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말도

Search Result 11,18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Management of Critical Control Points to Improve Microbiological Quality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Prepared by Restaurant Operations (외식업체에서 제공하는 잠재적 위험 식품의 미생물적 품질향상을 위한 중점관리점 관리방안)

  • Chun, Hae-Yeon;Choi, Jung-Hwa;Kwak, Tong-Kyung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30 no.6
    • /
    • pp.774-78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management guidelines for critical control points by analyzing microbiological hazardous elements through screening Potentially Hazardous Foods (PHF) menus in an effort improv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prepared by restaurant operations. Steamed spinach with seasoning left at room temperature presents a range of risk temperatures which microorganisms could flourish, and it exceeded all microbiological safety limits in our study. On the other hand, steamed spinach with seasoning stored in a refrigerator had Aerobic Plate Counts of $2.86{\pm}0.5{\log}\;CFU/g$ and all other microbiological tests showed that their levels were below the limit. The standard plate counts of raw materials of lettuce and tomato were $4.66{\pm}0.4{\log}\;CFU/g$ and $3.08{\pm}0.4{\log}\;CFU/g$, respectively. Upon washing, the standard plate counts were $3.12{\pm}0.6{\log}\;CFU/g$ and $2.10{\pm}0.3{\log}\;CFU/g$, respectively, but upon washing after chlorination, those were $2.23{\pm}0.3{\log}\;CFU/g$ and $0.72{\pm}0.7{\log}\;CFU/g$, respectively. The standard plate counts of baby greens, radicchio and leek were $6.02{\pm}0.5{\log}\;CFU/g$, $5.76{\pm}0.1{\log}\;CFU/g$ and $6.83{\pm}0.5{\log}\;CFU/g$, respectively. After 5 minutes of chlorination, the standard plate counts were $4.10{\pm}0.6{\log}\;CFU/g$, $5.14{\pm}0.1{\log}\;CFU/g$ and $5.30{\pm}0.3{\log}\;CFU/g$, respectively. After 10 minutes of chlorination treatment, the standard plate counts were $2.58{\pm}0.3{\log}\;CFU/g$, $4.27{\pm}0.6{\log}\;CFU/g$, and $4.18{\pm}0.5{\log}\;CFU/g$, respectively. The microbial levels decreased as the time of chlorination increased. This study showed that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was improved with the proper practices of time-temperature control, sanitization control, seasoning control, and personal and surface sanitization control. It also presents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control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at the critical control points in the process of restaurant operations.

