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이크로 에멀젼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17초

프로스타글란딘 $E_1$ 마이크로에멀젼이 함유된 액상좌제의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Liquid Suppository Containing Prostaglandin $E_1-loaded$ Microemulsion)

  • 김정환;이사원;박경미;최한곤;김종국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0권3호
    • /
    • pp.167-17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ransurethral liquid suppository containing prostaglandin $E_1\;(PGE_1)-loaded$ microemulsion, which undergoes a phase transition to gels at body temperature. The effects of oils, ethanol as solvent and HCl as pH-controlling agen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iquid suppositories composed of poloxamer P 407, P 188 and carbopol was investigated. The stability of $PGE_1$ and release of $PGE_1$ from liquid suppository were evaluated. Oils such as Neobee and soybean oi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gelation temperature but increased the gel strength of liquid suppository due to their strongly binding with the components of liquid suppository base. However, ethanol slightly did the opposite. The pH of liquid suppositories hardly affected the gelation temperature and gel strength due to addition of very small HCl (0.005-0.01%). A liquid suppository [$PGE_1/P$ 407/P 188/carbopol/Neobee/ethanol/HCl (0.2/14/14/0.4/7/2/0.005%)], which had the gelation temperature $(34.2{\pm}0.6^{\circ}C)$ and gel strength $(31.35{\pm}4.37\;sec)$ suitable for liquid suppository system, was easily administered and not leak out from the body. About 60% of $PGE_1$ was released out within 2 h from this formulation. It was shown that the release of $PGE_1$ was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ime, indicating that $PGE_1$ might be released from the suppository by Fickian diffusion. It was stable at $4^{\circ}C$ for at least 2 months. The results suggest that transurethral liquid suppository containing prostaglandin $E_1-loaded$ microemulsion is thought to be a convenient, safe and effective dosage form for $PGE_1$. However, it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s a more convenient and stable dosage form for $PGE_1$.

  • PDF

Alkyl Ethoxylate 비이온 계면활성제, 물과 윤활유를 포함한 시스템에서 보조계면활성제가 중간상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Cosurfactant on Intermediate Phase Formation in Systems Containing Alkyl Ethoxylate Nonionic Surfactant, Water and Lubricant)

  • 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16권6호
    • /
    • pp.778-784
    • /
    • 2005
  • Alkyl ethoxylate 비이온 계면활성제, 산업용 윤활유, 물로 이루어진 3성분계에 대하여 $30{\sim}6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상평형 실험을 수행한 결과, 세정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가운데 상의(middle-phase) 마이크로에멀젼(${\mu}E$) D상은 매우 제한된 조건 하에서만 생성되며, 따라서 D상이 보다 넓은 온도 영역에서 형성되기 위해서는 보조계면활성제 첨가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 $C_{12}E_4$ 시스템에 n-펜탄올과 n-헥산올을 보조계면활성제로 각각 첨가함에 따라 3상이 형성되는 온도는 A/S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3상 영역에서 생성된 가운데 상은 많은 양의 물을 함유한 $D^{\prime}(L_3)$상이었다. 한편 $C_{12}E_5$ 계의 경우에는 보조계면활성제로 n-펜탄올을 첨가한 경우에는 D'상이 형성되었으며, 반면에 n-헵탄올, 옥탄올, 노난올 등을 첨가할 경우에는 D상이 형성되었다. 한편 보조계면활성제로 n-헥산올을 첨가한 경우에는 $30{\sim}40^{\circ}C$의 온도 범위에서는 D'상을 형성하며, $45{\sim}60^{\circ}C$의 온도 범위에서는 D상이 형성되었다. 두 비이온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차이는 거대한 윤활유 오일 분자가 계면활성제 필름 지역으로 관통하여 가용화될 수 있는 정도와 계면활성제의 오일 상에 대한 분배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나노 구조체를 이용한 산화질소 전달체에 대한 연구 및 바이오메디컬 응용 (Nitric Oxide Delivery using Nanostructures and Its Biomedical Applications)

  • 최윤서;정혜중;박경태;홍진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3호
    • /
    • pp.305-312
    • /
    • 2019
  • 산화질소(NO)가 혈관 확장, 혈소판 응집 억제, 면역 반응 조절, 상처 치료, 항암 등의 주요 병리 생리학적 프로세스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최근 산화질소 전달에 대한 국내외 연구진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인체에 이상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산화질소 전달체의 개발은 산화질소의 높은 반응성과 짧은 반감기로 인하여 여전히 난제로 남아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산화질소 전달체 중에서도 최근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나노 구조체를 이용한 전달체의 연구 결과 및 응용 방향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나노 크기의 구조체가 다른 전달체와 비교하여 가지는 장점은 표면 대 부피 비율이 높아 산화질소를 효율적으로 탑재할 수 있고, 표면 개조능력이 뛰어나 산화질소의 방출 양상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 글에서는 다양한 나노 구조체 중에서도 나노입자 형태, 마이크로에멀젼 형태, 그리고 다층필름 형태의 나노 구조체에 대해서 다룸으로써 각 구조체의 산화질소 방출 양상을 비교하고 그 특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나노 구조체의 개발은 산화질소의 급격한 방출을 방지하고 지효성을 띠게 함으로써 타겟 부위에서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더 나아가 차후 다양한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 유망한 치료 기제로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보조계면활성제가 NP7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마이크로에멀젼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Cosurfactant on Microemulsion Phase Behavior in NP7 Surfactant System)

  • 임흥균;이슬;모다희;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22권4호
    • /
    • pp.416-42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보조계면활성제 첨가가 NP7 비이온 계면활성제, 물, 탄화수소 오일의 3성분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평형 및 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에서 사용한 n-pentanol, n-octanol, n-decanol 등의 보조계면활성제는 모두 소수성 첨가제로 작용하여, 알코올 첨가에 따라 oil in water (O/W) microemulsion (${\mu}E$)이 excess 오일상과 평형을 이루는 2상 영역으로부터 middle-phase ${\mu}E$이 excess water, excess 오일상과 각각 평형을 이루는 3상 영역을 거쳐서 water in oil (W/O) ${\mu}E$이 excess 물상과 평형을 이루는 2상으로 전이되었다. 또한 알코올의 사슬 길이 증가 및 첨가량 증가에 따라 상전이 온도는 감소하였다. O/W ${\mu}E$이 존재하는 조건에서는 비극성 오일의 종류와 상관없이 오일이 계면활성제 마이셀에 의하여 가용화되어 시간에 따라 오일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한편 middle-phase ${\mu}E$를 포함한 3상이 형성되는 조건에서는 매우 낮은 계면장력으로 인하여 오일이 수용액 상에 빠른 속도로 가용화되었고 작은 drop 형태로 유화되었다. 반면에 W/O ${\mu}E$의 2상을 형성하는 조건에서는 과포화로 인하여 일어나는 자발적 유화 현상과 물과 계면활성제의 오일상으로의 확산으로 인한 오일의 크기 증가가 관찰되었다. 비극성 탄화수소 오일과 계면활성제 수용액 사이의 시간에 따른 계면장력 측정 결과는 동적 거동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