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말뭉치 자동 구축

Search Result 12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emi-Automatic Tree Annotating Workbench Using Neural-Networks (신경망을 이용한 반자동 구문분석 말뭉치 구축도구)

  • 임준호;곽용재;박소영;임해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483-485
    • /
    • 2003
  • 구문분석 말뭉치는 통계적 구문분석 분야의 필수적인 항목으로 많은 유용성을 가지지만, 말뭉치를 구축할 때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구축자의 수작업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량의 신뢰도 있는 구문분석 말뭉치를 구축하기 위해 신경망을 사용하는 반자동 구문 분석 말뭉치 구축도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발된 도구는 구문패턴 추골, 신경망 학습, 반자동 구축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구문패턴 추출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정의한 자질집합을 사용하여 기존에 구축된 말뭉치에서 구문패턴들을 추출하고, 신경망 학습의 단계에서는 추출된 구문패턴들을 사용하여 신경망을 학습한다. 그리고, 반자동 구축 단계에서는 학습된 신경망을 사용하여 반자동으로 구문분석 말뭉치를 구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다양한 자질집합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학습을 사용하기 때문에 학습 집합에 나타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소량의 구문분석 말뭉치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약 42.5%의 수작업 횟수 감소율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Research about SMT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Automatic Corpus Expansion (말뭉치 자동 확장을 통한 SMT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

  • Choi, Gyu-Hyun;Shin, Jong-Hun;Kim, Young-Kil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296-299
    • /
    • 2016
  • 현재 자동번역에는 통계적 방법에 속하는 통계기반 자동번역 시스템(SMT)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학습 데이터로 사용되는 대용량의 병렬 말뭉치를 수동으로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계기반 자동번역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다른 언어쌍의 말뭉치와 SMT 자동번역 기술을 이용하여 대상이 되는 언어쌍의 SMT 병렬 말뭉치를 자동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서로 다른언어 B와 C의 병렬 말뭉치를 얻기 위해, A와 B의 SMT 자동번역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존의 A-C 말뭉치의 A를 SMT를 통해 B로 번역하여 B와 C의 말뭉치를 자동으로 확장한다. 실험을 통해 확장한 병렬 말뭉치가 통계기반 자동번역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다.

  • PDF

Research about SMT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Automatic Corpus Expansion (말뭉치 자동 확장을 통한 SMT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

  • Choi, Gyu-Hyun;Shin, Jong-Hun;Kim, Young-K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296-299
    • /
    • 2016
  • 현재 자동번역에는 통계적 방법에 속하는 통계기반 자동번역 시스템(SMT)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학습 데이터로 사용되는 대용량의 병렬 말뭉치를 수동으로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계기반 자동번역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다른 언어쌍의 말뭉치와 SMT 자동번역 기술을 이용하여 대상이 되는 언어쌍의 SMT 병렬 말뭉치를 자동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서로 다른 언어 B와 C의 병렬 말뭉치를 얻기 위해, A와 B의 SMT 자동번역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존의 A-C 말뭉치의 A를 SMT를 통해 B로 번역하여 B와 C의 말뭉치를 자동으로 확장한다. 실험을 통해 확장한 병렬 말뭉치가 통계기반 자동번역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다.

  • PDF

The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POS Tagged Corpus based on Morpheme Ready Made Dictionary and RDBMS (형태소 기분석 사전과 DBMS를 이장한 형태소 분석 말뭉치 구축의 한 방법)