Role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Nurse-Educators (미래 간호교육자의 역할과 이를 위한 준비)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39-49
    • /
    • 1981
  • 기존 간호 영역 내 간호는 질적으로,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 확대되어 가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건강관리체계가 부적절하게 분배되어 있으며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건강관리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어 수준 높은 양질의 건강관리를 전체적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혹 건강관리의 혜택을 받는다고 해도 이들 역시 보다 더 양질의 인간적인 간호를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호는 또한 간호영역 자체 내에서도 급격히 확대되어가고 있다. 예를들면, 미국같은 선진국가의 건강간호사(Nurse practitioner)는 간호전문직의 새로운 직종으로 건강관리체계에서 독자적인 실무자로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의사의 심한 부족난으로 고심하는 발전도상에 있는 나라들에서는 간호원들에게 전통적인 간호기능 뿐 아니라 건강관리체계에서 보다 많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하며 일선지방의 건강센터(Health center) 직종에 많은 간호원을 투입하고 있다. 가령 우리 한국정부에서 최근에 시도한 무의촌지역에서 졸업간호원들이 건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법적 조치는 이러한 구체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존 간호영역내외의 이런 급격한 변화는 Melvin Toffler가 말한 대로 ''미래의 충격''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역동적인 변화는 간호전문직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을 던져준다. 첫째,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이러한 새로운 영역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길러내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셋째 내일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등이다. 1.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미래의 간호원은 다음에 열거하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지금까지의 것과는 판이한 환경에서 일하게 될 것이다. 1)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컴퓨터화되고 자동화된 기계 및 기구 등 새로운 기술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2) 1차건강관리가 대부분 간호원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3) 내일의 건강관리는 소비자 주축의 것이 될 것이다. 4) 간호영역내에 많은 새로운 전문분야들이 생길 것이다. 5) 미래의 건강관리체계는 사회적인 변화와 이의 요구에 더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될 것이다. 6) 건강관리체계의 강조점이 의료진료에서 건강관리로 바뀔 것이다. 7) 건강관리체계에서의 간호원의 역할은 의료적인 진단과 치료계획의 기능에서 크게 탈피하여 병원내외에서 보다 더 독특한 실무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미래 간호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미래 간호원들은 지금까지의 간호원보다 더 광범위하고 깊은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보다 발전된 기술환경에서 전인적인 접근을 하기위해 신체과학이나 의학뿐 아니라 행동과학 $\cdot$ 경영과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훈련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동양상면에서 전문직인 답게 보다 진취적이고 표현적이며 자동적이고 응용과학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훈련을 받아야 한다. 그리하여 간호원은 효과적인 의사결정자$\cdot$문제해결자$\cdot$능숙한 실무자일 뿐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요구를 예리하게 관찰하고 이 요구에 효과적인 존재를 발전시켜 나가는 연구자가 되어야 한다. 2. 미래의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간호교육은 전문직으로서의 실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석이다. 이는 간호교육자야말로 미래사회에서 국민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는 능력있는 간호원을 공급하는 일에 전무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그러면 이러한 일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선 간호교육자는 두가지 측면에서 이 일을 수정해야 된다고 본다. 그 하나는 간호교육기관에서의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엣서이다. 우선 간호교육기관에서 간호교육자는 1)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교육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2) 효과적인 교과과정의 발전과 수정보완을 계속적으로 진행시켜야 한다. 3) 잘된 교과과정에 따라 적절한 훈련을 철저히 시켜야 한다. 4) 간호교육자 자신이 미래의 예측된 현상을 오늘의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는 자신감과 창의력을 가지고 모델이 되어야 한다. 5) 연구 및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사결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도록 해야한다.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교육자 자신들이 능력있고 신빙성있으며 간호의 이론$\cdot$실무$\cdot$연구면에 걸친 권위와 자동성$\cdot$독창성, 그리고 인간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는 자질을 갖추도록 계속 노력해야 한다. 3. 미래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내일의 도전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을 논함에 있어 우리나라의 실정을 참조하겠다. 전문직 간호교육자를 준비하는데 세가지 방법을 통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간호원 훈련수준을 전문직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단계로 면허를 높이는 것이고, 둘째는 훈련수준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사 및 석사간호교육과정을 발전시키고 확대하는 것이며, 셋째는 현존하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첫째와 둘째방법은 정부의 관할이 직접 개입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고 현존하는 교과과정을 발전시키고 그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미래의 여러가지 도전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자를 준비시키는 교육과정의 발전을 두가지 면에서 추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첫째는 국제간의 교류를 통하여 idea 및 경험을 나눔으로서 교육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서로 다른 나라의 간호교육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생각과 경험을 교환하고 연구하므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발전체인(chain)이 형성되는 것이다. ICN같은 국제적인 조직에 의해 이러한 모임을 시도하는 것인 가치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국가간 또는 국제적인 간호교육자 훈련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환은 한 나라안에서 그 idea를 확산시키는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충분한 간호교육전문가를 갖춘 간호교육기관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렇지 못한 기관과의 연차적인 conference를 가지므로 확산시킬 수도 있으며 이런 방법은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나라 그 문화상황에 적합한 교과과정 개발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는 둘째전략은 현존간호교육자들이 간호이론과 실무$\cdot$연구를 통합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당면하는 여러가지 요인-전인적인 간호에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지 못하고 임상실무경험의 부족등-을 보충하는 방법이다. 이런 실제적인 문제를 잠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1) 몇몇 대학에서 방학중에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직 간호교육자들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도록 한다. 따라서 임상실무교육도 이때 실시할 수 있다. 2) 대학원과정 간호교육프로그램의 입학자의 자격에 2$\~$3년의 실무경험을 포함시키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교수와 학생간의 진정한 동반자관계는 자격을 구비한 능력있는 교수의 실천적인 모델을 통하여서 가능하게 이루어 질수 있다고 믿는 바이다.

