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맞벌이 가정

Search Result 16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Effect of Dual-income Parents' Work-Family Conflict on Depression: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Jung, Gijung;Seong, Mihyeon;Song, Ji-Hyeun;Ha, Ji S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2
    • /
    • pp.487-497
    • /
    • 202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of dual-income parents. The subjects were 214 dual-income parents aged 20 years and the data collected online in April 2021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4.0 statistical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three stag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which showed that work-family conflic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upport (β=-.188, p<.01), which was the mediating variable, and depression (β=.539, p<.001), which was the dependent variable. In the third stage, the study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obel test result as well (z=2.468, p=.013). In conclusion, the study confirms the need to establish strategies and arrange social support to solve the emotional problems of dual-income parents.

Work-Family Role Strain in Dual-Earner Families : A Theoretical Model for Husbands (맞벌이 부부가족에 있어서의 일과 가정생활의 역할 긴장에 관한 연구: 남편에 대한 이론적 모델의 검증)

  • 김영희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0 no.3
    • /
    • pp.271-283
    • /
    • 1992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스트레스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제안된 이론적 모델의 검증을 통하여 일과 가정생활의 두 역할을 병행하는 데서 기인하는 역할긴장이 매개변수인 가족자원과 대처방안에 의해 어떻게 중재되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다단계 추출법으로 미국 로스엔젤레스에 거주하는 한인교포 중 맞벌이부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통해 남편과 아내의 자료를 표집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117명의 남편의 자료만을 결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이론적 검증에 유용한 LISREL Ⅶ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처음에 제안된 이론적 모델의 검증에는 문제를 보였지만 PSI Matrix를 고정하고 가정생활의 역할 stressor와 가족자원의 경로를 첨가하여 수정된 모델은 자료에 의해 충분히 검증되었다. 그러나 남편의 이론적 모델은 가족스트레스 이론을 일반화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일과 가정생활의 두 역할을 병행하는 데서 기인하는 남편의 역할긴장을 가족스트레스 이론으로 설명하는데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이론적 모델의 의미와 제한점 등을 살펴본 후 미래연구가를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