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이크로파 흡수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28 GHz 초전도 ECRIS의 마이크로파 전파 특성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설계

  • Wang, Seon-Jeong;Won, Mi-Suk;Lee, Byeong-Seop;An, Chan-Yong;Kim, Seon-Ho;Gwak, Jong-Gu;Jeong, Seung-Ho;Kim, Se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134-134
    • /
    • 2010
  • KBSI 부산센터에 건설중인 소형의 다중 양전하 중이온 가속기에 사용될 초전도 ECR 이온온은 최대 자기장 3 T, 최소 0.5 T의 자기 Mirror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중심 부근의 1 T 자기장에서 28 GHz 전자공명에 의해 마이크로파의 에너지를 플라즈마로 전달한다. 최대 10 kW의 Gyrotron에서 TE02 모드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는 모드변환기, 직류차단기 및 진공창을 통하여 플라즈마로 입사된다. 32.5 mm 지름의 원형 도파관에서 자기장 축방향으로 도입된 TE01 모드의 마이크로파를 Altar-Appleton-Hartree 분산관계식을 이용하여 군속도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플라즈마 밀도가 Cut-off에 근접하지 않는 한 마이크로파의 바깥 방향으로의 회절은 크지 않았으며, 전자공명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군속도의 방향이 바뀌어 오히려 중심 방향으로 향함을 알 수 있다. 즉 마이크로파가 플라즈마 챔버의 벽을 가열시킬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이다. 또한 뜨거운 전자 플라즈마의 Susceptibility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의 플라즈마로의 전자 공명에 의한 흡수를 살펴본 결과, 운전 영역에 속하는 전자밀도가 제공되면 공명 지점에 이르기 전에 충분히 흡수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챔버를 관통하여 인출부 벽에 충돌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는 무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마이크로파 시스템을 설계 완료하였다.

  • PDF

The Study for the Characteristics of Microwave Coupled $V_2$$O_5$-PbO-$TeO_2$Glass System (마이크로파 발열된 $V_2$$O_5$-PbO-$TeO_2$ 유리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박희찬;이상은;김병우;박성수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5
    • /
    • pp.438-445
    • /
    • 2001
  • 600 W의 마이크로파 출력 하에서 PbO, V$_2$O$_{5}$, TeO$_2$ 및 V$_2$O$_{5}$-PbO-TeO$_2$성분들의 마이크로파 발열 특성을 조사하였다. V$_2$O$_{5}$ 성분의 높은 마이크로파 흡수능에 기인하여 V$_2$O$_{5}$-PbO-TeO$_2$유리상 시편들은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주어진 온도까지 직접 가열되었다. XRD, OM, SEM 및 고전압 발생 측정기를 통하여 재래식 열 및 마이크로파 공정에서 열처리된 시편들의 결정화 및 전기 전도도의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PbV$_2$O$_{6}$ 및 Pb$_4$V$_2$O$_{9}$ 결정상들이 마이크로파 열처리된 시편에서는 존재하였다. 그러나, 재래식 열처리된 시편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재래식 열처리된 시편들에 비하여 마이크로파 열처리된 시편들의 전기 전도도 값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 PDF

Far Field Test on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for X-Band Radar (X-Band Radar용 전파흡수체의 실장실험)

  • 김동일;안영섭;정세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1993.10b
    • /
    • pp.31-43
    • /
    • 1993
  • 전파흡수체의 전파흡수능 측정방법은 기본적으로 다양한 마이크로파 측정법이 이용될수 있지만 레이다용 전파흡수체의 경우 전파의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파장이 짧아서 측정오차가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한국해양대학교 마이크로파연구실에서는 전파흡수체의 전파흡수능을 실험적으로 간단히 측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20mm$\Phi$동축관 샘플홀더 및 Type-N connector로부터 20mm$\Phi$동축관으로의 변환 Adaptor를 제작하여 전파흡수체의 설계 및 특성(전파흡수능) 평가에 사용할 수있게 한 바 있으며 또 구형도파관을 이용한 재료정수 측정법을 채용하여 시료의 형상등의 영향을 적게 받는 실측 방법에 관하여 검토하여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실험실적으로 설계하여 온 X-Band Radar용 전파흡수체를 실용의 상태에 가까운 반사전력법에 의하여 그 성능을 예비평가하고 실제의 target를 제작하여 X-Band Radar로 실장실험한 결과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