  • PDF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A Study of the Reactive Movement Synchronization for Analysis of Group Flow (그룹 몰입도 판단을 위한 움직임 동기화 연구)

  • Ryu, Joon Mo;Park, Seung-Bo;Kim, Jae Kyeo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9 no.1
    • /
    • pp.79-94
    • /
    • 2013
  • Recently, the high value added business is steadily growing in the culture and art area. To generated high value from a performance, the satisfaction of audience is necessary. The flow in a critical factor for satisfaction, and it should be induced from audience and measures. To evaluate interest and emotion of audience on contents, producers or investors need a kind of index for the measurement of the flow. But it is neither easy to define the flow quantitatively, nor to collect audience's reaction immediately. The previous studies of the group flow were evaluated by the sum of the average value of each person's reaction. The flow or "good feeling" from each audience was extracted from his face, especially, the change of his (or her) expression and body movement. But it was not easy to handle the large amount of real-time data from each sensor signals. And also it was difficult to set experimental devices, in terms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Because, all participants should have their own personal sensor to check their physical signal. Also each camera should be located in front of their head to catch their looks. Therefore we need more simple system to analyze group flow. This study provides the method for measurement of audiences flow with group synchronization at same time and place. To measure the synchronization, we made real-time processing system using the Differential Image and Group Emotion Analysis (GEA) system. Differential Image was obtained from camera and by the previous frame was subtracted from present frame. So the movement variation on audience's reaction was obtained. And then we developed a program, GEX(Group Emotion Analysis), for flow judgment model. After the measurement of the audience's reaction, the synchronization is divided as Dynamic State Synchronization and Static State Synchronization. The Dynamic State Synchronization accompanies audience's active reaction, while the Static State Synchronization means to movement of audience. The Dynamic State Synchronization can be caused by the audience's surprise action such as scary, creepy or reversal scene. And the Static State Synchronization was triggered by impressed or sad scene. Therefore we showed them several short movies containing various scenes mentioned previously. And these kind of scenes made them sad, clap, and creepy, etc. To check the movement of audience, we defined the critical point, ${\alpha}$and ${\beta}$. Dynamic State Synchronization was meaningful when the movement value was over critical point ${\beta}$, while Static State Synchronization was effective under critical point ${\alpha}$. ${\beta}$ is made by audience' clapping movement of 10 teams in stead of using average number of movement. After checking the reactive movement of audience, the percentage(%) ratio was calculated from the division of "people having reaction" by "total people". Total 37 teams were made in "2012 Seoul DMC Culture Open" and they involved the experiments. First, they followed induction to clap by staff. Second, basic scene for neutralize emotion of audience. Third, flow scene was displayed to audience. Forth, the reversal scene was introduced. And then 24 teams of them were provided with amuse and creepy scenes. And the other 10 teams were exposed with the sad scene. There were clapping and laughing action of audience on the amuse scene with shaking their head or hid with closing eyes. And also the sad or touching scene made them silent. If the results were over about 80%, the group could be judged as the synchronization and the flow were achieved. As a result, the audience showed similar reactions about similar stimulation at same time and place. Once we get an additional normalization and experiment, we can obtain find the flow factor through the synchronization on a much bigger group and this should be useful for planning contents.

Growth and Survival by the Breeding Method of Early Young Spat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초기치패의 사육방법별 성장 및 생존)

