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맞춤형 문자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 seconds

The Algorithm of implementation for genome analysis ecosystems : Mitochondria's case (유전체 생태계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 구현: 미토콘드리아 사례)

  • Choi, Sung-Ja;Cho, Han-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4
    • /
    • pp.349-353
    • /
    • 2016
  • The studies on the human environment and ecosystem analysis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In recent years, The service of genome analysis has been offering the customized service to prevent the disease as reading an individual's genome information. The genome information by analyzing technology is being required accurate and fast analyses of ecosystem-dielectrics due to the spread of the disease, the use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and the influx of exotic. In this paper the algorithm of K-Mean clustering for a new classification system was utilized. It will provide new dielectrics information as quickly and accurately for many biologists.

A Study on Dissemination of Earthquake Response Technology and Improvement of Practicality through User Demand Surveys (사용자 수요조사를 통한 지진 대응기술의 보급 및 실용성 제고 방안 연구)

  • Choi, SeonHwa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6 no.4
    • /
    • pp.33-46
    • /
    • 2021
  • In Korea 2016, the largest earthquake occurred in Gyeongju since the beginning of monitoring earthquakes. Consecutively the second-largest earthquake occurred in Pohang. At that time, immediately after the earthquake, citizens were not notified adequate information for evacuation. In consequence the response process was very confusing and citizens were not able to properly evacuate to shelter. For resolving these problems, it is needed of a service to inform quickly information which citizens want to know immediately after the earthquake. So, we have developed the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 model, the earthquake safety service which help citizens to escape safely using an earthquake shaking alert device. In this paper, we will introduce this model and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R&D and strategic plans for technology dissemination and improvement of practicality through user demand survey.

A Study on Disaster Information Contents for Provision of Disaster Response Services based on Multimedia (영상 매체 기반 재난대응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재난정보 콘텐츠 연구)

  • Cho, Beom-Jun;Kim, Hyun Chul;Kim,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210-211
    • /
    • 2020
  • COVID-19으로 인해 국민들에게 전달되는 재난정보의 양상이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이는 정보통신의 발전 양상과도 매우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전까지의 정부 및 지자체에서 제공되는 재난정보에 대한 형태는 문자와 음성으로만 제공하므로써 고령자와 외국인과 같은 재난 약자에게 명확한 상황인지를 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며, 보다 정확하고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는 급속도로 발전하는 정보통신 매체(UHD 및 5G, 오픈스크린 등)를 기반으로 국민들로 하여금 신속.정확한 재난상황인지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로 인한 재난경보 관련 최근 이슈는 '내 위치 맞춤형 정보'와 '다매체 정보'가 아닐까 싶다. 정보통신 매체가 발달함에 따라 제공되는 재난경보의 범위가 내 위치를 기준으로 좁아지며, 시각적으로 직관적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각 매체의 고유 정보를 통해 위치가 확인 가능하면서 해당 지역에 맞는 정보만 선택적으로 취함으로써 불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TTA에서 표준으로 제정된 CAP (Common Alerting Protocol)을 활용하였으며, 'Area' 항목에 지역코드(전국~읍면동)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가능해졌다. 또한 CAP을 활용함에 따라 텍스트부터 음성, 이미지, 웹 콘텐츠까지 최신의 영상 매체에 적용 가능한 재난정보 콘텐츠를 제공 가능해졌으며, 특히 UHD 및 5G, 오픈스크린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기반 영상 매체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된 콘텐츠에는 각종 관련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링크를 제공하여 필요에 따라 보다 자세한 재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재난경보에 대한 다변화를 통해 나에게 꼭 필요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발령 체계 개편이 필요하다.

  • PDF

Design of Life-log System based on Multimodal Sensors in Smart Phone (스마트폰 멀티모달 센서 기반의 라이프로그 시스템 설계)

  • Nam, Yun Jin;Shin, Don Il;Shin, Dong K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192-194
    • /
    • 2016
  • 스마트폰 사용자 수가 늘어남으로써 스마트폰으로 개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고 사용자 개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호나 취향에 맞는 상품 및 서비스 제공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개인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 정보를 추출하는 것 및 상황 행위에 대한 특정을 하고 사용자에 대한 로그(log)를 축적하고 분석하는 작업이 가장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환경 기반의 멀티모달 센서 및 문자/통화/사진/음악 이용 로그를 활용하여 라이프로그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취향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스마트폰의 향상된 성능, 추가된 다양한 기능에 따라 생성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상황인지, 행위인지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상황과 행위를 특정 짓는다. 결과 또는 키워드 들을 데이터와 함께 태깅하고 에피소드 형식으로 레코드를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저장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해 저장된 라이프로그 및 개인맞춤형 정보화 모델은 개인 취향에 최적화된 서비스/상품 제공 연구에 활용 될 수 있도록 시스템 구현을 진행할 예정이다.

Prototype Design and Development of Online Recruitment System Based on Social Media and Video Interview Analysis (소셜미디어 및 면접 영상 분석 기반 온라인 채용지원시스템 프로토타입 설계 및 구현)

  • Cho, Jinhyung;Kang, Hwansoo;Yoo, Woochang;Park, Kyut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3
    • /
    • pp.203-209
    • /
    • 2021
  • In this study, a prototype design model was proposed for developing an online recruitment system through multi-dimensional data crawling and social media analysis, and validates text information and video interview in job application process. This study includes a comparative analysis process through text mining to verify the authenticity of job application paperwork and to effectively hire and allocate workers based on the potential job capability. Based on the prototype system, we conducted performance tests and analyzed the result for key performance indicators such as text mining accuracy and interview STT(speech to text) function recognition rate. If commercialized based on design specifications and prototype development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t may be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intelligent online recruitment system technology required in the public and private recruitment markets in the future.

An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of Image based SNS (이미지 기반 SNS의 사용성 평가 연구)

  • Lee, Mi Gyung;Park, Jin 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8
    • /
    • pp.508-516
    • /
    • 2016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Service and with the diversification of user needs, new types of image-based SNS have emerged. Image-based SNS provides customized service to meet users' specified contents needs that have yet to be satisfied in conventional relation-based SNS like Facebook, leading the trend of service diversification. Unlike text-based SNS that has inconvenient view on a small mobile screen, image-based SNS provides the communication way focused on simple text message and image, and thus the main users of the image-based SNS are young people in their 20s who get accustomed to images, rather than text messages. Accordingly, the functions and roles of SNS UI have varied, and usability has been more important. With the users in their 20s who use image-based SNS,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the usability of the image-based SNS. To do that, heuristic evaluation method was applied to find UI problems. The main factors constituting usability were extracted, and user evaluation method was redesigned. Aside from the satisfaction measurement, this study conducted and analyz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users in their 20s who used actual image-based SNS. This study analyzed usability factors that influenced of image-based SNS users. The analysis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material to improve usabilit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ocial media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