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만곡하천

Search Result 18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mprovement of River Revetment in Kangwon (강원도 하천호안공법 개선방안)

  • Park, Sang-Deog;Choi, Han-Kyu;Choi, Jong-In;Choi, Heung-Sik;Hong, J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85-490
    • /
    • 2009
  • 강원도의 약 89%가 산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원지역 주민의 거주지는 대부분 홍수 피해를 강하게 받는 계곡이나 하천변에 잡고 있으며 매년 반복되는 홍수의 피해 위험이 높다. 따라서 홍수 시 생활공간을 보호하기 위한 제방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강원도의 하천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다. 호안공법은 일반적으로 하천의 생태계나 경관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경우가 많은 인공시설물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자연과 어울리는 친자연형 호안공법을 추구한다. 본 연구는 강원도 내 1개 국가하천 6개 지점, 214개 지방하천 2,760개 지점에 대한 하천 호안공법의 종류, 식생상태, 하천특성, 호안파괴 특성 등을 조사하고 하천호안공법 적용 하천특성과 호안공법, 식생 등의 관계를 분석하여 강원도형 호안공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강원도에 설치된 호안공법은 망태형, 붙임형, 블록형, 쌓기형, 옹벽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영동지역은 망태형 25%, 옹벽형 20.1.%, 블록형 18.3%를 차지하고 있으나 영서지역 하천은 쌓기형 32.9%, 망태형 19.2%, 옹벽형 16.6%를 나타내고 있다. 두 지역에서 옹벽이 16%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하천경사가 급하고 만곡 수충부가 많아 홍수 시 구조적인 안정성이 큰 옹벽을 통한 호안보호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옹벽을 제외하면 하천평면이 호안공법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오히려 하천경사나 하천재료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호안파괴의 원인은 홍수 시 하상의 세굴이다. 그러나 옹벽호안은 국부적인 하상세굴에도 콘크리트 구조특성으로 쉽게 파괴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 하류지점에 설치된 돌망태 호안은 하상저하와 보에 의한 유향변동으로 발생된 강한 수충현상에 의해 파괴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호안의 식생 활착은 블록형, 망태형, 쌓기형 호안의 순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망태형이나 쌓기형 호안은 영동지역보다는 영서지역에서 높은 식생 피복도를 나타냈으며, 이는 하천의 경사와 호안의 침수빈도와 관계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블록형 호안은 지역 구분 없이 식생피복도가 높고 하천경사나 재료특성에도 불구하고 강원도의 하천호안공법으로 우수한 기능을 한다. 시급히 식생을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 식생블록형 호안이 추천되며 호안공의 안정성과 식생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망태형 호안공법이 추천된다.

  • PDF

Development of an anisotropic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for velocity in meandering river channel (비등방성을 고려한 사행하천의 유속 공간보간기법 개발)

  • You, Hojun;Kim, Dong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7
    • /
    • pp.455-465
    • /
    • 2017
  • Understanding of the two-dimensional velocity field is crucial in terms of analyzing various hydrodynamic and fluvial processes in the riverine environments. Until recently, many numerical models have played major roles of providing such velocity field instead of in-situ flow measurements, because there were limitations in instruments and methodologies suitable for efficiently measuring in the broad range of river reaches. In the last decades, however, the advent of modernized instrumentations started to revolutionize the flow measurements. Among others,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s (ADCPs) became very promising especially for accurately assessing streamflow discharge, and they are also able to provide the detailed velocity field very efficiently. Thus it became possible to capture the velocity field only with field observations. Since most of ADCPs measurements have been mostly conducted in the cross-sectional lines despite their capabilities, it is still required to apply appropriate interpolation methods to obtain dense velocity field as likely as results from numerical simulations. However, anisotropic nature of the meandering river channel could have brought in the difficulties for applying simple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for handling dynamic flow velocity vector, since the flow direction continuously changes over the curvature of the channel shape. Without considering anisotropic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meandering, therefore, conventional interpolation methods such as IDW and Kriging possibly lead to erroneous results, when they dealt with velocity vectors in the meandering channel. Based on the consecutive ADCP cross-sectional measurements in the meandering river channel. For this purpose, the geographic coordinate with the measured ADCP velocity was converted from the conventional Cartesian coordinate (x, y) to a curvilinear coordinate (s, n). The results from application of A-VI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curacy as much as 41.5% in RMSE.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Using River Morphological Complexity Scenario (하천복잡도 시나리오를 이용한 흐름특성 모의 분석)