  • Kim, Byeong-Hak;Cho, Kee-Chae;Jee, Young-Ju;Byun, Soon-Gyu;Kim, Min-Chul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27 no.2
    • /
    • pp.115-119
    • /
    • 2011
  • To establish technical development for artificial seed production, growth and survival for early young spat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were investigated by breeding methods. Adult clams were collected at Hasa-ri, Baeksu-eup, Yeonggwang-gun, Jeollanam-do on July 13, 2010, and then transported to the indoor aquarium at the laboratory. Eggs which were taken from mother clams, were inseminated, and after they were fertilized in the aquarium, 60 million bottom-clinging spats ($198{\pm}12{\mu}m$ in shell length) were produced and bred. The breed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rom July 16 to October 4, 2010 for 80 days. The methods of sand box, sand bottom circulation filter, inclosing net, floor were used for the breeding experiments, and the experimental condition of sea water temperature for larvae were at 25, 28, 31, $34^{\circ}C$. Four marine cultured food organisms were used for this study as follows: Isochrysis galbana, Chaetoceros gracilis, Phaeodactylum tricornutum, Tetraselmis tetrathel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experimental groups of the spats in the early stage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rate and the survival. As the result, the method of the inclosing net section was the fastest (grew up to $2.64{\pm}0.59{\mu}m$ in shell length), followed by sandbox ($2.59{\pm}0.64{\mu}m$, bottom circulating filter ($2.56{\pm}0.52{\mu}m$), and floor ($2.52{\pm}0.56{\mu}m$). The survival was the highest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of sandbox (35.9%), followed by floor (34.6%), bottom circulating filter (29.5%), and inclosing net (9.3%). Eexperimental condition of water temperature of $34^{\circ}C$ showed the fastest growth rate (grew up to $2.70{\pm}0.76{\mu}m$ in shell length), and showed the latest growth rate (grew up to $2.45{\pm}0.41{\mu}m$ in shell length) at $25^{\circ}C$. The survival (%) was the highest under the water temperature conditions at $31^{\circ}C$, and showed the lowest (14.2%) at $34.^{\circ}C$. The growth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fed the mixture live food was the fastest with shell length $2.52{\pm}0.66{\mu}m$, and that of experimental group fed P. tricornutum showed the latest (grew up to $2.29{\pm}0.43{\mu}m$ in shell length). The survival was the highest (36.9%) under the experiment condition fed mixture live food and experimental group fed T. tetrathele showed the lowest rate (16.2%).

Simultaneous Production System of Silkworm Dongchunghacho and Male Pupae Using Both Parent Sex-limited Larval Marking Variety (한성반문잠품종을 이용한 누에동충하초 및 숫번데기의 동시 생산체계)

  • Ji, Sang-Duk;Kim, Nam-Suk;Kang, Pil-Don;Sung, Gyoo-Byung;Hong, In-Pyo;Ryu, Kang Sun;Kim, Young-Ki;Nam, Sung-Hee;Kim, Mi-Ja;Kim, Kee-Young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50 no.2
    • /
    • pp.101-108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ass production of male pupae and sex-limited larval marking variety as a host for synnemata production of Isaria tenupes in RDA(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ilkworm pupation, infection rate and synnemate formation of I.tenuipes were examined. Among the silkworm varieties tested, male Hansaengjam showed the highest pupation rate at 98.7%. I. tenuipes infection rate of larvae of newly-exuviated 5th instar silkworm was 83.7 ~ 90.4% in the spring rearing season and 91.7 ~ 96.6% in the autumn rearing season. Synnemata production of I. tenuipes was execellent in female Yangwonjam with an incidence rate of 99.5% followed by male Yangwonjam(99.5%) and Baegokjam(99.4%) in the spring and autumn rearing season. Synnemata living weight ranged from 0.93 ~ 1.25 g in the spring rearing season. The female Hansaengjam had the heaviest synnemata weight(1.25 g). Synnemata dry weight ranged from 0.27 ~ 0.35 g in the spring rearing season. The female Yangwonjam had the heaviest synnemata weight(0.35 g).

Spawning Patterns of Three Bitterling Fishes (Pisces: Acheilognathinae) in Relation to the Shell Size of Host Mussels (Unio douglasiae sinuolatus) (납자루아과(Pisces: Acheilognathinae) 담수어류 3종의 숙주조개(작은말조개; Unio douglasiae sinuolatus) 크기에 대한 산란양상)