Kinetics on the Microwave Carbonization of Rice Chaff (왕겨의 마이크로파 탄화속도)

  • Kim, Ji Hyun;Ryu, Seung Kon;Kim, Dong Koo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6
    • /
    • pp.683-690
    • /
    • 2005
  • The microwave carbonization of rice chaff was performed, and their kinetics were compared to those of conventional thermal carbonization. Thermal carbonization was carried out at $300-600^{\circ}C$ for 30 minutes. The weight loss and C/H mole ratio remarkably increased as increase of temperature, while there was no carbonization by microwave dielectric heating in spite of increasing incident power and irradiation time. However, microwave carbonization was successfully performed by addition of 6 wt% of thermal carbonized rice chaff, it's C/H mole ratio is larger than 3.0, as a catalytic initiator to uncarbonized rice chaff, and the kinetics was depended on the incident power and irradiation time, resulting in the coincide with thermal carbonization to the Arrhenius equation. The activation energy of microwave carbonization was quite low as compared to that of thermal carbonization, while the kinetic constant was large. This is due to the internal volumetric heating characteristics of carbonized rice chaff by microwave. The effect of ash, and C/H mole ratio and amount of carbonized rice chaff were investigated on microwave carbonization.

Linearization scheme of serially connected EA modulator for broadband microwave optical transmission (광대역 마이크로파 광전송을 위한 전계흡수 광변조기 직렬연결 변조방식의 선형성)

  • 손성일;한상국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5 no.11B
    • /
    • pp.1841-1846
    • /
    • 2000
  • 광대역 마이크로파 신호의 광전송시 변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상호잡음 성분의 억제를 위한 다단 직렬구조의 전계흡수 광변조기를 이용한 선형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신호의 위상 반전이 발생되는 것을 이용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바이어스 전압과 입력 마이크로파 신호의 전력 차를 이용하여 광대역 시스템의 성능을 좌우하는 IMD2와 IMD3를 동시에 억압시킬 수 있었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동작조건을 찾은 결과 35dB의 IMD2 억제와 50dB의 IMD3를 동시에 억압시킬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서 약 15dB의 동작영역의 증가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Fabrication and analysis of traveling-wave electroabsorption modulator for $1.55{\mu}m$ operation ($1.55{\mu}m$용 진행파형 전계 흡수 광 변조기의 마이크로파 특성분석과 제작)

  • Ok Seong-Hae;Koo Min-Ju;Choi Young-Wa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8a
    • /
    • pp.35-3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진행파형 전계 흡수 광 변조기를 3차원 FDTD를 이용하여 도파관의 폭과 진성영역의 두께 그리고 N-도핑층의 도핑수준을 변화시키면서 최적화된 구조를 설계하였다. 제작된 소자의 구조는 진성영역의 두께는 $0.9{\mu}m$, 도파관의 폭은 $6{\mu}m$이며 전체 소자의 길이는 $700{\mu}m$ 이다. 제작된 소자의 마이크로파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마이크로파 특성과 광 특성을 사용하여 주파수 응답특성을 추정하였다. 소자의 길이가 $400{\mu}m$ 일 때 17.8 GHz의 주파수 응답특성을 얻었다.

