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이크로파 위성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ystem Requirement Analysis of Passive Microwave Radiometer in Earth Observation Satellite (지구관측위성 수동형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시스템 설계 요구 사항 분석 연구)

  • Ryu, Sang-Burm;Yong, Sang-Soon;Lee, Sang-Kon;Lee, Seung-Hoo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7 no.2
    • /
    • pp.87-96
    • /
    • 2012
  • In this research, we describe recent technologies and system requirements of the passive microwave radiometer used in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And we classify types of microwave radiometer system for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according to observation targets and ways to scan and discuss a design method. Also, requirements of passive radiometer for Earth observation missions in the latest practical examples used and developed are analyzed in this research.

Research Trend of Calibration Methods on the Satellite Microwave Sensors (지구관측용 마이크로파 위성센서의 검보정 연구 동향)

  • Jin, Kyoung-Wook;Yang, Koon-Ho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8 no.1
    • /
    • pp.33-44
    • /
    • 2010
  • Research trend of calibration methods on the satellite microwave sensors was summarized in this paper. In addition, current operational or following near-future Earth observing satellite missions were introduced. According to these missions, the particular calibration methods on the corresponding microwave instruments were describ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s and their scientific missions were also briefly explained.

  • PDF

Comparison of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Oceanic Buoys and Satellite Microwave Measurements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n Peninsula (한반도 서해 연안 해역에서의 해양 부이 관측 수온과 위성 마이크로파 관측 해수면온도의 비교)

  • Kim, Hee-Young;Park, Kyung-A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9 no.6
    • /
    • pp.555-567
    • /
    • 2018
  •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ifferences between microwave SST from GCOM-W1/AMSR2 and in-situ measurements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a total of 6,457 collocated matchup data were produced using the in-situ temperature measurements from marine buoy stations (Deokjeokdo, Chilbaldo, and Oeyeondo) from July 2012 to December 2017. The accuracy of satellite microwave SSTs was presented by comparing the ocean buoy data of Deokjeokdo, Chilbaldo, and Oeyeondo stations with the AMSR2 SST data more than five years. The SST differences between the microwave SST and the in-situ temperature measurements showed some dependence 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ind speed and water temperature. The AMSR2 SSTs were tended to be higher than the in-situ temperature measurements during the daytime when the wind speed was low ($<6ms^{-1}$). On the other hand, they showed positive deviation increasingly as the wind speed increased for nighttime. In addition, increasing tendency of SST differences was related to decreasing sensitivity of microwave sensors at low temperatures and data contamination by land. A monthly analysis of the SST difference showed that unlike the previous trend, which was known to be the largest in winter when strong winds were blowing, the SST difference was largest in summer in Deokjeokdo and Chilbaldo buoy stations. This seemed to be induced by differential tidal mixing at the collocated matchup points. This study presented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use of microwave SSTs with high contribution to the SST composites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f the Korean peninsula.

Analysis of Land Subsidence and Microwave Penetration on Drying Mudflat by using a Polarimetric Scatterometer Experiment (다편광 산란계 실험을 통한 개펄 건조시의 지반 침하와 마이크로파 침투 분석)

  • Lee Hoon-Yol;Chae Hee-Sam;Cho Seong-J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145-148
    • /
    • 2006
  • 새로 조성된 간척지 갯벌이 건조 수축하면 지반 침하와 더불어 토양 내로의 마이크로파의 침투 깊이가 증가한다 따라서 인공위성 DInSAR를 이용하여 지반 침하량을 구하고자 할 때, 건조 시 동시에 발생하는 마이크로파의 개펄 침투 현상을 규명하여 보정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편광 산란계(Polarimetric Scatterometer)를 구성하여 건조 개펄에 대한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PolScat의 구성은 5.0-5.6GHz 대역의 dual-polarization square horn antenna를 사용하였으며 Agilent 8753ES 벡터 네트워크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길이 2m, 폭 2m, 높이 20cm의 개펄 샘플을 약 6주 동안 실내에서 건조시켜 위상을 측정한 결과 지반 침하와 함께 약 4mm의 마이크로파 투과현상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인공위성 DInSAR 지반침하량 계산에 있어서 반드시 토양 수분에 따른 마이크로파의 토양 침투 깊이를 보정해 주어야 함이 밝혀졌다.

