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약성 진통제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4초

Capillary Column Gas Chromatography/Nitrogen Phosphorus Detector를 이용한 흥분제 및 마약성 진통제의 동시분석에 관한 연구 (Simultaneous Analysis of Stimulants and Narcotic Analgesics by Capillary Column Gas Chromatography with Nitrogen Phosphorus Detector)

  • 노동석;신호상;강보경;백형기;김승기;이정애;김영림;박종세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59-666
    • /
    • 1991
  • 질소를 함유한 흥분제와 마약성 진통제 18종류의 약물들을 gas chromatography-nitrogen phosphorus detector(GC-NPD)를 사용하여 human urine으로부터 동시에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최적조건을 찾기 위하여 pH 변화와 추출용매 변화에 따른 회수율을 조사하였다. pH 8.5에서 에테르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였을 때 가장 적은 방해영향과 가장 좋은 회수율을 나타냈다. NPD에 대한 각 약물들의 상대 감응인자를 구하였고, 이 상대감응인자는 약물이 가지고 있는 질소원자의 갯수가 증가할수록 작은 값을 나타냈다. 생체시료 중의 약물들을 신속하게 검정하기 위하여 내부표준물질인 diphenylamine에 대한 relative retention time(RRT)을 작성하였다. 상대머무름 시간은 0.1% 이하의 정밀도를 나타냈다.

  • PDF

고등학생(高等學生)의 약물(藥物) 남용(濫用) 실태(實態) (The actual conditions on drug abuse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city)

  • 조연숙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1-118
    • /
    • 1990
  • 학생들 간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약물 남용에 관한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1989년 3월 15일부터 3월 29일 사이에 부산 시내에 위치한 인문계 실업계, 남 녀 고등학교 각각 1개교씩 총 4개교의 학생 2,411명을 대상으로 지난 1년간 약물 남용실태를 설문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학생들의 24.4%가 흡연경험이 있었고, 현재 피우는 학생은 11.6%였으며, 실업계 학생이 인문계보다 더 많았다. 안정제, 최면제, 각성제를 제외한 모든 약물의 약명 파악률은 90% 이상이었고, 지난 1년간 복용경험자 비율은 진통제, 소화제, 자양강장제가 70~80% 수준이었고 각성제는 15.6%, 안정제는 1.4%, 최면제는 0.5%, 본드 1.4%, 신나 0.5%였다. 약물 사용 경험자중에서 매일 복용 혹은 사용하고 있는 자의 비율은 진통제 7.7%(145명), 소화제 6.2%(118명), 자양강장제 5.2%(96명), 안정제 5.9%(2명), 각성제 5.0%(19명), 마약류 2.8%(1명)였으나 최면제와 본드의 매일 사용자는 없었다. 이로 미루어 볼때 고등학생은 비마약성 약물의 남용이 심각하다고 하겠다. 약물을 치료목적 이외에 사용한 학생은 남 녀 각각 진통제 8.4%, 6.5%, 소화제 20.7%, 14.7%, 자양강장제 65.4%, 55.5%였으며 마약류는 우울할 때나 호기심으로 쓰는 율이 높았다. 특히 각성제는 대부분 공부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입시제도의 심각성이 지적되고 있다. 구입 장소별로는 마약류, 본드, 신나는 구멍가게나 행상, 친구에게서 구입률이 가장 높았고, 그 이외의 약품은 약국과 의료기관에서의 구입률이 높았다.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하여 모든 약물을 월등히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마약류의 사용은 흡연과 아주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 대상 학생들의 약물의 이름을 알고 있는 비율은 높으나, 약물을 타당한 목적(신체적, 정신적 건강향상)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약물의 처음 사용시기가 중학시절(14~15세)이 많았으며 호기심에서 사용한 율이 높아기 때문에 약물남용의 부작용과 의존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찍부터 고취시켜 줄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국민학교 교육과정에서부터 약물 남용예방을 위한 보건교육 및 홍보가 시급하다고 하겠다. 이와 함께 학생들의 금연에 관한 교육 및 홍보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약물을 약국, 구멍가게 등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었다는 사실로 보아 약물 통제를 위한 규제를 검토 보완해야 하며, 의약 분업의 조속한 실시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턱관절음양균형요법을 이용한 섬유근육통증후군 치험1례 (A Case of Fibromyalgia Treatment Using Yin-yang Balancing Therapy of Temporomadibular Joint (TMJ))

