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맛 성분

Search Result 8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봄.가을 멸치액젓의 숙성 중 성분변화의 차이

  • 임영선;임치원;민진기;최영준;조영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06-107
    • /
    • 2000
  • 멸치, Engraulis japonicus는 우리나라 전 연안 (특히 남해안)에서 어획되는 일시다획성 어류로, 청어목 (Order Clupeiformes), 멸치과 (Family Engraulidae), 멸치속에 속한다 (국립수산진흥원, 1994). 우리나라에서 멸치의 생산은 주년 계속되나, 주 어기는3∼6월 사이에 나는 봄멸치와 9∼11월에 나는 가을멸치가 생산량이 많으며 (Lee, 1971; NFRDA, 1972), 봄멸치가 가을멸치보다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및 ATP 관련물질과 같은 맛 성분의 함량이 높다 (Park, 2000). 멸치는 맛과 영양적인 면에서 우수하지만, 다른 어종에 비하여 부패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어획량의 90% 이상이 자건품, 젓갈 및 액젓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멸치를 원료로 한 멸치액젓은 옛부터 김치의 부재료, 간장대용, 무침이나 절임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중략)

  • PDF

방사선 조사에 의한 고춧가루의 매운 맛 성분과 색의 변화

  • 이정희;성태화;김미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0.1-140
    • /
    • 2003
  • 방사선 조사에 의한 고춧가루의 매운맛 성분과 색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고춧가루 (Capsicum annuum) 를 진공상태에서 포장한 후, 3, 5 및 7 kGy 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Capsacinoids 함량을 HPLC에 의해 분석하였을 때, total capsanoids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apsaicin은 조사선량이 클수록 증가하였고, dihydrocapsaicin은 변화가 없었다. Scoville test에 의한 매운맛 평가 결과, 0, 3 및 5 kGy 로 조사된 고춧가루의 매운맛 강도는 유사하였으나, 7 kGy 조사된 고춧가루는 매운 맛 강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고춧가루의 붉은 색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색소인 capsanthin을 HPLC로 분석하였을 때, 변화가 없어 방사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그러나 고춧가루의 붉은 색 정도를 색차 계로 측정하였을 때 Hunter a value (redness) 는 조사선량이 커질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건강한 삶 위한 녹색혁명 녹차

  • Park, So-Hui
    • 베이커리
    • /
    • no.6 s.455
    • /
    • pp.125-129
    • /
    • 2006
  • '우리맛 살리기'는 (사)대한제과협회 기술지도위원들이 우리 농산물을 이용한 실용적인 빵과 케이크를 소개하는 코너다. 우리 농산물과 웰빙 소재를 이용한 제품은 건강을 중요시하는 현대인들에게 인기가 높은 아이템으로 손꼽힌다. 이번호에서는 카테킨 성분의 탁월한 효능으로 주목받고 있는 건강소재 '녹차'를 이용한 여러 가지 실속 제품을 제안한다.

  • PDF

Taste Sensitivity and Changes in Taste Intensity with the Addition of MSG (맛에 대한 감도와 MSG 첨가에 따른 맛의 강도 변화)

  • Koo, Nan-Sook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7 no.1
    • /
    • pp.197-203
    • /
    • 1998
  • The recognition thresholds of sucrose, NaCl, citrate, caffeine, and MSG solution were determined and the effects of MSG on four basic tastes were also investigated by the sensory evaluation. The recognition threshold of sucrose was 0.451%, NaCl 0.01%, caffeine 0.005%, citrate 0.004%, and MSG 0.033%. When MSG was added to 10% sucrose solution, the intensity of sweetness significantly decreased by 0.8% MSG. The sweetness of sucrose indicated the de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MSG. When MSG was mixed with NaCl solution, the intensity of salt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n addition of MSG to the citrate solution, sourness was suppressed. The bitterness increased slightly in a caffeine solution when mixed with MSG.

