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말단교통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Mode Choice Behavior Analysis of Commuter Feeder Passengers to Subway System (통근.통학자의 지하철 연계교통수단 선택행태분석)

  • 정헌영;김정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5
    • /
    • pp.69-82
    • /
    • 2000
  • When new subway lines are considered to construct in a large cit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transfer systems between subway and other transit modes, so as to increase the use of subway system. In this study, a multi-nominal logit model is developed to analyze the travel characteristics and the mode choice of subway Passengers transferring to and from the buses, minibuses and taxi. These passengers represent a large Portion of transit Passengers in Pusan city It shows that the explanatory variables that affect Passengers\` mode choice are in order of OVIT(Out-of-Vehicle Travel Time), IVTT(In-Vehicle Travel Time), transit fare,. income, gender, and age in modeling. In particular, OVTT is shown to have more significant impact on the mode choice than IYTT due to the fact that transfer trip is involved only in a short distanc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travel costs, however, do have an insignificant impact on the mode choice. It shows that it would be a better Policy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nsit service using additional financial resource by increasing transit fare rather than by reducing the fare to increase travel demand. It also shows that value of travel time of OVTT is remarkably higher than that of IVTT and value of travel time of taxi Passenger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minibus Passengers .

  • PDF

A Study on Information System of MarNIS (MarNIS 정보체계에 대한 고찰)

  • Kim, Hye-Jin;Kim, Sun-Young;Lee, Moon-Jin;Hwang, Ho-Ji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05a
    • /
    • pp.121-126
    • /
    • 2007
  • 지난해 국제해사기구 (IMO)의 MSC 는 NAV 및 COMSAR 전문위원회에 E-Navigation 에 대한 전략 개발을 지시하였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선박 운항을 위한 E-navigation 서비스 구현을 위해서 해상 정보와 정보체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범유럽적 차원에서 진행 중인 MarNIS 의 정보체계와 정보 에이전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MarNIS 는 에이전트의 정보 창구로서의 Single Window와 각 시스템 말단에서 데이터 변환기로서의 MarNIS 노드에 의해 범유럽의 해상정보체계를 수립하고 있다. 정보 에이전트들이 계층적으로 구조화되고 통합된 해상 정보체계를 기반으로 각종 해상정보를 종합 분석하여 해상교통 지원 서비스와 해상안전 지원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 PDF

Quantitative Assessment of Nonpoint Source using the Basin Model (유역모형을 이용한 비점오염원의 정량적 평가)

  • Kwon, Heon-Gak;Kim, Dong-Il;Lee, Jea-Woon;Han, Kun-Yeun;Cheon, S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41-141
    • /
    • 2012
  • 비점오염물질은 강우 시 유출되기 때문에 일간, 계절 간 유출량 변화가 대단히 크게 나타나며, 기후, 지형, 토지이용, 토양 등과 지역적인 특성과 유역 형상에 따라 변화되므로 비점오염원 유출량에 대한 정량화를 위해서는 강우지속시간동안 정확한 수질과 유량에 대한 측정 자료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물질에 대해 현장 모니터링 및 현장 실측 관련 기존 연구자료 수집을 통해 중분류 토지피복분류별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또한 특정 유역에 중분류 토지피복 분류별 산정된 원단위를 적용하여 유역기반의 비점오염부하량을 산정 하였다. 대상 유역에 해당하는 하천 말단에서의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유역모형을 구축하고, 강우를 입력 자료로 하여 비점오염 물질별 부하량을 모의 산정하였다. 유역모형으로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을 실제 대상유역에 적용하였고, 이에 따른 모의 결과를 실측치와 비교하여 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이렇게 모의 산정된 부하량은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원단위의 적용에 따른 부하량과 비교 검토하여 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 부하량 산정 시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대상유역은 동천유역으로 병성천의 주요 지류로서 유역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중분류 토지피복 중 공업지역, 교통지역, 과수원재배지, 비닐하우스재배지, 기타재배지에 대해서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이외의 중분류 토지피복에 대한 결과는 수계별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환경기초조사사업 중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 모니터링'사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동천유역의 비점오염원 발생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BOD 부하량은 대지의 경우 391.4 kg/day로서 중분류 군으로 구분한 결과에 비해 높게 산정되었다. T-N, T-P 발생부하량도 토지피복군이 대분류에서 중분류로 변화됨에 따라 부하량의 차이가 발생 하였다. 또한 동천유역에 대해 구축된 HSPF 모형의 적합도를 시기별 4개의 Case로 구분하여 평가해 보았는데 그 결과, 모형 모의치의 실측치에 대한 적합도가 높게 평가 되었다. 현재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조사되고 있는 중분류 토지피복을 조사 기관간의 교차 조사를 통해 지역적 제한성을 낮추고, 중분류에 속하는 세부피복지점을 확대하여 모니터링 지점의 다양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동시에 한시적인 조사가 아닌, 장기간에 걸쳐 연구가 진행 될 경우 원단위에 대한 현재의 불확실성 및 제한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러한 기초 자료 확보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와 노력이 수반될 시 우리나라에 대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원단위가 산정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기틀이 마련되어야 비점오염원에 대한 적절한 유역관리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