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찰감소

검색결과 744건 처리시간 0.028초

Coated $Si_3N_4$-TiC ceramic 공구의 마모 특성 (Wear characteristics of coated $Si_3N_4$-TiC ceramic tool)

  • 김동원;권오관;이준근;천성순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88년도 제7회 학술강연회초록집
    • /
    • pp.43-48
    • /
    • 1988
  • 보호피막을 입히는 방법으로는 화학증착법과 물리증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고온 분위기에서 기체 상태인 반응물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물질을 증착시키는 화학증착법은 물리증착법에 비해 점착성(adhesion)이 우수하고, 보호피막층의 성분조절이 용이하며, 반응물이 기체상태이므로 대량생산이 용이하여 보호피막 증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Si_3N_4$-TiC ceramic 표면에 TiC, TiN 및 Ti(C, N) coating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잇는 장점들은 표면층의 경도를 증가시키며, steel과의 마찰계수의 감소 및 coating 층 자체가 고온에서 고체 윤활제로 작용하여 마찰열의 상당한 감소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coating층 자체가 비교적 안정한 화합물로 피삭재내의 성분원소들에 대한 diffusion barrier로 작용되며, 내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증착층의 미소경도, 열충격저항, steel과의 마찰계수를 측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절삭시험을 통하여 증착층들의 내마모성을 조사, 규명하였다.

  • PDF

윤활박막이 증착된 다이아몬드 박막의 트리보 거동

  • 나종주;이상로;이구현;남기석;백운승;허종서;백영준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9년도 제17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94-194
    • /
    • 1999
  • 다이아몬드 박막은 결정립에 의해 심한 표면 거칠기를 나타낸다. 루비를 상대재료로 사용하여 하중 50g, 50rpm의 회전속도로 마모시험을 하였으며 마모 track의 직경은 100mm였다. 마찰계수는 0.5에서 계속 감소하며 0.1이하에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다이아몬드 박막위에 저마찰재료로 알려진 PTFE를 타겟으로 RF로 증착한 후 같은 조건으로 마모시험을 행하면 마찰계수가 초기부터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MoS2박막이 증착된 경우에는 완만한 마찰계수의 감소가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으로는 DLC 박막에서 보고되고 있는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의 sp3 결합구조가 마모시험중 흑연화하여 sp2 결합구조로 변하기 때문인 것인지 살펴보기 위하여 micro Raman을 통하여 마모 track을 분석하였고 AFM을 통하여 표면거칠기 변화와 표면 스크래치 발생 여부를 살펴보았다.

  • PDF

폴리머 수용액 주입에 의한 난류마찰저항 감소에 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rictional Drag Reduction of Turbulent Flow by Polymer Solution Injection)

  • 김형태;김덕수;김우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0권3호
    • /
    • pp.9-15
    • /
    • 2003
  • An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arried out as a basic research for development of the friction drag reduction technology for ships by polymer injection. Experimental apparatus and procedures have been devised and prepared to measure the changes of the wall friction with injection of a polymer solution and basic experimental data on the friction drag reduction are obtained for a turbulent fiat-plate boundary layer and fully-developed channel flows. Variations of the friction drag reduction with some important parameters of polymer injection,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polymer solution, its injection flow rate and the measuring position downstream from the injection slot, are also investigated. Important experimental data and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are presented. The amount of friction drag reduction up to 50% is observed.

미소기포 주입에 의한 마찰저항 감소에 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Friction Drag Reduction in Turbulent Flow with Microbubble Injection)

  • 김덕수;김형태;김우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0권3호
    • /
    • pp.1-8
    • /
    • 2003
  • For the experiment of the friction drag reduction by microbubble injection, a drag reduction water tunnel was specifically designed and made. Experimental apparatus and procedures were devised and developed for measuring the change of wall friction drag with microbubble injection. For fully-developed channel flows. the change of friction drag with important parameters of microbubble injection is investigated and the experimental data and results obtained are presented. The amount of friction drag reduction up to 25% is observed in the present study.

경사 지반앵커의 군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up Effect of the Inclined Ground Anchor)

  • 임종철;홍석우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0권4호
    • /
    • pp.39-52
    • /
    • 1994
  • 지반앵커의 설계시 가장 중요한 것은 극한인발력을 구하는 것이다. 앵커의 간격이 가까울 때는 앵커의 인발에 따른 지반 거동의 중첩 현상, 즉 군효과가 발생하여 앵커 1개당 극한인발력이 감소하게 된다. 현재까지 앵커의 군효과에 대한 연구가 극소수인데 그것도 대부분 연직 앵커에 관한 것으로 경사앵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이유는 지반앵커의 인발에 따른 지반 거동의 관찰과 앵커표면 마찰응력을 정확하게 측정해서 분석할 수 있는 실험과 이론적 고찰이 대단히 어렵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공기 건조 모래지반 내에 설치된 경사 지반앵커의 군효과에 대한 모형실험에 관한 것으로, 앵커체 깊이 방향으로 부착된 10개의 변형률게이지에 의해서 앵커체 표면의 마찰응력을 구하여 군효과에 의한 마찰응력의 감소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앵커표면간 거리가 10.7cm에 불과한 대단히 가까운 앵커의 경우에도 군효과에 의한 마찰응력의 감소와 극한인발력의 감소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본 연구는 건조모래 지반내의 소규모 실내모형실험에 한한 것이므로 이후 여러 가지 지반 조건하에서의 모형실험과 현장실험을 실시해서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그물감의 강도에 관한 연구 (1) 그물실의 강도가 매듭에서 감소하는 기구 (Studies on Strength of Netting (1) The Decrease in Strength of Netting Twines by Knotting)