  • Lee, Ji-Wan;Jung, In-Kyun;Park, Jong-Yoon;Jung, Chung-Gill;Lee, Mi-Seo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41-141
    • /
    • 2011
  • 생태적 기능이 담보되는 하안의 조성 및 복원은 필연적으로 하안공간에서 물리적 구조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하안공간의 물리적 구조변화는 장기적으로 구간에서의 생태적 기능뿐만 아니라 단기적으로 하천의 수리특성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수리특성변화는 복원구간에서의 생태적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하천복잡도에 따른 수리특성의 변화는 자연형 하천복원에 영향을 주는 변수이므로 이들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하천복잡도 시나리오의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하천유형에 따른 수리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하천복잡도 시나리오는 Rosgen (1994)에 의해 제안된 하천분류방법과 유량크기별 모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모델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안성천유역의 오산천과 진위천으로 하천분류결과 크게 C유형과 E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유형의 수리특성 분석을 위해 C 유형의 구간중 진위천 본류구간과 통삼천의 만곡구간을 선정하여 모형을 구동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인 유한요소망은 하천정비기본계획의 부도를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며 모델의 경계입력자료는 WMS HEC-1의 유출량 결과 자료를 사용하였다. 빈도별 강우량 자료를 Huff의 4분위 법을 적용하여 24시간으로 분포화하여 빈도별, 구간별 유출량 자료를 구축하여 모의 하였다. 선정한 하천유형구간에 대하여 유량크기별 수위, 유속, 한계유속, 소류력에 대한 흐름특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도계수의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Gradation and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Bed Materials in Pool-Riffle Sequence in the Gap Stream, Korea (갑천의 웅덩이-여울 연속구조에서 하상토의 입도 및 이동 특성)

  • Choi, Sung-Uk;Bae, Hye-De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1
    • /
    • pp.65-72
    • /
    • 2011
  • Natural streams meander, forming pools at the outer part of bend and riffles at the crossing. Pools are deep at a lower flow velocity, and riffles are shallow at a higher flow velocity. Attentions are being paid to pool-riffle sequences in meandering streams because pool-riffle sequences tend to increase biodiversity of the stream ecosyst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bed sediment particles in the upstream reach of the Gap Stream, which is a tributary of the Geum River in Korea. The upstream part of the Gap Stream, the study reach, is a gravel-bed stream, showing a pool and three riffles due to meandering. The reach also includes pools at the upstream and downstream parts of the weir. The characteristics of bed sediment particles sampled at the wetland and in the side channel are studied, revealing that the median particle diameter in the riffle is about four times larger than that in the pool. In addition, flow simulations are carried out for ordinary discharge and design flood, and such parameters important to sediment transport as velocity, shear stress, dimensionless shear stress (or Shields number), and dimensionless shear velocity are provided to see the mobility of sediment particles in the pool-riffle sequence.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lateral migration of an alluvial stream - Case study on Gopyeong site, Naeseong Stream - (충적 하천에서의 측방 이동에 대한 계량적 분석 - 내성천 고평 지점을 사례로 -)

  • Lee, Chanjoo;Go, Dahae;Kim, Donggu;Choi,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87-487
    • /
    • 2022
  • 하천의 측방 이동은 충적 하도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홍수에 의한 강턱 및 고수부지 침식 및 만곡사주 퇴적을 동반하는 지형형성작용이나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 년간 인간의 교란이 없는 상태로 유지된 하천 구간인 내성천 고평 지점을 대상으로 항공사진, 드론 영상 및 DEM 자료를 이용하여 2015-2021년 사이에 발생한 하천의 측방 이동에 대한 계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평 지점의 내성천 하도는 시간에 따라 저수로 하폭이 증가하면서 공격사면이 횡방향 및 하류 방향으로 이동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사행도는 1.07에서 1.12로 소폭 증가하였다. 10개 단면에서 측방 이동은 2018년 5월과 11월 사이, 2020년 5월과 9월 사이에 발생하였으며, 공격사면 쪽으로 최대 60 m 이상 이동하였다. 동일한 두 시기에 측방 이동에 따른 홍수터의 침식 면적은 각각 5,572 m2, 6,571 m2였으며, 2015-2021년 전체로는 16,000 m2에 달하였다. 이는 대상 구간의 2015년 기준 전체 저수로 면적의 약 20%에 해당한다. 단면에서의 변화는 측방 이동과 함께 저수시 하상의 저하가 함께 관찰되어 6년간 0.5-1.0m 저하되었다. 대상 구역 내에서의 침식량은 30,636 m3이며, 퇴적량은 14,904 m3으로 순침식량은 15,831 m3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5년 기준 저수로 면적이 평균 51.7 cm 하강한 정도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충적 하천에서 홍수에 의해 하도의 측방 이동이 활발하게 발생하였음을 보여주며, 하천 관리 및 유사 분석에 있어서 측방 이동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Finite Element Model for the Hydrodynamic Analysis in a River (하천에서의 동수력학적 유동해석을 위한 유한요소모형의 개발)

  • 한건연;이종태;김홍태
    • Water for future
    • /
    • v.26 no.3
    • /
    • pp.87-101
    • /
    • 1993
  • A finite element model RIV-FEM2 for the hydrodynamic study in a river is developed based on two-dimensional shallow water wave equation and dissipative Galerkin's method. RIV-FEM2 consists of pre-processing, analysis processing and post-processing. Pre- and analysis processing is programmed with Fortran-77 and post-processing with turbo-Pascal respectively. The model is tested with two dimensional problems, including flow through bends, bridges, and symmetric contraction. The two dimensional tests shows stable and efficient results for various situations. Applicability of the model is verified by applying to natural river. The model will provide a basic contribution to the hydrodynamic analysis in a river.

