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이크로 이동성

Search Result 214,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Modeling of Capillary Filling Length in Silwet L-77 Added Poly(Dimethylsiloxane) (PDMS) Microchannels (Silwet L-77 이 포함된 Polydimethylsiloxane(PDMS) 마이크로 채널의 유동 길이 모델링)

  • Lee, Bom-Yee;Lee, Bong-Ke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8 no.8
    • /
    • pp.823-829
    • /
    • 2014
  • In the present study, simple models were proposed to predict the capillary-driven flow length in a surfactant-added poly(dimethylsiloxane) (PDMS) rectangular microchannel. Owing to the hydrophobic nature of PDMS,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water in a conventional PDMS microchannel by means of the capillary force alone. To overcome this problem, microchannels with a hydrophilic surface were fabricated using surfactant-added PDMS. By measuring the contact angle change on the surfactant-added PDMS surface, the behavior was investigated to establish a simple model. In order to predict the filling length induced by the capillary force, the Washburn equation was modified in the present study. From the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the initial rate-of-change of the contact angle affected the filling length. Simple models were developed for three representative cases, and these can be useful tools in designing microfluidic manufacturing techniques including MIcroMolding In Capillaries (MIMIC).

Review / 마이크로소프트 SQL서버의 모든것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6 s.85
    • /
    • pp.44-57
    • /
    • 2000
  • 랩톱 컴퓨터 사용자 수가 늘어나고 대중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동 컴퓨터용 응용프로그램 분야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조직에서 비용을 줄이고 직원들에게 보다 융통성 있는 작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조직의 규모를 축소하고 있으며 또한 회사 밖에 있을때도 컴퓨터를 사용하는 직원들이 늘어나고 있다. 데이타퀘스트가 실시한 1998 모바일 컴퓨팅 컴퓨팅 예측에 따르면, 이동 컴퓨팅 시장은 2002년까지 18%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 PDF

Production of alginate hollow tube by diffusion of hydrogen ions at oil-prepolymer interface using a microfluidic chip (Oil-prepolymer 계면에서의 수소이온 확산을 통한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 기반의 alginate hollow tube 제조)

  • Lee, Jae-Seon;Tran, Buu Minh;Nguyen, Phuoc Ouang Huy;Lee, Nae-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9-109
    • /
    • 2017
  • 알지네이트 하이드로 젤은 해조류에서 추출되는 천연 고분자인 알지네이트가 칼슘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과 이온가교(Ioninc cross linking)를 형성할 때 알지네이트의 고분자 구조가 칼슘, 마그네슘 양이온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고분자이다. 알지네이트 하이드로 젤은 높은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으로 인해 세포 재생을 위한 조직공학 및 재생의학, 약물전달 등의 제약 관련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물질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을 이용하여 알지네이트 튜브를 제조하였다. 먼저 유동 포커싱 방식(flow focussing)을 유도할 수 있는 PDMS(Polydimethylsiloxane)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을 제조하였다.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은 CNC(Computer Numeric Control) milling machine을 이용한 template를 만들고 NOA mold를 이용하여 최종 PDMS 칩을 제작하였다. 튜브를 만들기 위한 마이크로 채널은 내부 채널 ($200{\times}200um$), 중간 채널 ($200{\times}200um$) 및 외부 채널 ($200{\times}200um$)로 구성되며 내부, 중간, 외부의 유체가 합류하는 수집채널은 폭 500 um, 깊이 200 um로 구성되었다. 운반체로는 5%의 acetic acid를 함유한 mineral oil를 이용하였으며 내부의 core flow는 $H_2O$로 하였다. 중간 유체인 2% 알지네이트 프리폴리머는 칼슘 이온의 존재 하에서 젤화 과정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마이크로 채널 내부에서의 반응을 제어하고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성 복합 칼슘-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 (EDTA)을 사용하였다. 본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에 각각의 유체를 이동시켰을 때, 운반체인 oil phase의 수소이온은 중간 유체인 알지네이트 프리폴리머와의 계면을 통해 확산되어 Ca-EDTA 복합체로부터 칼슘 양이온의 방출을 유발하게 된다. 방출된 칼슘 양이온은 알지네이트 고분자와의 이온 가교를 통해 알지네이트 하이드로 젤을 형성하여, 각 유체의 flow에 따라 알지네이트 튜브를 쉽고 빠르게 제조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알지네이트 튜브는 인체 내 장기간 약물 전달을 위한 나노섬유로 활용하거나 인공혈관을 구성하는 extracellular matrix로 활용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추후 활발한 연구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 PDF