  • 이상배;이영준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2-36
    • /
    • 2020
  • 본 증례에서는 섬유근통 증후군을 진단받고 마약성 진통제와 링겔, 패치 등을 다년간 지속적으로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한의학적 치료인 턱관절음양균형요법으로 유의한 효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청년층의 성별에 따른 남용약물에 대한 사용실태와 인식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Abused Drugs by Gender Among Young People)

  • 정현주;박정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79-84
    • /
    • 2023
  • 본 연구는 청소년층에서 성인층으로 진입하는 청년층의 성별에 따른 남용약물에 대한 사용실태와 인식을 살펴 보기 위해 분석 가능한 설문지 1051부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청년들의 성별을 보면 남자 686명, 여자 365명이었으며, 성별에 따라 남용되는 약물의 종류와 마약류 및 남용약물에 대한 폐해 인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술, 담배, 식욕억제제, 진정수면제, 아편계열 진통제 사용 경험이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마약류 및 남용약물에 대한 폐해 인식 중 위험성과 유발문제인식, 위험성에 대한 공감에 대해서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마약류 및 약물남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안은 여성은 257명(68.2%)가 홍보(계몽) 활동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약류 및 약물남용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에 대해서 남성은 379명(54.2%)이 인터넷 온라인교육으로 나타났다. 남용약물에 의한 청년층의 약물 중독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약물사용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개흉술 후 동통억제에 대한 신경차단법 및 환자자가 치료법의 비교연구 (The study of Intercostal Nerve Block and Patient-Controlled Analgesia for Post-Thoracotomy Pain)

  • 김우종;이길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9호
    • /
    • pp.920-926
    • /
    • 1997
  • 개흉술후 동통으로 발생할 수 있는 술후 합병증을 예방하고 동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중의 하나인 마약성 진통제의 정주요법으로 술후 괄목할만한 진통효과를 보았다. 총 30명의 후측방 개흉술 및 늑골절제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통상적인 진통제의 근주를 시행한 환자 10명을 I 군으로, 경막외 신경차단을 시행한 환자 10명을 II군으로 그리고 환자 자가조절에 의한 지속적 정주 요법을 시행한 환자 10명 III군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혈압, 심박수, 호흡수 및 동맥혈 가스 분석상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II군과 III 군이 I군보다 기침 및.심호흡을 현저하게 잘하였다. 술후 2시간 후의 일회호흡량(tidal volume)의 회복률은 I군이 58.2$\pm$5.9%, II군이 77.9$\pm$ 11.7%, III군이 84.1 :5.8%로, III군은 II군보다, II군은 I군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술후 2,8시간 후에 실시한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의 회복률은 II군 및 III군 은 비슷하였으나, 각각 I군보다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 0.05). 수술후의 통증은 II, III군 이 I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수술측 부위의 운동도 원할하였고, 진통제 투여량에서도 I군보 다 감소 소견을 보였으며 수술후 회복도 보다 용이 하였다. 결론적으로 마약성 진통제의 지속적 정주요법 은 술후 폐기능 회복과 동통 완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경막외 신경차단법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수 술직후 2시간째의 폐기능 회복률에 있어서는 마약성 진통제의 정주요법이 경막외 신경차단법 보다 다소 효과가 좋았다..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조직형별 5년 생존율은 편평상피세포암이 43.1%, 선암이 23.3%, 거대세포암이 30.3%였다(p>0.05).치료법이며 앞으로 장기적인 추적검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icuspid valve pouch 19례), 우심실 유출로폐쇄(4례), 아급성심내막염(1례) 및 동반질환을 부가적인 수술적응으로 삼았다. 6. 수술후 관찰결과 사망률은 없었고, 잔존 심실중격결손증도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경삼첨판륜 절개방법(TATV)은 삼침판맹낭을 가지고 있는 막성주위형 심실중격결손증 (PMVSD) 수술시 좋은 방법이며, 또한 막성주위형 심실중격결손증(PMVSD)에서 수술시 시야를 좋게하고 수술후 삼첨판폐쇄부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량치가 뜻하는 의 미는 서로 달랐으며, 암조직내에서 대조조직내보다 CYFRA 21-1 치가 더 낮게 나온 것은 암세포내 에서는 세 포질 성분의 고갈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암세포의 활동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EGF-R은 세포벽내에 존재하는 수용체로서 암세포의 증식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대조조직보다는 암세포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이는 것은 종양 증식과 암표지자로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것이 수술 결과를 좋게 하는 방법이라고 사료된다.료의 축적을 통한 신생대동맥근위부 확쏭 진행여부에 주의를 기울여야하겠다.록 mosaic 형태로 외래유전자가 발현되었지만 대조구에서 87.0% (26/30개)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인 반면, G418 처리구에서는 모든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P<0.05). 그러나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의