  • Choi, Hee-kyu;Lee, Hyuk J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3 no.2
    • /
    • pp.202-215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pawning preference of the Acheilognathinae fishes in relation to the shell size of host mussels after identifying the species of eggs and fries in the host mussel using our recently developed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olecular marker at four sites [Hongcheon Naechoncheon (HN) and Deokchicheon (HD) from the North Han River basin and Jeongseon Goljicheon (JG) and Joyanggang (JJ) from the South Han River] in South Korea during May in each year between 2015 and 2018. The Acheilognathinae fish observed in the studied sites included one species (Acheilognathus signifer) in HN and JG, three species (Rhodeus uyekii, A. signifer, and Acheilognathus yamatsutae) in HD, and two species (A. signifer and Acheilognathus yamatsutae) in JJ, and we collected 982 host mussels (Unio douglasiae sinuolatus) that inhabited in all four sites. Using the RFLP molecular marker, we confirmed 46 eggs and fry of the Acheilognathinae fish (454 A. signifer, 43 Acheilognathus yamatsutae, and 149 Acheilognathus yamatsutae) in Unio douglasiae sinuolatus (N=163; 16.6%). We compare the average shell length, shell height, and shell width of mussels with [presence] eggs/fry and mussels without [absence] eggs/fry to examine the spawning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host mussels in each site. The results show that the shell length (1.98 mm), shell height (0.85 mm), and shell width (0.73 mm) of mussels with the eggs/fry were significantly larger (Mann-Whitney U test, P=0.002; difference=1.98 mm) than those of mussel without eggs/fry in HD where three species cohabitated. Although the shell length, shell height, and shell width of mussels with the eggs/fry were larger also in the other three sites,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we analyzed the mean number of spawned eggs and fry of each species and found $9.31{\pm}5.94$ R. uyekii, $2.86{\pm}2.45$ A.signifer, and $2.50{\pm}1.32$ A. yamatsutae. R. uyekii spawned 6.45-6.81 more eggs than A.signifer and A. yamatsutae on average per mussel,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Kruskal-Wallis test, P < 0.001).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hree species of Acheilognathinae fish tend to prefer larger mussels as their spawning hosts, and this tendency increases when the number of cohabitating bitterling fish species increases. Moreover, A.signifer and A. yamatsutae spawned a smaller number of eggs evenly in more host mussels while R. uyekii spawned many eggs on relatively fewer mussels. We found mussels (N=4) having the eggs/fry of two coexisting species, A. signifier and A. yamatsutae in HD and JJ where more than two bitterling fish species occurred. It suggests the interspecific competition taking place between the Acheilognathinae fishes for utilizing the same resource of mussels for spawning when two or more species cohabitate. This study is expected help to understand better the spawning patterns and reproductive ecology of the Acheilognathinae fishes, which will provide insightful information for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ir ecological relationships - mutualism or host-parasitism - with host mussels.

A Study on ChoSonT'ongPaeJiIn (조선통폐지인(朝鮮通幣之印) 연구)

  • Moon, Sangle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2 no.2
    • /
    • pp.220-239
    • /
    • 2019
  •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ency (國幣) article in 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the ChoSonT'ongPaeJiIn (朝鮮通幣之印) was a seal that was imprinted on both ends of a piece of hemp fabric (布). It was used for the circulation of hemp fabric as a fabric currency (布幣). The issued fabric currency was used as a currency for trade or as pecuniary means to have one's crime exempted or replace one's labor duty. The ChoSonT'ongPaeJiIn would be imprinted on a piece of hemp fabric (布) to collect one-twentieth of tax. The ChoSonT'ongPaeJiIn (朝鮮通幣之印) was one of the historical currencies and seal materials used during the early Chosun dynasty. Its imprint was a means of collecting taxes; hence, it was one of the taxation research materials. Despite its value, however, there has been no active research undertaken on it. Thus, the investigator conducted comprehensive research on it based on related content found in JeonRokTongGo (典錄通考), Dae'JeonHu-Sok'Rok (大典後續錄), JeongHeonSwaeRok (貞軒?錄) and other geography books (地理志) as well as the materials mentioned by researchers in previous studies. The investigator demonstrated that the ChoSonT'ongPaeJiI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concept of circulating Choson fabric notes (朝鮮布貨) with a seal on ChongOseungp'o (正五升布) in entreaty documents submitted in 1401 and that the fabric currency (布幣) with the imprint of the ChoSonT'ongPaeJiIn was used as a currency for trade, pecuniary or taxation means of having one's crime exempted, or replacing one's labor, and as a tool of revenue from ships. The use of ChoSonT'ongPaeJiIn continued even after a ban on fabric currencies (布幣) in March 1516 due to a policy on the "use of Joehwa (paper notes)" in 1515. It was still used as an official seal on local official documents in 1598.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英祖), it was used to make a military service (軍布) hemp fabric. Some records of 1779 indicate that it was used as a means of taxation for international trade. It is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330 ChoSonT'ongPaeJiIn were in circulation based on records in JeongHeonSwaeRok (貞軒?錄). Although there was the imprint of ChoSonT'ongPaeJiIn in An Inquiry on Choson Currency (朝鮮貨幣考) published in 1940, there had been no fabric currencies (布幣) with its imprint on them or genuine cases of the seal. It was recently found among the artifacts of Wongaksa Temple. The seal imprint was also found on historical manuscripts produced at the Jikjisa Temple in 1775. The investigator compared the seal imprints found on the historical manuscripts of the Jikjisa Temple, attached to TapJwaJongJeonGji (塔左從政志), and published in An Inquiry on Choson Currency with the ChoSonT'ongPaeJiIn housed at the Wongaksa Temple. It was found that these seal imprints were the same shape as the one at Wongaksa Temple. In addition, their overall form was the same as the one depicted in Daerokji (大麓誌) and LiJaeNanGo (?齋亂藁).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ChoSonT'ongPaeJiIn at Wongaksa Temple was a seal made in the 15th century and is, therefore, an important artifact in the study of Choson's currency history, taxation, and seals. There is a need for future research examining its various aspects.