A New Dynamic Paging Mechanism for HMIPv6 Networks (HMIPv6환경에서 새로운 동적 페이징 기법)

  • Jeong, Yu-Jin;Choe, Jong-Won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2 no.6
    • /
    • pp.687-695
    • /
    • 2005
  • With increasing demand of using mobile Internet, HMIPv6 is proposed by IETF to reduce location management traffics due to micro mobility and to provide IP-based movement. A paging mechanism combined with HMIPv6 can reduce the signaling traffics of a mobile node. We propose a dynamic paging mechanism in HMIPv6 which decides an optimal paging area for each mobile node by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Total costs of a static paging mechanism and a dynamic paging mechanism are analyzed by mathematical formulas. As a result, we proved that the dynamic paging mechanism reduced total signal traffic costs more than a static paging mechanism.

SecureJMoblet: Secure Jini-based Mobile Agent System (SecureJMoblet: 안전한 Jini 기반의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

  • 유양우;문남두;이명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562-564
    • /
    • 2004
  • Jini 구조의 네트웍 기능은 분산응용을 위하여 간단하면서도 유연한 네트웍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이동에이전트 시스템의 동적인 등록 및 위치 파악의 기능과 에이전트의 활동에 유용한 서비스들의 동적 제공이 용이하게 지원되어 이동에이전트 시스템 개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Jini 기반의 이동에이전트 시스템인 JMoblet 시스템을 썬 마이크로시스템에서 새롭게 제시한 Jini 2.0 보안모델을 적용하여 보안성이 강화된 안전한 JMoblet 시스템으로 확장하였다. 또한 에이전트 간 통신 시, 안전한 통신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 PDF

An Enhanced Handoff Mechanism for Cellular IP (Cellular IP 핸드오프 성능개선)

  • Kim, Gyeong-A;Kim, Jong-Gwon;Park, Jae-Yun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9C no.1
    • /
    • pp.89-96
    • /
    • 2002
  • Handoff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ma? degrade the performance of TCP connections in wireless data networks. In this paper, we present a lossless and duplication free handoff scheme called LPM (Last Packet Marking) for improving Cellular If semisoft handoff. LPM signals the safe handoff cue by sending a specially marked packet to mobile hosts. SPM (Semisoft rePly Message) is the only newly introduced control packet. Our performance study shows that LPM achieves lossless packet delivery without duplication and increases TCP throughput significantly.

Comparison of Micro Mobility Patterns of Public Bicycle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A Case Study in Seoul (팬데믹 전후 공공자전거의 마이크로 모빌리티 패턴 비교: 서울시 사례 연구)

  • Jae-Hee Cho;Ga-Eun Baek;Il-Jung Seo
    • The Journal of Bigdata
    • /
    • v.7 no.2
    • /
    • pp.235-244
    • /
    • 2022
  • The rental history data of public bicycles in Seoul were analyzed to examine how pandemic phenomena such as COVID-19 caused changes in people's micro mobility. Data for 2019 and 2021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m before and after COVID-19. Data were collected from public data portal sites, and data marts were created for in-depth analysis.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two periods, the riding direction type dimension and the rental station type dimension were added, and the derived variables (rotation rate per unit, riding speed) were newly create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rental time before and after COVID-19, but the average rental distance and average usage speed decreased. Even in the mobility of Ttareungi, you can see the slow rhythm of daily life. On weekdays, the usage rate was the highest during commuting hours even before COVID-19, but it increased rapidly after COVID-19. It can be interpreted that people who are concerned about infection prefer Ttareungi to village buses as a means of micro-mobility. The results of data mart-based visualization and analysi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insight into public bicycle operation and policy development.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mbine SNS data such as Twitter and Instagram with public bicycle rental history data.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 of related research can be improved by examining the behavior of bike users in various places.