  • PDF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for Stream Diversion in Small Stream (소하천에서 유로변경에 따른 수리특성 분석)

  • An, Sang-Jin;Jeon, Gye-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5
    • /
    • pp.561-566
    • /
    • 2001
  •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 for stream diversion reach by numerical model test. Through it we can provide the basis data in flood, and in grasping stream flow characteristics.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Seoknam stream were implemented by using computer model HEC-RAS(one-dimensional model) and RMA2(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As a result we became to known that RMA2 to simulate left, main channel, right in stream is more effective method in analysing flow in channel bends, steep slope, complex bed form effect stream flow characteristics, than HEC-RAS.

  • PDF

A Study on Vegetation Expansion Process by Soil Survey in the Sand Bar of Movable Channel (이동상 하도의 모래사주에서 토양조사를 통한 식생역 발달과정의 평가)

  • Lee, Sam-Hee;Ock, G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58-1062
    • /
    • 2007
  • 본 연구에서 이동상 모래하천에서 식생의 변화과정을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 하천은 낙동강 상류 하회지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모래하천으로서 지형적인 요인으로 형성된 사행하천의 만곡부에 해당하고 있다. 특히 상류에 댐과 취수보 등 수자원개발시설이 건설되면서 수십 년 동안 물과 유사의 공급이 조절되어 안동시권역에서부터 하류방향으로 향하면서 점차 바뀌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가운데, 이동성을 지니고 있던 사주부에 식생이 유입되고, 식생역이 확장되면서 사주가 고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동상 하도에서 이동사주내 식생역의 발달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주내 토양의 물리화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안동 하회지구내 모래사주에서 식생이 정착 발달 확장 되어가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회지구의 식생역의 발달은 시기적으로 홍수기와 비홍수기의 반복적인 출현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리고 공간적으로는 홍수기 동안의 유사의 퇴적과 세굴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생역의 확장과정은 이러한 시공간적 상황으로 인해 유발되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높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Bed Change Around Vertical Groyne with Installed Spacing (설치간격에 따른 연직수제주변 하상변동에 관한 실험연구)

  • Yeo, Hong-Koo;Kang, Joon-Gu;Kim, Sung-Jung;Yoon, Byeo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45-1749
    • /
    • 2010
  • 하천 내 설치하는 수제는 제방보호 및 유로변경의 목적으로 하천내 시공되는 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하천복원과정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구조물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수제는 대개 하나 이상의 일련의 군집형태로 수로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제의 무분별한 설치는 주변 경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따른 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야기 시키기 충분하다. 그러나 적절한 간격 조절을 통해 생태, 호안보호, 경관 등의 수제의 기능을 만족한다면 이보다 더 효율적인 것을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제간격에 따른 하상변동 실험을 통해 효율적인 배치간격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은 폭 1.2m, 길이 50m, 높이 1.5m 인 직선수로에서 수로폭의 15%길이를 갖는 연직수제를 2개를 대상으로 각각 수제길이의 2~8배의 간격 조절을 통해 하상변동실험을 수행 하였다. 실험용입자는 중간입경($d_{50}$)이 0.15mm 인 모래를 사용하였으며 6시간 동안 통수하였다. 실험결과 유수에 의해 첫 번째 설치된 수제에서 지배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게 되면서 후면부에 설치된 수제는 비교적 영향을 덜 받고 있었다. 그러나 그 영향권을 점차 벗어나게 되면서 수제 간격이 4배 이상일 경우 후면부 수제에서도 세굴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자료는 추후 수제설치에 따른 효율적인 배치 간격 결정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수제들이 시공되는 대다수의 하천들은 어느 정도의 만곡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간과해서는 않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ause and Measure of Road Structures for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집중호우에 의한 도로시설물 피해 원인 및 대책)

  • Lee, Yong-Soon;Choi, Chang-Ho;Chung, Ha-Ik;Kwon, Ki-Hwa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458-461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the cause and measure of road structures failures in Kangwon area for year 2006 rain fall. Localized rainfall due to abnormal climate generates rock or dirt flows in upper stream and leads, the road structure failure located on mountains terrane. Main cause of such failures erosion, debris-flow, insufficient supply of culvert drainage system in ravine areas. It is needed to enhance the design methodology of road-drainage system and the remediation technology of rock and dirt flow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