  • Cho, Jin-Hyun;Kang, Beom-M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33-40
    • /
    • 2001
  • 본 논문은 1999년도에 구축된 '150만 세종 형태소 분석 말뭉치'를 바탕으로 형태소 기분석 사전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후처리의 수작업을 고려한 반자동 태거를 구축하는 방법론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분석말뭉치 구축에 있어 기존 자동 태거에 의한 자동 태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미 구축된 형태분석 말뭉치를 이용해 후처리 작업이 보다 용이한 1차 가공말뭉치를 구축하는 반자동 태거의 개발과 그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논의에 따라 분석 말뭉치의 구축을 위한 태거는 일반적인 언어 처리를 위한 태거와는 다르다는 점을 주장하였고, 태거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태깅 방식보다는 수작업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태깅 방식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반자동 태거는 전체적인 태깅 성공률과 정확도가 기존의 태거에 비해 떨어지지만 정확한 단일 분석 결과를 텍스트의 장르에 따른 편차 없이 50% 이상으로 산출하고, 해결이 어려운 어절 유형에 대해서 완전히 작업자의 판단에 맡김으로써 오류의 가능성을 줄인다. 또한 분석 어절에 대해 여러 표지를 부착함으로써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후처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Named Entity and Event Annotation Tool for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Corpus Construction (문화유산정보 말뭉치 구축을 위한 개체명 및 이벤트 부착 도구)

  • Choi, Ji-Ye;Kim, Myung-Keun;Park, So-Y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9
    • /
    • pp.29-38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amed entity and event annotation tool for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corpus construction. Focusing on time, location, person, and event suitable for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management, the annotator writes the named entities and events with the proposed tool. In order to easily annotate the named entities and the events, the proposed tool automatically annot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line number or the word number, and shows the corresponding string, formatted as both bold and italic, in the raw text.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costs of the manual annotation, the proposed tool utilizes the patterns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named entities. Considering the very little training corpus, the proposed tool extracts simple rule patterns. To avoid error propagation, the proposed patterns are extracted from the raw text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ool reduces more than half of the manual annotation costs.

Semi-automatic Expansion for a Chatting Corpus Based on Similarity Measure Using Utterance Embedding by CNN (합성곱 신경망에 의한 발화 임베딩을 사용한 유사도 측정 기반의 채팅 말뭉치 반자동 확장 방법)

  • An, Jaehyun;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95-100
    • /
    • 2018
  • 채팅 시스템을 잘 만들기 위해서는 양질, 대량의 채팅 말뭉치가 굉장히 중요하지만 구축 시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화 자막, 극대본과 같이 대량의 발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채팅 말뭉치를 반자동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채팅 말뭉치 확장을 위해 미리 구축된 채팅 말뭉치와 유사도 기법을 이용하여 채팅 유사도를 구하고, 채팅 유사도가 실험을 통해 얻은 임계값보다 크다면 올바른 채팅쌍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길이가 매우 짧은 채팅성 발화의 채팅 유사도를 효과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것은 형태소 단위 임베딩 벡터와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발화 단위 표상을 생성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기본 발화 단위 표상 생성 방법인 TF를 이용하는 것보다 정확률, 재현율, F1에서 각각 5.16%p, 6.09%p, 5.73%p 상승하여 61.28%, 53.19%, 56.94%의 성능을 가지는 채팅 말뭉치 반자동 구축 모델을 생성할 수 있었다.

  • PDF

구문패턴을 이용한 반자동 구문분석 말뭉치 구축도구

  • Im, Jun-Ho;Park, So-Yeong;Gwak, Yong-Jae;Im, Hae-Chang;Kim, Ui-Su;Gang, Beom-M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2.10e
    • /
    • pp.343-35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구문패턴을 이용한 반자동 구문분석 말뭉치 구축도구를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구문분석 말뭉치를 구축하는 작업은 문법전문가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구문분석 말뭉치를 구축할 때 수작업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정의하는 자질집합과 신뢰도를 바탕으로 구문패턴을 자동 추출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소량의 말뭉치에서 실험한 결과, 구문패턴의 사용은 30%정도의 수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mproving Query Translation by Extracting Parallel Sentences from Wikipedia for Cross-Language Information Retrieval (위키피디아로부터의 자동 병렬 문장 추출 기법을 이용한 영어-한국어 교차언어 정보검색의 번역 성능 개선)