A Study on the Changes in Gwi-po from Tang to Jin Dynasty in China - Focusing on the connection type of Jwau-dae(左右隊) - (중국 당대~금대 목조 건축의 귀포 변천에 관한 연구 - 좌우대의 결구 유형을 중심으로 -)

  • Lee, Byung-Chun;Lee, Ho-Yeol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8 no.3
    • /
    • pp.96-119
    • /
    • 2015
  • This research has studied the changes of Gwi-po(轉角包) by taking the cases of China's medieval wooden buildings as objec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time-periodic transition process of Gwi-po through the cases of 71 wooden buildings which were built from Tang(唐) dynasty(AD 618~690 & 705~907) until Jin(金) dynasty(AD 1115~1234) and also designated as 'Major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Protected at the National Level'. This research has taken note of various frame types of Jwau-dae(左右隊), which are architectural components of Gwi-po, to study the changes and development process of Gwi-po. The results are as follows. An important factor in the transformations of Gwi-po format is the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craftsmen about Jwau-dae, who took charge in the building process. In the early periods, the principles of Yidou sanshen dougong(一斗三升) in constructing ancons of Gwi-po had been well-maintained, while there appeared many different types of Gwi-po in later periods, due to the usage of Jwau-dae and $Shu{\check{a}}$ $t{\acute{o}}u$(?頭) in each Chulmok of Gwi-po. Transitional types of Gwi-po, which were evolved from the earlier ones, are divided into 3 categories by different forms of Jwau-dae, placed on odd number stages. The first one is 'none-$f{\bar{a}}ng$ $t{\acute{o}}u$(無枋頭) type' of Song(AD 960~1127, 1127~1279) and Liao dynasty(AD 907~1125) buildings, which doesn't have $f{\bar{a}}ng$ $t{\acute{o}}u$(枋頭)s, for the reason that Jwau-dae(左右隊) is in direct contact with Gwihan-dae(耳限大). The second one is '$Shu{\check{a}}$ $t{\acute{o}}u$ $f{\bar{a}}ng$ $t{\acute{o}}u$(?頭枋頭) type' of Song(AD 960~1127, 1127~1279) and Jin dynasty(AD 1115~1234), that has $f{\bar{a}}ng$ $t{\acute{o}}u$(枋頭)s of Jwau-dae(左右隊) identical to $Shu{\check{a}}$ $t{\acute{o}}u$(?頭) in form. The last one is '$Xi{\check{a}}o$ $g{\check{o}}ng$ $t{\acute{o}}u$(小?頭) type' of Jin(AD 1115~1234) and Yuan dynasty(AD 1271~1368), which has $f{\bar{a}}ng$ $t{\acute{o}}u$(枋頭)s of Jwau-dae identical to $Xi{\check{a}}o$ $g{\check{o}}ng$ $t{\acute{o}}u$(小?頭) in form. The earlier forms of Gwi-po, which appeared between Tang dynasty(AD 618~690 & 705~907) and Five Dynasties periods(907~960) went through transitional forms of 'non-$f{\bar{a}}ng$ $t{\acute{o}}u$(無枋頭) type', '$Shu{\check{a}}$ $t{\acute{o}}u$ $f{\bar{a}}ng$ $t{\acute{o}}u$(?頭枋頭) type' and '$Xi{\check{a}}o$ $g{\check{o}}ng$ $t{\acute{o}}u$(小?頭) type' and finally had its form settled between Yuan(元, AD 1271~1368) and Ming(明. AD 1368~1644) dynasty periods. In Liao(遼) dynasty period(AD 907~1125), as the buildings got bigger and the tendency of longer eave-exposure was implemented, there grew a certain need to structurally reinforce Gwi-po, on which load of the whole roof is concentrated. Especially, the transition from Tōuxīn $z{\grave{a}}o$(偸心造) style to Jì xīn $z{\grave{a}}o$(計心造) style in this period had a great influence on standardization of Gwi-po, along with None-${\acute{A}}ng$(無仰) style. Furthermore, Wing-type Gong(翼型?), which developed in Liao dynasty(AD 907~1125), is also thought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ransition from Tōuxīn $z{\grave{a}}o$(偸心造) style to Jì xīn $z{\grave{a}}o$(計心造) style by changing the forms of Gongs(?), such as Gwi-po. However, unlike None-${\acute{A}}ng$(無仰) style, there occurred a gradual change from '$Shu{\check{a}}$ $t{\acute{o}}u$ $f{\bar{a}}ng$ $t{\acute{o}}u$(?頭枋頭) type' to '$Xi{\check{a}}o$ $g{\check{o}}ng$ $t{\acute{o}}u$(小?頭) type' of Gwi-po in $Xi{\grave{a}}$ ${\acute{a}}ng$ style.