  • 김대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
    • /
    • 1976
  • 그물실의 강도가 매듭에서 감소하는 기구를 명백히 하기위해, 매듭에서의 그물실의 파단현상울 관찰하고 강도 감소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조사하여 매듭의 강도를 나타내는 식을 유도하고, mono-filament, multi-filament, 및 spun 그물실로 구분된 11종류의 그물실에 대해 매듭의 강도를 측정하여 상기 식에 의한 계산치와 비교했다. 실험의 결과, 매듭이 파만을 일으키는 부분은 매듭의 첨단, 즉 매듭과 다리와의 경계이었으며, 강도감소의 원인은 이 첨단에 마찰력이 작용함으로 인해, 첨단에 위치한 섬유들이 자신에 걸리는 장력에 의해서 재분포하는데 마찰력만큼 저항을 받게 되기 때문이라고 간주되었다. 매듭의 강도 T는 $$T=\frac{T_0}{1+{\mu}\frac{s}{\rho}\varrho^{\mu\theta}$$ 로 표시되었고, 이 식에 의한 계산치는 실험치와 거의 일치했다. 단, $T_0$는 그물실의 항장력, $\mu$는 그물실간의 마찰계수, S는 매듭의 첨단과 그 첨단을 압축하는 그물실과의 접촉길이, $\rho$는 그 첨단을 압축하는 그물실의 곡률반경, $\theta$는 그 첨단을 압축하는 그물실이 반대편 첨단에서 다른 그물실과 마찰되는 각도이다.

  • PDF

안쪽축이 회전하는 환형관내 천이유동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ransitional Flows in a Concentric Annu- lus with Rotating Inner Cylinder)

  • 김영주;김철수;황영규
    • 에너지공학
    • /
    • 제11권4호
    • /
    • pp.299-305
    • /
    • 2002
  • 본 연구에서 실험과 수치해석 검증은 지름비 0.52인 동심환형관내에서 안쪽축이 회전하고 바깥쪽축이 고정된 유동장의 유동특성을 수행하였다. 압력손실과 마찰계수는 안쪽축이 0~600 rpm 회전시 물과 0.2% CMC 수용액을 완전히 발달된 유동장에서 측정하였다. 천이유동은 표면마찰계수(C$_{f}$ )에 대하여 로스비수(Ro)와 레이놀즈수(Re)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압력손실 측정에 의해 확인하였다. 천이발생은 레이놀즈수에 대하여 압력손실과 마찰계수의 구배변화에 의해 조사하였다. 회전으로 인한 마찰계수의 증가율은 천이영역에서 대하여 갑자기 감소함에 반하여 층류영역에서 균일하며, 난류영역에서는 점차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암석의 파괴조건계수 평가 및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and Application of Failure Coefficients of Rock)

  • 장명환;양형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4호
    • /
    • pp.103-116
    • /
    • 1998
  • 순수전단강도를 추정하기 위해 150 세트의 삼축시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내부마찰각은 Hoek와 Brown의 파괴조건계수 m이 증가하는데 따라 비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순수전단강도 비례계수 1c는 비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압축강도의 전단강도에 대한 비는 내부마찰각의 비에 역비례하였다. 전단강도는 m에 반비례하였으나 내부마찰각은 비례하였다. 또 단축강도는 c에 비례하였다. 회 귀분석의 해석에 있어서 전단강도가 m과 단축압축강도의 주요 영향요소로 나타났다. 전단강도의 비례계수는 RMR의 증가에 따라 비선행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내부마찰각은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계면활성제에 의한 난류 관내 유동의 마찰감소 현상 (Drag Reduction Phenomena of Surfactant Turbulent Pipe Flows)

  • 윤형기;신광호;장기창;나호상;유성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8권12호
    • /
    • pp.1025-1032
    • /
    • 2006
  • This is to characterize the fluid mechanics of surfactant water solutions, which exhibit drag reduction in the turbulent flow as compared to pure water. The emphasis is placed on those fluid characteristic aspects of drag reducing solutions which are relevant for application in closed circulation loops for the purpose of pumping power savings, like hydronic cooling and heating systems in buildings. Th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with the solutions of the surfactant Beraid DR-IW 616 in concentration of $100{\sim}3,000ppm$. The following key parameters are focused in this study: surfactant concentration, solution temperature and pipe diameter.

부유사 입자에 의한 개수로 난류 유속 분포의 변화 (Change of Velocity Profile due to Introduction of Suspended-Sediment Particles in Turbulent Open-Channel Flow)

  • 류권규;윤병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7-361
    • /
    • 2005
  • 부유사 입자를 난류 흐름 중에 투입하면 유속의 연직 분포를 다소간 변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1946년에 Vanoni가 Karman 상수의 감소를 제안한 이후 이것은 상당한 논쟁을 불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입자 추적유속계(PTV)를 이용하여 개수로 중의 난류와 유사의 속도를 직접 측정하고, 이 자료를 분석하여 부유사 입자가 개수로 난류의 유속 분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구명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의 측정 자료들과 그들의 주장을 재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부유사 입자는 Karman 상수를 다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감소 현상은 물과 유사의 상대적인 속도 분포로 설명할 수 있다. 다만 Karman상수의 감소 정도는 종래의 연구자들이 주장한 것보다 상당히 작다. 이처럼 차이가 나는 이유는 종래의 연구들이 Karman 상수의 산정 방법이나 이용한 자료의 선택에서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난류 중에 투입된 부유사는 마찰 속도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