  • Cheon, Juryong;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35-40
    • /
    • 2015
  • 본 논문은 영어-한국어 교차언어 정보검색의 질의어 번역에 대한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되는 병렬 말뭉치의 품질 향상을 위해서, 위키피디아의 비교 말뭉치로부터 자동으로 병렬 문장을 추출하여 활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에서 질의어 번역을 위해 위키피디아의 이중 어휘 사전 및 동의어, 다의어 정보를 구축하고, 기 기축된 병렬 말뭉치와 함께 활용하여 여러 의미를 가진 번역 후보 단어들 중, 최적의 단어를 선택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활용되는 병렬 말뭉치는 질의어 번역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이다. 하지만, 기 구축된 병렬 말뭉치는 양이 적거나, 특정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위키피디아로부터 자동 병렬 문장 추출 기법을 이용, 대량의 영어-한국어 간 병렬 말뭉치를 구축하고, 이를 교차언어 정보검색을 위한 질의어 번역에 적용하여 개선을 보인다. 실험의 성능 비교를 위해서 NTCIR-5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기 구축된 세종 병렬 말뭉치를 활용한 질의어 번역의 성능이 MAP 31.5%, R-P 33.0%에서, 새롭게 구축한 위키피디아 병렬 말뭉치를 활용한 질의어 번역의 성능이 MAP 34.6%, R-P 34.6%로, 각각 MAP 3.1%와 R-P 1.6%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Internet English Newspaper Article Extraction Tool for English Corpus Construction (영어 말뭉치 구축을 위한 인터넷 영어 신문기사 추출 도구)

  • Kim, Sung-Dong;Eum, Jae-Young;Song, Chulm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2.10a
    • /
    • pp.154-156
    • /
    • 2012
  • 영한 기계번역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사전이 필요하고, 다앙한 모호성 해소를 위한 연구를 위한 데이터가 필요하며, 번역 시스템의 테스트를 위해 많은 영어 문장이 필요하다. 따라서 영어 말뭉치를 구축하여 이로부터 사전에 필요한 정보, 모호성 해소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 번역 테스트를 위한 문장 등을 추출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 말뭉치를 구축하기 위해 인터넷 영어 신문 사이트로부터 영어로 작성된 신문기사를 추출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자동적으로 영어 신문기사를 추출하여 말뭉치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한 기계번역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지원할 수 있다.

  • PDF

A Semi-automatic Annotation Tool based on Named Entity Dictionary (개체명 사전 기반의 반자동 말뭉치 구축 도구)

  • Noh, Kyung-Mok;Kim, Chang-Hyun;Cheon, Min-Ah;Park, Ho-Min;Yoon, Ho;Kim, Jae-Kyun;Kim, Jae-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309-313
    • /
    • 2017
  • 개체명은 인명, 지명, 조직명 등 문서 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질의응답, 요약, 기계번역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개체명 인식은 문서에서 개체명에 해당하는 단어를 찾아 개체명 범주를 부착하는 작업을 말한다. 개체명 인식 연구에는 개체명 범주가 부착된 개체명 말뭉치를 사용한다. 개체명의 범주는 연구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므로 연구 분야에 적합한 개체명 말뭉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런 말뭉치를 구축하는 일은 시간과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체명 사전 기반의 반자동 말뭉치 구축 도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도구는 크게 전처리, 사용자 태깅, 후처리 단계로 나뉜다. 전처리 단계는 자동으로 개체명을 찾는 단계이다. 약 11만 개의 개체명을 기반으로 하여 트라이(trie) 구조의 개체명 사전을 구축한 후 사전을 이용하여 개체명을 자동으로 찾는다. 사용자 태깅 단계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체명을 태깅하는 단계이다. 전처리 단계에서 찾은 개체명 중 오류가 있는 개체명들은 수정하거나 삭제하고, 찾지 못한 개체명들은 사용자가 추가로 태깅하는 단계이다. 후처리 단계는 태깅한 결과로부터 사전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이다. 제안한 말뭉치 구축 도구를 이용하여 752개의 뉴스 기사에 대해 개체명을 태깅한 결과 7,620개의 개체명이 사전에 추가되었다. 제안한 도구를 사용한 결과 사용하지 않았을 때 비해 약 57.6% 정도 태깅 횟수가 감소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