  • PDF

비 마약성 진통제 DA-5018의 급성독성시험 (Acute Toxicity Study of DA-5018, A Non-narcotic Analgesic Agent)

  • 강경구;김동환;백남기;김원배;양주익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5권1호
    • /
    • pp.12-22
    • /
    • 1997
  • Intravenous and oral acute toxicity tests in ICR mice and SD rats and percutaneous acute toxicity tests in SD rats and NZW rabbi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toxicity of DA-5018 and DA-5018 cream, respectively Clinical signs observed in mice and rat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DA-5018 were similar regardless of administration route. The observed clinical signs were jumping, wild running, lacrimation, ataxia, reddening of extremities and ears, ventral or lateral recumbency, respiratory distress, cyanosis, convulsion and death. Pulmonary enlargement and hemorrhage were observed in the animals died immediately after the dosing of DA-5018. At terminal necropsy, pulmonary enlargement and hemorrhage, corneal opacity and focal scabbing and depilation around nose were seen. LD$_{50}$ Values of DA-5018 are 11.5 mg/kg (mice, male), 12.6 mg/kg (mice, female), 88.3 mg/kg (rat, male) and 73.2 mg/kg (rat, female) in oral toxicity tests and 11.0 mg/kg (mice, male), 18.7 mg/kg (mice, female), 0.12 mg/kg (rat, male) and 0.32 mg/kg (rat, female) in i.v. toxicity tests. In the percutaneous acute toxicity tests of DA-5018 cream, no deaths occured in all the tested groups during 14-day observation period. There were also no abnormalities in the general conditions, body weight changes and on necropsy findings in all groups. LD$_{50}$ values of 0.1 ~0.9% DA-5018 creams in male and female rats and rabbits are >2000 mg/kg./kg.

  • PDF

비 마약성 진통제 DA-5018의 변이원성 연구 (Mutagenicity of DA-5018, a Non-narcotic Analgesic Agent)

  • 강경구;백남기;김원배;양중익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4권3호
    • /
    • pp.224-231
    • /
    • 1996
  • DA-5018, a non-narcotic analgesic agent, was examined for mutagenicity in the reverse mutation test on bacteria, chromosomal aberration test on cultured mammalian cells and micronucleus test on mice. The reverse mutation test was performed by a plate incorporation method with or without a metabolic activation system(S9 mix)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 TA100, TA1535, TA98 and TA1537. DA-5018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revertant colonies in any of the test strains under any conditions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0049 to 1.25 mg/plate, compared with the vehicle control. In the chromosomal aberration test using cultured Chinese Hamster Lung(CHL) cells, DA-5018 did not increase the number of aberrant cell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9 mix at concentrations of 0.016 mM/plate to 0.25 mM/plate, compared with the vehicle control. In the micronucleus test, male ICR mice were given DA-5018 intraperitoneally at a dose level of 0.55, 1.10 and 2.20 mg/kg. The incidence of bone marrow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 in the DA-5018 treated mi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vehicl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A-5018 does not have mutagenic potential under the present test conditions.

  • PDF

만성 통증장애의 정신과적 치료 (Psychiatric Treatment of Chronic Pain Disorder)

  • 노승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2호
    • /
    • pp.256-262
    • /
    • 1999
  • 만성 통증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생물정신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치료는 다각적이고 포괄적인 체제하에서 상호 긴밀한 협력을 필요로 한다. 치료의 목표는 즉각적인 통증의 해소보다는 재활에 초점을 맞추어 환자의 활동과 기능이 증진됨에 따라 부수적으로 통증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정신과적 영역에서 만성 통증의 치료는 정신의학적 평가로부터 시작하는데 여기에는 스트레스와 연관된 통증의 정신생리적 기전과 이상 질병행동과 관련된 조작적 조건화 기전, 그리고 증상으로서 통증을 동반하거나 만성 통증에 의해서 유발되는 정신과적 질환들에 대한 평가가 포함된다. 정신과적 치료를 약물치료와 심리적 치료로 나눌 때 약물치료에는 마약성 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향정신성약물, 항경련제 들이 포함되는데 그 중에서도 항우울제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심리적 치료로는 역동적 정신치료와 행동치료적 방법들이 있고 행동치료적 접근법에는 자가조절기법과 조작적 조건화기법 등이 포함되는데, 환자가 갖는 대인관계의 어려움, 신체적 손상, 이상 질병행동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적용하게 된다.