  • PDF

Composite technique development of rain rate by using COMS and microwave satellite (통신해양기상위성 및 마이크로웨이브자료를 이용한 강수량합성기술개발.활용)

  • Suh, Ae-Sook;Park, Jong-Seo;Kim, Do-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59-263
    • /
    • 200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 태풍, 폭설 등 악기상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특히 태풍은 단일 기상현상 가운데 가장 강력하며, 태풍으로 인하여 집중호우 폭풍 및 해일 등 부차적 악기상이 함께 발생하여 인명 및 경제 사회적인 피해 또한 막대하지만, 태풍으로 인한 강수량 측정은 다른 현상에 비해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 이것은 태풍이 발생에서 소멸까지 일생의 대부분을 해상에서 보내, 육상 관측으로는 정확한 강수량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성자료를 활용하면 해상에서의 태풍 구름에 의한 강수분포를 추정할 수 있으며, 특히 구름을 투과하여 아래 내부구조 파악이 가능한 마이크로파 영역의 적외복사에너지를 이용하면 좀더 정확한 강수량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관측영역 확대를 위해서는 가능한 마이크로파위성자료를 합성처리하여 활용하는 것이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상청에서 수신하고 있는 Aqua/AMSR-E, SSM/I, TMI, QuilSCAT 등에서 산출되는 강수량을 상호 검증기법을 이용하여 합성처리 하였다. 위성자료마다 정확도와 해상도가 다른 것에 대해서는 높은 정확도에 가중치를 주고, 고해상도 자료에 맞추어 픽셀 크기를 맞추었다. 사용한 자료는 2005년$\sim$2007년 간 발생한 태풍 중에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나비, 나리, 에위니아 등 3개 사례이며, 검증은 자동관측자료(AWS : Automatic Weather Station)자료와 일본 AWS자료(AMEDAS : Automatic Measurement Data Aquisition System) 및 미해군 연구소 발표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오차 분석 및 산포도를 분석하였다.

  • PDF

Technology Trends of Magnetic Components in Microwave Frequencies (마이크로파용 자성체 부품 기술동향)

  • Park, J.R.;Kim, T.H.;Lee, S.S.;Choy, T.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0 no.3 s.37
    • /
    • pp.151-163
    • /
    • 1995
  • 최근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 통신시스템의 급속한 발달과 더불어 마이크로파대에서 이용될 수 있는 통신기기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더우기 주파수자원의 활용범위가 고주파 광대역화되어 감에 따라 새로운 부품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그중 페라이트 자성체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부품은 가용주파수 대역을 고주파화 및 광대역화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위성통신 시스템 등에 활용가능성이 새로이 제안되고 있다. 본 고는 자성체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부품들인 칩인덕터, 박막인덕터, 정자파소자, 위상변위기 등의 개발현황에 대해 조사분석한 것이다.

A study on the Technological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an Low Earth Orbit Meteorological Satellite (저궤도 기상위성 개발 기술 기준에 관한 연구)

  • Eun, Jong-Wo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7 no.1
    • /
    • pp.116-121
    • /
    • 2012
  • For the purpose of drawing out the technological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an Low Earth Orbit Meteorological Satellite som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and microwave sensors on the payload were analysed by approaching theoretically. In addition, the channel requirements and interface requirements of the microwave sensors equipped on the payloads of the existing foreign Low Earth Orbit Meteorological Satellites were analysed with respect to the development of an Earth Orbit Meteorological Satellite payload. In this paper, the multipurpose satellite bus and the CAS 500 platform as the interface requirements of an Low Earth Orbit Meteorological Satellite, and core subsystem and principle functional requirements of a satellite control system were systematically described.

Analysis of Phase Noise Characteristics of Voltage-Control Microwave Oscillator (전압제어 마이크로파 발진기의 위상잡음 특성 분석)

  • 강진래;이승욱;김영진;이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10a
    • /
    • pp.242-245
    • /
    • 2001
  • 본 논문은 디지털 위성용 하향변환기에 적용되는 고안정 전압제어 마이크로파 발진기의 위상잡음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압제어 마이크로파 발진기는 능동소자의 비선형 등가모델과 궤환회로의 영향을 고려하여 유전체 공진 마이크로파 발진기를 위상잡음과 출력 전력에 절충(trade-off)하여 설계하였고, 13.25GHz의 발진주파수에서 출력이득은 12dBm이고, 위상잡음은 옵셋 주파수 100KHz 에서 -107.91dBc를 보였다. 바렉터 다이오드 동작에 의한 튜닝 범위는 2MHz/V로 위상동기 발진기에 응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Annu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Sea Ice in the Arctic Using AMSR-E (AMSR-E 위성자료를 이용한 북극 해빙 면적의 연변동 및 계절변동 조사)

  • Na, Jae-Ho;Yang, Chan-Su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159-162
    • /
    • 2009
  • 북극의 환경은 전 지구적으로 환경변화에 민감하다. 그중 해빙의 증가 및 감소는 지구의 온난화 진행의 지표로 작용을 한다. 따라서 향후 지구온난화의 진행 상황을 예측하기 위하여 북극 해빙 면적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 져야한다. 북극의 지역적, 환경적 특성상 인공위성을 이용한 원격 탐사가 가장 효과적이며 1970년대부터 수동 마이크로파 센서를 이용한 해빙관찰을 시작하였다. 현재 해빙원격탐사기술의 현황은 광학센서, 수동마이크로파센서, SAR 화상 등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중 본 연구에서는 수동 마이크로파 센서인 AMSR-E를 이용하여 북극을 중심으로 북위 $60^{\circ}$ 이내의 지역에서 2002년$\sim$2009년 동안의 북극 해빙 면적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북극 해빙 전체 면적의 증가 및 감소에 관한 변화를 관측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