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모

검색결과 2,589건 처리시간 0.031초

탄소 섬유 복합재의 마찰 및 마모 특성에 미치는 하중 효과 (Effect of load on the wear and friction characteristics of a carbon fiber composites)

  • 고성위;양병춘;김형진;김재동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4호
    • /
    • pp.344-350
    • /
    • 2004
  • 탄소 섬유강화 에폭시기지 복합재의 경면 가공한 스테인리스강 상대재와 마찰과 마모에 바탕을 둔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복합재의 비마모율은 하중이 증가하면 N방향와 P방향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AP방향에서는 감소한다. 이것은 마모 메카니즘의 영향으로 속도가 증가하면 마모 이착막의 생성이 빨라져 이착막 속의 탄소섬유가 윤활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2) 복합재의 마찰계수는 하중이 증가하면 N방향과 AP방향에서는 하중 39.2N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하중에서는 감소되며 AP방향에서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며, 또한 그 값은 N방향에서 가장 크고, AP방향이 가장 적다. (3) 일방향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의 마모 거동에 미치는 하중의 효과는 다르며 마찰초반에 발생한 섬유에 의한 쟁기질과 섬유 굽힘 및 미소크랙에 의한 섬유 균열과 파괴에 따른 마모 메카니즘의 형태에 의한 것이다.

탄소 섬유 복합재의 마찰 및 마모 특성에 미치는 속도 효과 (Effect of sliding velocity on the wear and friction characteristics of a carbon fiber composites)

  • 고성위;양병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4호
    • /
    • pp.337-343
    • /
    • 2004
  • 탄소 섬유강화 에폭시기지 복합재의 경면 가공한 스테인레스 강 상대재와 마찰과 마모에 바탕을 둔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방향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의 마모 거동에 미치는 미끄럼 방향의 효과는 다르며 작용하는 마모 메커니즘의 형태에 의존한다. (2) 상온에서 경면 가공한 스테인리스 스틸에 대하여 미끄럼이 일어나면 AP 방향에서 높은 마모 저항과 낮은 마찰계수가 관찰되었다. (3) 복합재의 비마모율은 미끄럼 속도가 증가하면 N방향과 P방향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AP 방향에서는 증가하다가 감소한다. 이것은 마모 메카니즘의 영향으로 속도가 증가하면 마모 이착막의 생성이 빨라져 이착막 속의 탄소섬유가 윤활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4) 복합재의 마찰계수는 미끄럼 속도가 증가하면 3방향 모두 증가하다가 일정한 값에 수렴하면 N방향이 가장 크며, P방향과 AP방향 순이다. 이는 N방향에서 마찰초반에 발생한 섬유의 쟁기질에 의한 상대재 표면의 손상과 돌기변형에 따른 것이며, AP방향의 마찰계수가 가장 낮다.

Fe-20Cr-1C-1Si 경면처리 합금의 고온 Sliding 마모거동에 미치는 Mn의 영향 (The Effect of Mn on the Elevated Temperature Sliding Wear Behavior of Fe-20Cr-1C-1Si Hardfacing Alloy)

  • 김근모;김준기;양영석;강성군;김선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9호
    • /
    • pp.937-942
    • /
    • 1999
  • Fe계 합금의 적층결함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Mn이 Fe-20Cr-1C-Si 경면처리 합금의 변형유기 상변태거동과 상온 및 고온 마모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5ksi의 접촉응력에 대하여 0~25wt.% Mn을 첨가한 시편은 모두 상온에서 마모손실량이 적은 우수한 마모저항성을 보였는데 Mn 첨가량이 5wt.% 이하인 시편의 경우 마모표면에서 ${\gamma}$$\longrightarrow$$\alpha$\`변형유기 상변태가 발생한 반면 15wt.% 이상 Mn을 첨가한 시편에서는 ${\gamma}$$\longrightarrow$$\varepsilon$변형유기 상변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0^{\circ}C$까지 고온 마모시험결과 ${\gamma}$$\longrightarrow$$\alpha$\`변형유기 상변태가 발생한 5wt.% 이하 Mn 첨가시편은 Mn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마모손실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Mn 첨가는 ${\gamma}$$\longrightarrow$$\alpha$\`변형유기 상변태에 있어서 고온 마모저항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Mn이 ${\gamma}$$\longrightarrow$$\alpha$\`변형유기 상변태의 M(sub)d 온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반면에 ${\gamma}$$\longrightarrow$$\varepsilon$변형유기 상변태가 일어난 15wt.% 이상 Mn 첨가 시편의 경우 Mn 첨가량 증가에 따른 고온 마모손실량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gamma}$$\longrightarrow$$\varepsilon$변형유기 상변태는 ${\gamma}$$\longrightarrow$$\alpha$\`변형유기 상변태에 비해 온도의 존성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유동층 연소로에서 국내탄 회재의 마모 특성 (Attri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Antracite Ash in Fluidized Bed Combustors)

