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을계획

검색결과 476건 처리시간 0.021초

세계 농업협상 동향(世界農業協商動向)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65호
    • /
    • pp.57-61
    • /
    • 2008
  • 정부가 내주 중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혜민 외교통상부 FTA 교섭대표는 "비준동의안 국회제출에 필요한 절차는 모두 마친 상태, 당정간 협의를 거쳤으며 내주에 비준동의안을 국회에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주 사실상 타결된 한.인도 CEPA(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에 대해 이 대표는 인도가 일본, 유럽연합(EU) 등 이들 선진국과의 협상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이번 협상에서 인도 측은 상품에 따라 관세를 협정 발효와 함께 즉시 또는 5년 내 철폐 방안과 8년 내 관세 축소 방안, 8년 뒤 1-1.5% 관세인하 방안, 10년 내 기존 관세를 50% 감축하는 방안에 대해 우리 측과 합의했다.협상이 진행중인 한.EU FAT는 오는 7일과 19일 각각 수석대표 회담과 통상장관 회담을 갖고 자동차 기술표준과 원산지 등 핵심쟁점에 대한 절충을 벌일 예정이다

  • PDF

방촌마을의 생태주거단지 계획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Korean eco-housing in Bang chon village)

  • 최율
    • KIEAE Journal
    • /
    • 제2권1호
    • /
    • pp.33-40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 typical Korean traditional settlement for searching for planning criteria of ecological friendly housing estates. The interpreting framework is five environmental ecological ideas as the adaptation to the exterior of village, the eco-space in village, the interior of house, the cycling of material and the reasonable energy system, prevention of environment pollution and reduction of wastes. Through the interpretation, it has been found out that Bang chon village has been developed to an environmental ecological rational setting and has the meaningful elements for environmental friendly housing estates. Particularly, the spatial components of Bang-chon are characterized by the concept of multi-function, and diversity, which are worth of being considered as important planning of ecological friendly housing estates.

AI특별방역기간 이후 방역대책 추진계획 - 방역은 일상이다.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214호
    • /
    • pp.6-17
    • /
    • 2021
  • 날이 푸근해졌다. 철새들이 본격적으로 북상하며 HPAI의 검출건수도 상당히 줄었다. 지난해 11월 94만수, 12월 157만수까지 늘어났던 항원 검출 횟수는 올해 1월 148만수, 2월 86만수, 3월 47만수로 줄었고, 일평균 항원 검출 수도 1월 3.48건에서 3월 중순 0.2건으로 감소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항원 검출건수가 감소함에 따라 전반적 위험이 감소했다고 판단하고, 그 간 2차례에 걸쳐 연장됐던 특별방역대책 기간을 종료했다. 하지만 잔존 바이러스로 인한 위험성이 남아있어 방심하면 안된다는 것이 업계의 여론이다. 철새들이 가고 남은 곳의 분변과 깃털 등에 존재할 수 있는 바이러스 때문이다. 따라서 잠재적 바이러스에 의한 추가 발생 가능성에 따라 취약요인에 대한 강화된 방역 조치는 유지된다. 가금 농가는 농장과 관련 시설의 소독과 방역수칙 준수를 지속해서 신경 써줄 것이 요구된다.

  • PDF

2020년 오리자조금 사업안내 - 오리산업 제2의 전성기 '소비'로 꽃 피우다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200호
    • /
    • pp.12-17
    • /
    • 2020
  • 2011년 생산액 1조4,000억원을 기록한 오리산업은 반복된 AI(조류인플루엔자)로 상승세를 타던 오리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줄지어 문을 닫으면서 꺾이기 시작했다. 이로인해 2017년 오리 생산액은 8,700억원으로 6년만에 40%가 급감했다. AI의 주범인양 낙인찍힌 오리산업은 급기야 평창 동계올림픽을 대비해 시범적으로 실시했던 겨울철 오리농가 사육제한 사업이 3번째 시행되면서 정례화되는 모양세다. 사육제한으로 인한 강제적 수급불안으로 오리산업은 제2의 침체기를 맞는가 싶었지만 최근 오리소비량 증가로 인한 생산액 상승으로 1조원을 넘기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이같은 오리산업의 성장세는 정책적 외면 속에서도 오리산업 종사자가 스스로 일궈낸 재도약의 기회로 귀감을 사고 있다. 이 재도약의 기회를 발판삼아 오리산업이 또 한번의 부흥기를 맞을 수는 있을까? 오리자조금은 올해 가치 있는 오리고기 소비확산을 통한 오리산업의 재도약을 노리겠다는 복안이다. 오리자조금관리위원회의 2020년 사업계획을 자세히 들여다 본다.