  • PDF

말기 암 환자의 마지막 입원 동안 임종돌봄시의 약제들 (Medications at the End of Life Car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during Their Last Admission)

  • 김도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1호
    • /
    • pp.7-12
    • /
    • 2010
  • 목적: 말기 암환자들의 여명 돌봄 시 약제들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방법: 2005년 7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말기 암환자들의 임종 전 마지막 입원시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환자의 특성, 동반질환, 마지막입원 시와 임종당일 치료약제 분류, 임종일 약제 투여경로와 약제 가지 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81명의 환자가 포함되었고 환자의 중앙 연령은 63세였다. 중앙재원기간은 18일(범위: 1~101)이었다. 54%의 환자들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동반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 입원 시 가장 많이 처방된 약제들은 오피오이드 진통제(63%), 항생제(58%), 제산제와 항궤양제(53%)였고 임종당일 흔한 약제들은 항생제(59%), 제산제와 항궤양제(58%), 마약성 진통제(46%) 순이었다. 임종당일 정맥 내 주입은 81%의 환자에게 투여되었고 근육주사는 16%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임종당일 경구약제 투여 가지 수는 0에서 11가지 사이(중앙값: 3)였고 12% (10/81)의 환자들은 정맥 및 경구 투여 포함하여 8가지 이상의 약제를 복용하였다. 6% (5/81) 환자들은 비타민이나 스타틴 계열의 약제들을 임종 시까지 복용하고 있었다. 결론: 이 연구는 말기 암환자들에게 의미가 없을 수 있는 약제들과 이로 인한 불편한 돌봄이 제공됨을 시사한다. 말기 암환자들의 여명 돌봄 시 필수약제들의 투여와 불필요한 약제의 투여 중단으로 무의미한 약제투여를 줄이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수술환자에 었어서 마약성 진통제의 자가투여 방법과 근육주사 방법의 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Two Analgesic Administration Methods on Post Operative Pain)

  • 이정화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401-410
    • /
    • 1997
  • An acute pain is the common experience following surgery. Pain is a most miserable experience in person and most preoperative patients have fear o! postoperative pain. In nursing,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and relieve the pain of post oprative patients as much as possibl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escriptive patterns of pain between group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and group of traditional Muscular Injection in surgcal patients. This information can be utilited as data of understanding nursing care and treatment planning for pain in surgical pati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5 post-hysterectomy patients in Gynecology ward in C. N. U. H., in Taejon. Data was collected from May 12 to June 27. 1996. The instruma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ubjective Visual Analog Scale, Objedive nonverbal pain scale composed of Facial Apperance. Vocal Sound Change, and Sweating score. and the Melzack's Mcgill pain Qusetionaire. nine Items of Developmental Pain Intensity Scale by Lee En Ok.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using S. P. S. S. percentage, t-test, x²-test. ANOVA, and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Hypothesis 1 : There was very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self-report pain score(Visual Analog Scale) between PCA Group and IM Group(P=0.0001). 2. Hypothesis 2 : There was very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strength score (Visual Analog Scale) between PCA Group and IM group(P0.0001). 3. Hypothesis 3 : There was very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ial appearance score between PCA Group and IM group(P=0.0001). 4. Hypothesis 4 : There was very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 in vocal sound change score between PCA Group and IM group(P=0.0001). 5. Hypothesis 5 :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weating scores between PCA group and IM group(F=2.50, P=0.1220). But, postoperation time of 12, 24 was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0.0001). So, it was partially supported. 6. Hypothesis 6 : There was very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ocabulary pain score between PCA Group and IM group. 7. Hypothesis 7 : There was very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mounts of total analgesic between PCA Group and IM group. There was very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Analog Pain Score, Facial Appearance Score, Vocal Sound Change Score, Vocabulary Score, amounts of total analgesic between PCA group and IM group. So, It is verified to asses of postoperative pain with VAS, Checklist of facia appearance, vocal sound change, and sweating, and Vocabulary Sc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