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이크로 보일러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수관식 관류 보일러 제어기의 구현

  • Kim, Jeong-Ho;Ha, Jeong-Hyeon;Chae, Yeong-Do;Jo, Sam-Hyeon
    • ETRI Journal
    • /
    • v.8 no.1
    • /
    • pp.34-43
    • /
    • 1986
  • 에너지 관리 시스팀(Energy Management System)의 한 분야로서 보일러 제어를 들수 있는데, 보일러의 경우에 있어서 보일러 부하에 따른 연료의 연소 처리 제어, 압력차의 제어, 급수 제어 장치, 점화 등에 자동 제어가 적용되어 실질적인 보일러의 안전 운전 및 열효율을 개선시킬수 있다. 본고는 (주) 열연 보일러의 수관식 관류 보일러에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급수, 연소 제어를 구현한 내용이다.

  • PDF

Basic Study on the IoT Micro Boiler (IoT 마이크로 보일러에 대한 기초 연구)

  • Jang, Sung-Cheol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1
    • /
    • pp.23-29
    • /
    • 2022
  • The product to be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heat recovery device which generates steam or hot water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by heating water using exhaust gas from diesel engine, gas engine, gas turbine, etc. as an exhaust gas boiler off heat boiler(EGB) type for ship and power generation. The steam vapor or the created warm water is used as the power source required for the steerage heating and hot water facility or the HFO heating of the ship, and the turbine drive. The principle of waste heat boilers serves to heat water as high temperature exhaust gas with heat pass through the tube of the boiler. The heated water is a structure that is sent to a cabin or turbine device in the form of steam. In this stud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aximize the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heat transfer surface by replacing the tube which is the heat transfer part of EGB with the plate tube.

Development of the Small Gas Boiler Controller Using Web Browser (Web browser를 이용한 가정용 가스보일러 제어기술 개발)

  • Shon, Su-Goo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8 no.6
    • /
    • pp.213-219
    • /
    • 2004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net of a web-based boiler controller which can be in parallel operated with an existing boiler controller. The web-based boiler controller mainly consists of RTL8019AS NIC and TS80C32 microcontroller. In order to communicate over the Internet, we need to develop network driver, IP, TCP, UDP, ICMP, and HTTP. For a specific application like web-boiler controller, we have proposed a common global data buffer algorithm to minimize the RAM memory usage. Finally, the correctness and performance of the protocols are tested and verified using CommView and Dummynet. The development is satisfactorily operated only for few hundreds of bytes of RAM usage without sacrificing interoperability between hosts.

Water Treatment of Low Pressure Steam turbine Generation on Small MSW Incinerationp Plant (중소형폐기물소각설비의 발전용 용수처리에 관한 연구)

  • Jeon, Kuem-Ha;Ha, Choon-Rai;Kim, Nack-J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836-839
    • /
    • 2009
  • 중소형 폐기물소각설비의 저압 저질의 포화증기를 이용한 폐열발전용 용수처리에 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기존 소각설비에 적용된 강산성 이온교환수지형 연수기에 역삼투압 멤브레인 처리와 강염기성 이온교환수지형 용수처리를 연결하여 보일러 용수를 처리한 결과, KS B6209의 30 $kg/cm_2$ 증기 압력의 보일러 용수기준에는 적합하였고, 증기의 비체적으로 증기 농도로 환산하면. 역삼투압법처리에 의한 방법보다는 강염기성이온교환수지형 용수처리를 연계 처리한 결과가 중소형폐기물소각설비의 저압증기터빈발전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Process Control Graphic System for Power Plant Using Multiple Microcomputers (다중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발전소 공정제어 그래픽 시스템의 개발)

  • ;;;Zeungnam Bie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
    • v.38 no.3
    • /
    • pp.217-227
    • /
    • 1989
  • A process control graphic system is proposed as an efficient tool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power plant. It uses the multi-processor structure with 60 Kbyte shared memory as an implemental type of the distributed computer system, so that it is flexible, functionally extensible, and applicable to real-time process. The shared memory is used as a real-time database handling the process values and operator's commands. The database files, generated by the user-interactive graphic editor developed for the system or text editor,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implicity and user-friendliness. The process control graphic system, that can monitor the operation of boiler and function as a backup controller in case of failure in boiler controller, is applied to Ulsan power plant. As a result, it displays the operating data of the boiler process without error by 14 pages of color graphic im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nu, and additionally functions well as a fault-tolerant control system.