  • PDF

원자력방재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Nuclear Disaster Prevention)

  • 이광표;이윤;김인현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9-175
    • /
    • 2007
  • 고리, 월성, 울진, 영광 등4개 원전부지와 하나로 연구용 원자로 부지에 대해 방사성물질의 대기 중 누출사고 발생 시 대축척 전자지도와 연계한 사고정보 파악, 예상피해분석, 방재시설 및 소개정보 활용 등을 통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방사능 물질 피해지역관리 및 신속하고 효율적인 주민대응조치 수립을 위한 의사 결정 지원할 수 있는 방사능방재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리, 월성, 울진, 영광, 대전지역의 원자력 발전소 및 연구용 원자로 반경 40km이내 지역의 행정경계, 도로, 등고, 수계, 건물 등의 일반지형지물정보와, 비상계획구역 내 마을의 상세정보, 집결지, 대피소, 교통통제소, 환경방사능감시기, TLD등의 방재시설물 위치 및 관련 상세정보, 관공서, 경찰서, 소방서, 보건소, 학교, 병원 등의 방재관련 지형지물 위치 및 관련 상세정보, 원전부지 내 인구분포, 보유 차량 분포, 농작물 재배 현황, 축산물 재배현황 등의 방재관련 사회통계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는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방사선 피폭영향 평가시스템(FADAS)의 예상평가결과를 전자지도 상에 표출하고, 이에 근거한 예상피해를 분석하며, 소개단계 대상 마을 검색 및 바람장 분석을 활용한 소개경로 제시 등을 통해 주민보호조치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사고대응 및 소개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웹 기반의 원자력방재 지리정보시스템을 확대 개발하였다. 방재시설물 및 방재관련 지형지물, 방재관련 사회통계자료의 검색기능 및 실시간 원전 바람장 정보조회, 실시간 ERMS 수집정보 조회, 수치예보 정보 조회, 온라인DB관리 등의 확대 구현을 통해 사고대응조치 및 피해분석업무를 지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원자력방재 지리정보시스템 완성을 통해 방사능 비상시 중앙본부와 지역본부 및 유관기관 간에 지리정보와 연계한 정확한 사고정보 및 방재정보의 신속한 공유를 제공하고, 적절한 비상대응조치 의사결정 및 주민보조조치 수행을 지원하여 효율적인 사고지역 관리 및 인적 물적 자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일본 가고시마 이즈미 후모토 마을의 근세 무사주택의 평면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Samurai Houses in Izumi Fumoto Village, Kagoshima, Japan)

  • 김윤상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5호
    • /
    • pp.29-38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group of samurai residences among other traditional Japanese villages and to accumulate the village-level sample data of a residential group, which can serve as the foundation for a wide range of discussions. Using data that had been gathered since 1989, this study draw up a prototype floor plans to analyze the indoor spatial features of the residences in the modern period, and sampled 35 samurai hous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Japanese houses were found among many Izumi Fumoto samurai residences up until the early Meiji period. However, after gradually the floor plan became more and more simplified; connections between rooms were reduced, decreasing their flexibility; and there was a rise in the number of houses with a larger area devoted to the Nando, a room for women and family members. The access of a visitor involved changes in one's eye-level view and establish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boundaries, which this study conjectures was used as a method to ensure that the visitor recognized the authority of the patriarch and to raise the family's reputation. As their floor plan was simplified, Izumi Fumoto samurai houses established one's eye view, boundaries, and procedures as a way to enhance the authority of the man of the family and the family's reputation. In addition, while there was an increasing number of residences that expanded the area of the Nando, in which family members slept and used the space in a stable way, they maintained the exclusivity of private space and did not clearly show who would use it.

마을 공동체 거점공간으로 활용되는 커뮤니티 센터 및 이용현황 분석 연구 - 대구광역시 커뮤니티 센터를 중심으로 - (The Analytical Research on Community Centers Used as Hub Spaces of Communities and Their Utilization Status - Focus on the Community Center in Daegu -)

  • 이현진;김영화;이상홍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9호
    • /
    • pp.31-42
    • /
    • 2018
  • With the rapid progress of urbanization today, communities among members of society have collapsed. For dealing with the collapse of communities, special laws regarding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and support were enforced and each local government founded community centers to revitalize urban village communities. These community centers were built to play a pivotal role in communities, but they have difficulties managing and supervis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mmunity center planning and revitalization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present state of community center spaces for creation of communities among residents and the present state of use so the existing purpose of establishment as a base space of village community revitalization can be achieved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first,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s of village community and community center were established, based on a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need of research was identified through consideration of preceding studies. Second, in relation to the present state of use, the present state of community center spaces, programs, management and supervision, locations and population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community center users' basic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consciousness of community centers were examin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method and analysis, this study is focused on providing basic data for community center revitalization and planning.

