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이크로 연료전지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Fabrication and Testing of Glass Bipolar Plates for Application on Micro PEM Fuel Cells (마이크로 연료 전지를 위한 유리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작 방법 및 성능 평가)

  • Jang, Bo-Sun;Lee, Jong-Kwang;Kwon, S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89-292
    • /
    • 2009
  • The fabrication method of glass bipolar plates for micro PEM fuel cell application has been established and performance evaluation has been carried out. The advantages of glass bipolar plates for micro PEM fuel cells are light weight, high chemical resistivity, and easy manufacture. The MEMS fabrication process of anisotropic wet etching, thermal & UV bonding along with metal layer deposition has been introduced. From performance evaluation, it was shown that the micro fuel cell with a metal layer deposited on the reactive area yielded higher power density than the one without it. But both power densities of the two cases showed out to be adequate with the current status of micro fuel cell technology.

  • PDF

Status of micro fuel cell for small electronic devices (소형 전자기기를 위한 마이크로 연료전지 개발 현황)

  • Jung, Doo-Hwan;Peck, Dong-Hyun;Lee, Bo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5d
    • /
    • pp.1-5
    • /
    • 2003
  • 연료전지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시키는 전력 변환 장치로써, 수명이 길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기존의 축전지 대체 에너지원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소형 휴대용 전자기기용 전원으로 개발되고 있는 마이크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는 연료의 취급이 용이하고, 운전온도가 낮기 때문에 초소형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 직접메탄올 연료전지를 기반으로 하는 마이크로 연료 전지(Micro fuel cell)의 구성과 개발 현황 및 응용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A Micro PEM Fuel Cell System Including a Hydrogen Generator (수소 발생기를 포함한 마이크로 PEM 연료전지 시스템)

  • Kim, Dae-Joong;Zhu, L.;Shannon, M.A.;Masel, R.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558-559
    • /
    • 2008
  • 본 논문은 미 일리노이 주립대 어바나-샴페인 캠퍼스에서 주로 군사용 응용 관련하여 개발 중인 마이크로 PEM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에 대한 논문이다. 본 연구는 수소 저장 장치까지 포함하여 1 $mm^3$의 초소형 연료전지 시스템을 목표로 진행 중이며 본 논문은 이러한 진행 과정 중 화학적 하이드라이드 기반의 수소 발생기와 10 $mm^3$의 시스템 개발 과정에 대해 보고한다.

  • PDF

A Study on Optimal Microgrid Operation considering Fuel Cell (연료전지를 고려한 마이크로그리드의 최적운용에 관한 연구)

  • Lee, Ji-Hye;Kim, Hak-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235-1237
    • /
    • 2012
  • 연료전지는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차세대 친환경에너지로 평가 받고 있으며, 추후 마이크로그리드에 많은 도입이 예상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력과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연료전지를 고려한 마이크로그리드의 최적운용계획을 수립하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수리적 모델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연료전지/마이크로터빈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 김재환;양수석;이대성
    • Journal of the KSME
    • /
    • v.43 no.4
    • /
    • pp.61-65
    • /
    • 2003
  • 이 글에서는 차세대 분산발전시스템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연료전지/마이크로터빈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소개하고,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관련기술 및 향후 개발계획 살펴본다.

  • PDF

가스터빈/연료전지 혼합형 발전시스템의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 김재환;양수석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11
    • /
    • pp.26-31
    • /
    • 2003
  • 가스터빈/연료전지 혼합형 발전시스템은 고온형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산화제(공기) 공급부가 마이크로터빈으로 대체되어 고온고압의 공기가 연료전지로 공급되고 연료전지의 반응가스가 터빈을 구동하여 두 시스템이 동시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 PDF

A Harmonic Reducer(H.R) Converter Connecting a Fuel Cells Micro-Source (연료전지 마이크로 소스와 연계한 Harmonic Reducer(H.R)컨버터)

  • Oum, J.H.;Jung, Y.G.;Lim, Y.C.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4c
    • /
    • pp.227-23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 마이크로 소스와 연계된 Harmonic Reducer(H.R)컨버터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에 의하여 마이크로 소스의 ac출력전류를 정현파로 개선할 수 있었다. 또한 H.R컨버터의 dc단전압과 전류의 리플은 Zero Ripple(Z.R)필터를 설치하여 제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PSIM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 PDF

Numerical Analysis-Based Design of PEMFC Channel, Fabrication of Channels, and Performance Test Using SU-8 (수치해석을 통한 PEMFC 채널의 설계와 SU-8을 이용한 채널 제작 및 성능 평가)

  • Choi, In-Jea;Wang, Hak-Min;Choi, Kap-Seung;Kim, Hyung-M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4
    • /
    • pp.349-354
    • /
    • 2010
  • Fuel cells have attracted enormous interest as new power sources because the cells can be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s well as the natural-resource exhaustion problem. In this study, hydrogen-gas flow in microchannels of different shapes was numerically analyz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microfuel cell. Flow characteristics in six microchannels of different shapes but under identical boundary conditions were simulated.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flow characteristics such as velocity, uniformity, and flow rate, greatly depend upon the channel shape. This implies that the efficiency of microfuel cell can be expected to be increased by adopting the optimal configuration of channel shape for hydrogen-gas flow.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ower density of a PEMFC with a microflow channel is higher than that of a PEMFC without a microflow channel; however, a durable catalyst is required in MEA.

A Study on the BOS control of a small PEM fuel cell stack (소형 PEM 연료전지 스택의 BOS 제어에 관한 연구)

  • Kim, Tae-Hoon;Choi, Woo-J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274-27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소형 PEM(Proton Exchange Membrane) 연료전지 스택의 BOS(Balance of Stack) 제어에 관하여 논의한다. 별도의 가습 장치가 필요치 않고 BOS의 구성이 비교적 간단한 소형 PEM 연료전지 시스템에서는 팬과 퍼지밸브만의 제어를 통해 스택 내부 수분의 조절과 열 관리가 수행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부하에 따른 최적의 공기유량을 계산하고 요구되는 유량의 공급을 위해 팬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소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과도응답 특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하여 제안한다. 150W급 소형 연료전지 시스템을 꾸미고,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제어회로를 구현하여 실험함으로써 제안된 알고리즘의 유용함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