Route Optimization Scheme in Nested NEMO Environment based on Prefix Delegation (프리픽스 할당에 기반한 중첩된 NEMO 환경에서의 경로최적화 기법)

  • Rho, Kyung-Taeg;Kang, Jeong-J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8 no.5
    • /
    • pp.95-103
    • /
    • 2008
  • The Network Mobility (NEMO) basic support protocol extends the operation of Mobile IPv6 to provide uninterrupted Internet connectivity to the communicating nodes of mobile networks. The protocol is not efficient to offer delays in data delivery and higher overheads in the case of nested mobile networks because it uses fairly sub-optimal routing and multiple encapsulation of data packets. In this paper, our scheme combining Hierarchical Mobile IPv6 (HMIPv6) functionality and Hierarchical Prefix Delegation (HPD) protocol for IPv6, which provide more effective route optimization and reduce packet header overhead and the burden of location registration for handoff. The scheme also uses hierarchical mobile network prefix (HMNP) assignment and tree-based routing mechanism to allocate the location address of mobile network nodes (MNNs) and support micro-mobility and intra-domain data communication. The performance is evaluated using NS-2.

  • PDF

마이크로채널 반응기를 이용한 소형 이동전원 연료전지용 수소발생기 개발

  • Yun, Yeong-Gi;Im, Seong-Dae;Park, Gu-Gon;Kim, Chang-Su;Seo, Dong-J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112-121
    • /
    • 2005
  •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 2년간 에너지관리공단의 선행연구과제로서 진행되었으며 20 Watt 급 소형 연료전지에 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소형의 마이크로 채널 메탄올 개질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개질장치는 개질기 본체, 여기에 반응열을 공급 해주는 촉매 연소기 그리고 연료를 증발시켜 주는 연료증발기의 세부분으로 구성되며 각 반응기의 개발 및 통합을 수행하였다. 반응기는 반응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폭 $200{\sim}5000{\mu}m$, 필이 $200{\sim}5000{\mu}m$ 규모의 마이크로 채널 유로를 금속 박판을 화학 에칭하여 구현하였으며 이를 수십장 적층하여 전체 반응기를 제작하였다. 마이크로 채널표면에 내부 촉매 지지체를 먼저 코팅한 후 촉매를 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담지체 코팅으로 기하학적 표면적 대비 표면적이 10 배 이상 향상되는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촉매의 내구성이 월등히 향상 되었다. 저온 활성 촉매를 사용하여 $350^{\circ}C$ 이하에서 메탄을 전환율 90% 이상을 구현하였다. 실제 운전 후 측정 결과 개질 반응기의 부분별 온도차가 $20^{\circ}C$ 이내로 설계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촉매 연소기를 이용한 개질 반응열 공급장치를 개발하여 20Watt 급 수소 생산을 위한 개질 반응기에 반응열을 공급하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촉매 연소기를 이용한 연료 증발열 공급 장치 개발하여 개질기 공급 연료의 90% 이상이 기화되도록 하였다.

  • PDF

AC Insulation Breakdown Weibull Plot Characteristics of Epoxy-Nanocomposites (에폭시-나노콤포지트의 교류절연파괴 와이블 분포특성)

  • Park, Jae-Jjjun;Cho, Dae-Ryung;Lee, Chang-Hoon;Kim, J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6a
    • /
    • pp.384-384
    • /
    • 2009
  • 에폭시 수지에 유기화된 층상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1wt% 충진한 경우 나노콤포지트와 마이크로 입자를 50wt% 충진한 경우 마이크로 콤포지트를 제조하였다. 초음파 분산법을 이용하여 나노 및 마이크로입자를 120분 동안 분산시킨 에폭시- 나노/마이크로 콤포지트이다. 나노콤포지트와 마이크로콤포지트의 단시간 교류절연파괴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와이블 분포 plot을 통하여 나타내었다. 와이블 plot은 기울기로서 형상파라미터를 나타낸 경우로서 이는 파괴강도의 균질성을 의미하게 된다. 63.2% 누적분포함수를 나타낸 경우 척도파라미터로서 나타내어진다. 마이크로 콤포지트의 경우 형상파라미터가 2.99, 나노콤포지트는 8.96를 나타내었다. 또한 마이크로 콤포지트 및 나노콤포지트 스케일 파라미터는 164.25kV/mm, 245kV/mm를 얻었다. 또한 B10수명의 경우 마이크로콤포지트와 나노콤포지트의 경우 77.57kV/mm, 139.3 6kV/mm로서 나노콤포지트의 경우 완전하게 박리가 일어난 경우이다. 마이크로 입자를 분산시켜 입자간거리와 나노입자를 분산시켜 박리가 일어난 경우 입자간거리는 대단히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나노입자가 교번전계 하에서 주입된 전하 및 케리어 이동을 억제하는 경우로 이와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