장수마을계획을 위한 S마을 풍수특성 기초조사 (Analysis on the Feng-Shui Characteristics of S village for the Longevity Village Plan)

  • 권영휴;고제희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9권1호
    • /
    • pp.13-25
    • /
    • 2007
  •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 village according to the Feng-Shui theory(風水理論). People's life span i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hereditary constitution, dietary life and life habits but recently there is an opinion that longevity village in Korea are commonly located in areas at a proper altitud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basic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 village from the viewpoint of Feng-Shui(風水). As for this study, it will be given help to a longevity village pla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field survey and map investigation of the natural geographic situation of S village focused on Ryong(龍, contiguous line of terrestrial stratum), Hull(穴, village location), Sa(砂, geographical feature of surrounding mountains), Su(水, water flow) and Hyang(向), which are Feng-Shui(風水) objects to be observ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 Village, which has mountains in the rear and a river in the front, was found to be in fine geographic situation equipped with Sashinsa(四神砂). According to the Feng-Shui theory(風水理論), the village was hang-ju-hyoung(行舟形), which means that people and properties flourish together. A shortcoming of the village was the absence of Ahnsan(案山) to block harmful winds blowing to the fore of the village. In addition, another shortcoming of the village in terms of Feng-Shui(風水) was the large variation of temperature because of its location surrounded by high mountains as if the village was situated inside a bowl. The Hyang(向) of village houses were arranged by the geographical feature and not by Feng-Shui(風水).

라오스 산촌마을의 생산구조전환을 위한 투자 경제성 기초 분석 (Fundamental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n the Transition of Production Structure for a Forest Village in LAO PDR)

  • 이보휘;김세빈;이준우;이학준;이상진;이중구;백운기;박범진;구승모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1-22
    • /
    • 2018
  • 본 연구는 라오스에 소재한 전형적인 농 산촌 마을을 선정하여, 마을 단위를 대상으로 생산구조를 전환할 경우의 소득증대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지는 라오스 쌍퉁구에 위치한 농부아 마을로써 산림지역이 혼재된 논농사 위주의 마을이다. 이 마을이 취할 수 있는 소득 제고 전략은 단기적으로 손쉽게 소득을 제고할 수 있는 작목으로 노니(Morinda citrifolia)가 꼽힌다. 사업 기간은 20년으로 가정하고, 1ha 면적에 $3m{\times}3m$ 간격으로 식재한 총 1,100본을 대상으로, 묘목 생존율과 노니 수매가격에 따라 시나리오 1, 2, 3을 구분하였다. 일반적으로 노니는 생장이 좋은 편이나, 본 연구에서는 생산 경험 부족, 병충해 등의 리스크를 감안하여 기본 시나리오 1을 묘목 생존율(=열매 생산량)을 기존 자료(하와이)보다 보수적으로 설정하였다. 시나리오 1은 노니 묘목의 생존율이 1년생이 50%, 2년생이 60%, 3년생부터 20년생까지 70%로 유지된다고 가정하였다. 시나리오 2는 묘목 생존율이 10%씩 감소되어 40%, 50%, 60%로 제약을 두었고, 시나리오 3은 묘목생존율이 10% 감소되고, 노니 수매가격 또한 10% 감소된 경우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조건하에 라오스 시장 할인율 10%를 기준으로, 3개 시나리오 모두 IRR이 각각 24.81%, 19.02%, 16.30%로 모두 경제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ha당 B/C도 각각 시나리오 1, 2, 3에 대해서 할인율 10%를 기준으로 모두 1.71, 1.47, 1.31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향후 농부아 마을은 대체 작목(노니)를 통한 저소득 영농구조를 탈피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을 시사하며, 각종 정부 및 민간 투자사업을 계획할 때 수행하는 사전진단 절차 단계에서 유용한 의사결정 정보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한계마을 정량적 기준제시를 위한 마을공동체 활동변화 분석 - 충청남도 부여군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Changes in Active Village Community for the Quantitative Criteria Presentation of Marginal Village - As a Target the Chungnam Province Buyeo Country-)

  • 엄성준;리신호;김숙종;정상숙
    • 농촌계획
    • /
    • 제22권3호
    • /
    • pp.119-129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quantitative standard of a marginal village. For the purpose, the study selected 43 villages with the population of 50 or less, the classification of a marginal village in accordance with advanced research and 47 villages with the population over 50 in Buyeo-gun region. The common reason of occurrence of a marginal village suggested by advanced research is a characteristic of a village or decline and extinction of a village rather than a simple index of population or aging rate. Therefore, the study assumed that decline of functions of the village would be caused by decline a function of communities consisting of the villagers. The study then assumed that the relatively low or 0 number or rate of participants would result in community functions. The study conducted t-test on basis of population and aging rate and an analysis to find the range with relatively larg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mmunities, participants and the rate of the participants, etc.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mmunity function began to decline when the population was less than 60~70 and the aging rate over 75%~85%. As the decline of functions of communities began in population of 70, the critical point was met when the population was 40 or less. With population of 40 or less, the young and the old group communities became extinct or showed rapid decrease in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study assumed that decline of functions of a village, a reason of occurrence of a marginal village would be decline of functions of communities, but there was no further analysis on decline or extinction of a village with population of 40 or less. There shall be further studies about whether a village of population of 40 or less is led to decline of a function or extinction of village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