Formative Stages of Establishing Royal Tombs Steles and Kings' Calligraphic Tombstones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능비(陵碑)의 건립과 어필비(御筆碑)의 등장)

  • Hwang, Jung Y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2 no.4
    • /
    • pp.20-49
    • /
    • 2009
  • This paper explores the Korean royal tombs steles such as monumental steles and tombstone marks (神道碑, 表石) that are broadly fallen into the following three periods ; the 15~16th centuries, 17th~18th centuries, and 19th century. As a result, the royal tombs steles were built, unlike the private custom, on the heirs to the King's intentions. During the 15~17th centuries the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monumental steles took place. In the late Joseon period, monumental steles had been replaced with a number of tombstone marks were built to appeal to the king's calligraphy carved on stone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Great Empire Han(大韓帝國) when the Joseon state was upgraded the empire, Emperors Gojong and Sunjong devoted to honor ancestors by rebuilding royal tombstone mark. Based on these periodical trends, it would not be exaggerated that the history of establishing the royal tombs steles formed in late Joseon. The type of royal tombs monuments originated from those of the Three Kingdoms era, a shapeless form, the new stele type of the Tang Dynasty (唐碑) has influenced on the building of monuments of the Unified Silla and Buddhist honorable monuments (塔碑) of the Goryeo Dynasty. From the 15th century, successive kings have wished to express the predecessors's achievements, nevertheless, the officials opposed it because the affairs of the King legacy (國史) were all recorded, so there is no need to establish the tombs steles. Although its lack of quantity, each Heonneung and Jereung monumental steles rebuilt in 1695 and 1744 respectively, is valuable to show the royal sculpture of the late Joseon period. Since the 15th century,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tombs monumental steles has been interrupted, the tombstone marks (boulders) with simpler format began to be erected within the tomb precincts. The Yeoneung tombstone mark(寧陵表石), built in 1682, shows the first magnificent scale and delicate sculpture technique. Many tombstone marks were erected since the 1740s on a large scale, largely caused by King Yeongjo's announce to the honorific business for the predecessors. Thanks to King Yeongjo's such appealing effort, over 20 pieces of tombstone marks were established during his reign. The fact that his handwritten calligraphic works first carved on tombstones was a remarkable phenomenon had never been appeared before. Since the 18th century, a double-slab high above the roof(加?石) and rectangular basement of the stele have been accepted as a typical format of the tombstone marks. In front of the stele, generally seal script calligraphic works after a Tang dynasty calligrapher Li Yangbing(李陽氷)'s brushwork were engraved. In 1897 when King Gojong declared the Empire, these tombstone marks were once again produced in large amounts. Because he tried to find the legitimacy of the Empire in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and its four founding fathers in creating the monuments both of the front and back sides by carving his in-person-calligraphy as a ruler representing his symbolic authority. The tombstone marks made during this period, show an abstract sculpture features with the awkward techniques, and long and slim strokes. As mentioned above, the construction of monumental steles and tombstone marks is a historical and remarkable phenonenon to reveal the royal funeral custom, sculpture techniques, and successive kings' efforts to honor the royal predeces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