  • PDF

MMWP 아날로그 광송수신기의 설계

  • 최영완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9.11a
    • /
    • pp.301-304
    • /
    • 1999
  • 밀리미터파 대역의 아날로그 광전송을 위한 진행파형 (travel ing wave, TW) 전계흡수 광변조기 (electroabsorption modulator, EAM)와 광수신기의 설계에 대해 발표하고자 한다. TW EAM 및 TW 광수신기의 일반적인 형태인 ridge-type의 co-planar waveguide (CPW)구조에서의 마이크로파의 전송특성을 3차원 FDTD로 분석하여 광파와 전파의 속도 정합 등을 이루는 최적화 구조를 설계하였다. TW EAM의 경우 광세기 변조의 비선형 응답특성에 있어서 마이크로파 손실과 소자길이가 RF 신호의 혼변조 왜곡 (intermodulation distortion)과 SFDR (spurious free dynamic range)성능에 미치는 영향도 이론적으로 조사하였다. TW PIN 광수신기의 경우 광파와 마이크로파의 속도정합의 영향과 이전에는 고려되지 않았던 photo-generated 전송자의 진성 영역에서의 transit time이 광수신기의 밴드 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최적화 설계하였다.

  • PDF

Effect of the transit time on the characteristics of 1.55 $\mu\textrm{m}$ traveling - wave waveguide photodetector (전이 시간이 1.55$\mu\textrm{m}$ 진행파형 광 검출기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이정훈;공순철;이승진;최영완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12-13
    • /
    • 2000
  • 진행파형 광 검출기는 전기적으로 분포된(distributed) 구조이므로, 그 대역폭은 RC 시정수에 의해 제한되기보다는 광 흡수계수와 광과 마이크로파 사이의 진행속도 차에 의해 제한된다$^{(1)(2)}$ . 진행파형 광검출기에서 광과 마이크로파 사이의 속도 부정합이 대역폭에 미치는 영향은 속도 부정합 임펄스 반응(velocity-mismatch impulse response)의 제시를 통해 이미 분석되었다$^{(1)(2)}$ . 그러나, 대역폭에 제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 예상되는 진성 흡수 영역에서의 전송자 표류 시간은 아직 구체적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진성 흡수영역에서의 전송자 표류 시간을 고려하였다. 그 전이 시간(transit time)을 고려하기 위해 속도 부정합 임펄스 반응을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새로히 제시된 임펄스 반응은 광 도파로 해석과 진성 영역 분할에 의해 모델화 되었으며, 이 임펄스 반응을 통해 전이 시간과 속도 부정합이 대역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중략)

  • PDF

Soaking and Drying Characteristics of Grains and Legumes (곡류와 두류의 침지 및 건조 특성)

  • Park Jong-Dae;Jeon Hyang-Mi;Kum Jun-Seok;Lee Hyun-Yu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3 no.3
    • /
    • pp.344-350
    • /
    • 2006
  • Soaking and drying were studied for seven grains and legumes including glutinous rice, brown rice, glutinous brown rice, glutinous barley, Seoritae, Heuktae and red bean to improve taste of cooked mixed grams and make easy to cook then Seoritae and Heuktae showed the highest water absorption and the rest were in the order of glutinous barley, glutinous rice, milled rice, brown glutinous rice, brown rice, and red bean. In regards with water absorption index by soaking temperature, the higher the temperature showed, the more water absorption and the shorter time to reach the water absorption balance, the more grinding legumes. showed the more water absorption and the shorter time to reach to the water absorption balance. The soaked samples were dried at mom temperature $30^{\circ}\C,\;50^{\circ}\C$, and microwave 300 W, 700 W and 1000 W power. As a result 700 W drying method br microwave can dry samples in the shortest time without damage to the samples. Therefore, it was considered as the best pretreatment conditions for mixed stains to dry with 700 W microwave after one-hour soaking at $30^{\circ}C$.

Microwave characteristics of traveling-wave modulator considering the microwave feedline (마이크로파 feedline을 고려한 진행파형 광변조기의 특성 분석)

  • 구민주;옥성해;윤영설;문연태;김도균;최영완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1 no.4
    • /
    • pp.41-47
    • /
    • 2004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microwave characteristics of traveling-wave electro-absorption modulator (TW-EAM) considering the microwave feedline and the impedance mismatch. The TW-EAM is analyzed by using the equivalent circuit model. The capacitance and the inductance of the equivalent circuit are evaluated by using 3-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FDTD) method, while the microwave feedline is analyzed by momentum method. In a viewpoint of microwave characteristics, we present the effect of the structure and the length of microwave feed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