  • PDF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Toha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Freshwater Shrimp) and Jeotsaeu (Acetes japonicus , Seawater Shrimp) (토하(土蝦) 및 젓새우의 함질소(含窒素) 엑스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 Park, Choon-Kyu;Park, Jung-Nim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8 no.6
    • /
    • pp.1111-1118
    • /
    • 1996
  • The extracts of toha, a kind of freshwater shrimp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being cultivated in Naju district, Chonnam of Korea and jeotsaeu, a kind of seawater shrimp (Acetes japonicus) being caught in Shinan district, Chonnam of Korea, were analyzed for the taste constituents-extractive nitrogen, free amino acids, oligopeptides, nucleotides and related compounds, quaternary ammonium bases, and guanidino compounds-using specimens collected from December in 1994 to November in 1995. The content of extractive nitrogen. free amino acids, oligopeptides, nucleotides and related compounds in toha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in jeotsaeu extract. On the contrary, the amount of homarine, trimethylamine oxide and trimethlamine in toha extract was lower than that in jeotsaeu extract. But in case of creatine and creatine both species showed almost the same level. Arginine, lysine, glutamine, glutamic acid, phenylalanine, leucine, alanine, asparagine and glycine were the major amino acids in toha extract, while arginine, glutamic acid, proline, glutamine, lysine, leucine, glycine, alanine and taurine were the major amino acids in jeotsaeu extract. Methionine, glutamine, valine were almost the same level between the two species. As for nucleotides and related compound, AMP was the principal constituent in toha extract, and inosine was the principal constituent in jeotsaeu extract. In conclusion, the content of major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oha extract was more abundant than that in jeotsaeu extract. So toha was more excellent raw material than jeotsaeu.

  • PDF

Studies on the Aroma Components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배전 및 원두 커피의 향기성분)

  • Baik, Hee-Jun;Ko, Young-Su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8 no.1
    • /
    • pp.15-18
    • /
    • 1996
  • Twenty different kinds of roasted and ground coffees, 9 domestic and 11 foreign coffee products, were analyzed using a headspace gas chromatographic technique. Among many aroma compounds, acetaldehyde, acetone, carbon disulfide, isobutylaldehyde, 2-methylfuran, 2-methylbutanol and isovaleraldehyde were mainly analyzed for aroma pattern. Roasting color was determined by Photovolt colorimeter. The average roasting color of the foreign coffee was 54 and 47 for domestic coffee. It means that color of the domestic coffee was darker than that of the foreign coffee. The correlation of coefficient between roasting color and 2-methylfuran was 0.712.

  • PDF

The Taste Compounds in Commercial Toha-jeot (시판 토화젓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 이응호;이정석;주동식;박중제;김희경;장석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2
    • /
    • pp.325-330
    • /
    • 1996
  • 전남지방의 전통 수산발효식품인 토하젓의 인지도 향상 및 국가경쟁력을 갖춘 지역특산품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써,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얻기위하여 숙성기간이 다른 시판 토하젓을 구입하여 정미성분을 분석.검토하였다. 저온(5$\pm$2$^{\circ}C$)에서 90일간숙성시킨 토하젓의 전체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건물당 1873.0mg/100g)보다 2배이상 많았다. 한편 숙성된 토하젓의 주요 유리아미노산(719.4mg/100g) 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한편 숙성된 토하젓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valine 및 phenylalanine으로 전체 유리아미노산에 대해 58.6%를 차지하였다. 핵산 관련물질은 담금 직후 및 숙성된 토하젓 모두 hypoxanthine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AMP 및 IMP순이였다. 그리고 숙성된 토하젓은 담금 직후의 토하젓과 비교해서 AMP 및 IMP는 적었으나, hypoxanthine의 함량은 많았다. 불휘발성 유기산을 GC분석한 결과, 담금 직후 및 숙성된 제품 모두에 lactic acid가 가장 많아 각각 건물당 389.3mg/100g 및 752.3mg/100g이였고, succinic acid는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90일간 숙성된 TMAO, betaine 및 total creatinine 함량은 건물량 기준으로 각각 63.6mg/100g, 179.1mg/100g 및 123.7mg/100g이었다. Omission test를 이용하여 각정미성분을 관능검사한 결과, 유리아미노산 및 불휘발성 유기산이 토하젓의 맛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핵산 관련물질은 그다지 맛에 대한 기여도가 높지 않았다. 따라서 시판 토하젓의 맛에는 유리 아미노산 및 불휘발성 유기산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핵산 관련물질이나 TMAO, betaine 및 total creatinine은 보조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