 후 최적화 과정에 있어서 모든 설계 변수를 최적화시키는 대신 일부의 설계 변수만을 최적화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최적화 설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작한 Ka 대역 위성 중계기용 출력 멀티플렉서의 측정결과는 설계결과와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1D-3D 연동해석을 통한 흡기 매니폴드 형상이 실린더별 유동 분배에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e the Effect of the Intake Manifold Geometry on Cylinder-to-cylinder Variation Using 1D-3D Coupling Analysis)

  • 박상준;조정근;송순호;조자윤;왕태중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161-168
    • /
    • 2016
  • CNG engine has been used as a transportation because of higher thermal efficiency and lower CO2 and particulate matter. However its out put power is decreased due to cylinder-to-cylinder variation during the supply of air-fuel mixture to the each cylinder. It also causes noise and vibration. So in this study, 1D engine simulation model was validated by comparison with experiment data and 3D CFD simulation was conducted to steady-state flow analysis about each manifold geometry. Then, the effects of various intake manifold geometries on variation were evaluated by using 1D-3D coupling analysis at engine speed of 2100 rpm range in 12 L CNG engine. As a result, variation was improved about 4 % though 3D CFD analysis and there was a variation within 3 % using 1D-3D coupling analysis.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매니폴드 설계 및 해석 (NUMERICAL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MANIFOLD FEED-STREAM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 정혜미;엄석기;박정선;이원용;김창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0-263
    • /
    • 2005
  • The effects of internal manifold designs the reactant feed-stream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PEFCs) is studied to figure out mass flow-distribution patterns over an entire fuel cell stack domain. Reactants flows are modeled either laminar or turbulent depending on regions and the open channels in the bipolar plates are simulated by porous media where permeability should be pre-determined for computational analysis. In this work, numerical models for reactant feed-stream in the PEFC manifolds are classified into two major flow patterns: Z-shape and U-shape. Several types of manifold geometries are analyzed to find the optimal manifold configurations. The effect of heat generation in PEFC on the flow distribution is also investigated applying a simplified heat transfer model in the stack level (i.e. multi-cell electrochemical power-generation unit). This modeling technique is well suited for many large scale problems and this scheme can be used not only to account for the manifold flow pattern but also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optimal design and operation of a PEMC system.

  • PDF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매니폴드의 열유동 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Thermal and Flow Characteristics of Manifold Feed-Stream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 정혜미;엄석기;손영준;박정선;이원용;김창수
    • 신재생에너지
    • /
    • 제1권2호
    • /
    • pp.41-52
    • /
    • 2005
  • The effects of internal manifold designs on the reactants feed-stream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PEFCs] is studied to figure out flow and thermal distribution patterns over an entire fuel cell stack. Reactants flows are modeled either laminar of turbulent depending on regions and the open channels in the bipolar plates are simulated by porous media where permeability should be pre-deter-mined for computational analysis. In this work, numerical models for reactants feed-stream In the PEFC manifolds are classified Into two major flow patterns: Z-shape and U-shape. Several types of manifold geometries are analyzed to find the optimal manifold configurations. The effect of heat generation in PEFC on the flow distribution is also Investigated applying a simplified heat transfer model in the stack level (i.e. multi-cell electrochemical power-generation unit). This modeling technique Is well suited for many large scale problems and this scheme can be used not only to account for the manifold flow pattern but also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optimal design and operation of PEFC syst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