Study of power generation used low pressure steam on small sacle waste incinerator (중소형폐기물소각설비의 폐증기를 활용한 저압발전에 관한 연구)

  • Jeon, Kuem-H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794-797
    • /
    • 2009
  • 중소형 폐기물 소각설비의 폐열보일러에서 생산되는 10 $kg/cm^2$미만의 저압증기를 이용한 증기터빈발전에서 증기의 건도를 높이이 위한 증기 전처리가 필수적이며, 건도를 증가시킨 증기를 이용하여 발전실험을 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증기터빈발전기는 마이크로 축류식 증기터빈으로 배압식을 채택하였으며, 증기터빈에 공급되는 증기압력의 증가에 따라 증기공급량, 발전량이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른 발전 효율은 설비의 효율에 따라 변하였다. 또한, 배압식 증기터빈의 경우, 공급.배기측의 증기 압력의 차이가 증가함에 따라 발전을 위한 증기 소비율이 감소하고 발전 효율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Glass/Mo/ZnO/Glass Thin-film-heaters for Water Heating (수중 발열을 위한 Glass/Mo/ZnO/Glass 구조의 박막형 발열체 연구)

  • Kim, Jiwoo;Choi, Dooho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29 no.1
    • /
    • pp.43-47
    • /
    • 2022
  •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an eco-friendly thin-metallic-film-based heater which can be operated in water. Based on the materials stability, Mo was selected as the heating element to secure long-term stability. Using a magnetron sputtering, 40 nm-thick Mo layers were deposited onto a glass substrate, followed by the deposition of 60-nm-thick ZnO layer to prevent oxidation during the heater fabrication process. Then, PVB (Polyvinyl Butyral) was applied on top of ZnO layer and an additional glass substrate was placed, which were heated at 150℃ for 2 hr. The PVB was cured with strong adhesion by the processing condition. We operated the Glass/Mo/ZnO/Glass heater in water, and it was shown that the water temperature reached 50℃ within 2 minutes, with a minimal resistance change of the heater. Finally, the heaters exhibit a semi-transparency, and this aesthetic advantag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dded value of the heater.

PutStudy of Power Generation and Condensation Efficiency on MSTG of MSW Incineration Plant (폐기물소각설비 중 MSTG설비의 발전 및 응축효율에 관한 연구)

  • Jeon, Kuemha;Jeon, Kwangsik;Ha, Choongra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08.1-208.1
    • /
    • 2010
  • 일일 50톤 처리용량의 도시고형폐기물소각설비의 폐열 보일러에서 생산되는 4.0~6.5 bar의 저압증기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축류식 MSTG설비에 있어서 공급증기압력, 입출구의 압력차이에 의한 발전효율을 비교하고, 저압의 증기의 균질화를 위한 기술분리, 정압유지설비 및 증기터빈의 본체의 기수분리된 증기의 응축효율을 증기공급율, 발전효율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공급되는 증기의 압력, 증기터빈의 입출구 압력 차이가 높아짐에 따라, 증기의 응축효율이 증가를 하였으며, 배출되는 증기량에 따른 발전효율의 증가는 없었다. 따라서, 가변적으로 변하는 저압의 증기를 기수분리 및 정압을 유지하여도 증기질의 변동이 없으며 그에 따른 증기의 엔탈피 변화가 없으므로 발전 효율의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 PDF

The development of microprocessor_based controller for the electrical boiler of heat storage type (축열식 전기보일러용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장치개발)

  • Kim, J.S.;Park, J.W.;Joe, K.Y.;Kim, Y.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89.11a
    • /
    • pp.250-253
    • /
    • 1989
  • As the necessity of increasing the midnight base load is extensively increased, electric power companies have to increase the demand of midnight electrical power by lowering the electrical charge rate at midnight.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idnight equipments is the heat Storage type's electrical boiler. A Single chip microprocessor controller for the heat-storage type's electrical boiler is developed. This controller call reduce the undesirable peak load at the begining of midnight (i.e.11 P.M.) time band by using backward load control method. Futhermore, this controller enables reservation of heat storge and the effective heating control the field test has been done by use the boiler for 66$m^2$ with the heater of 21KW quality.

  • PDF

터빈 제어 기술 동향

  • 권욱현
    • 전기의세계
    • /
    • v.38 no.3
    • /
    • pp.51-58
    • /
    • 1989
  • 아날로그 EHC시스템이 도입된 이래 터빈 제어 시스템에서 속도와 부하 제어의 기본 기능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감시, 운용 등에 대한 요구가 복잡다양해지고 자동기동 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유연한 제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게다가 기존의 기저부하를 담당하던 발전소들도 점차 변동부하를 담당할 필요가 생겼고 이를 위해서 터빈 제어시스템은 여러가지 다른 동작점에서도 운용할 수 있게 개수될 필요가 생겼다. 이는 또 터빈제어 시스템이 보일러 혹은 발전소의 다른 부분과 협조 운전을 할 수 있는 기능의 구비를 요구하였다. 이러한 여러가지 요구점들은 최근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에 의한 D-EHC 시스템으로 대부분 해결 가능한 것들이다, 앞에서 언급한 D-EHC의 여러가지 장점은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터빈 제어시스템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것으로 있다는 점에서 D-EHC 시스템의 도입을 촉진시킬 것으로 보여진다. 게다가 아날로그 전자 장치에 대한 기술적 축적도가 디지탈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축적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한 우리나라의 실정을 생각할 때 D-EHC 시스템으로의 전환은 발전제어 시스템의 국산화에도 한결 유리하고 쉬운 길을 제공하리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