  • 이시훈;김상돈;김재성;이종민
    • 공업화학
    • /
    • 제17권5호
    • /
    • pp.547-551
    • /
    • 2006
  • ASTM D5757-95에 따른 입자 마모 측정기와 lab-scale 유동층 연소로에서 국내 무연탄 회재와 모래의 입자 마모 특성을 실험하였다. 기체유속에 따른 마모 특성으로 비산 회재의 입도 분포, 마모 속도, 마모율 등을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유동층 층물질로 사용되는 모래보다 회재가 마모에 취약해 비산 회재의 발생이 높았으며 마모지수의 경우 5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기체 유속 변화에 따라 입자의 마모에 의해 미세 입자의 생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식을 따른다. $$\frac{dW}{dt}=-3.18{\times}10^{-7}(U-U_{mf})W$$.

고체윤활 Graphite 소재의 마모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ar Properties of Solid lubricating Greaphite Materials)

  • 양호영;김재훈;김연욱;하재석;박성한;이환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95-100
    • /
    • 2013
  • 동적 기밀구조에 사용되는 고체윤활재의 선택에 있어 중요 설계 변수들은 기밀성, 내마멸성, 윤활막의 형성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 그라파이트의 고체유할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들이 분석되었고 다양한 시험 조건들에 대하여 발생하는 마모거동이 왕복동 마모시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들과 비교되었다. 또한 윤활 막들의 생성에 대한 최적조건들이 그라파이트 소재의 특성들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사되었다. 마멸입자의 생성, 윤활 막의 생성, 윤활 막의 소멸의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이 마모 깊이의 변화와 통하여 마모 메커니즘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그라파이트 씰의 윤활막은 마모된 표면위에 마모 입자들의 응착에 의해 발생한 윤활막이 발생되었고 이는 마모특성에 매우 유용하였다.

마모그래피 적응적 임계화 방법 기반 미세석회화 분할 (Mammography-Adaptive Threshold Method Based Microcalcification Segmentation)

  • 전재현;엄원용;노용만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4-17
    • /
    • 2012
  • 현재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유방암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치료 방법으로 수년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마모그래피의 연장 선상이라 할 수 있는 CAD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미세석회화 검출에 적합한 CAD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서 미세석회화를 분할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기존의 미세석회화 분할 방법들 중에서 마모그램 영상에서 그레이 레벨 또는 컨트라스트를 임계화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관찰하는 사람에 따라 변동성이 높다. 변동성이 크다는 단점으로 인해 다양한 마모그램 영상들에서 최적의 성능을 얻어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찰자에 의해서 컨트라스트 임계값을 정하는 방법이 아닌, 마모그램 영상에 따라 적응적으로 임계값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를 보면 기존의 임계화 방법은 마모그램 영상마다 적합한 컨트라스트 임계값 변동이 크다. 그러나 제안된 방법은 마모그램 영상에 적합한 임계값을 찾아준다.

  • PDF

탄화규소-강 미끄럼에서의 마모특성 (A Tribological Study of SiC-Steel Couples)

  • 장복기;김윤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2
    • /
    • 1997
  • 건조 및 다습한 대기의 무윤활 또는 액체 윤활, 미끄럼 속도 그리고 온도 등 여러 조건 하에서 SiC-강 미끄럼 시 SiC가 나타내는 마모거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 SiC의 제조공정이 SiC 마모에 미치는 영향도 미끄럼 속도를 달리하면서 고찰하였다. 무윤활 미끄럼 시 대기 습도는 일종의 윤활제 역할을 하며, 특히 대기가 매우 건조한 조건 하에서 미끄럼 속도는 마모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SiC의 제조공정 및 재료표면의 거칠기는 미끄럼 속도의 크기여하에 따라 상이한 마모거동을 초래한다. 특히 온도는 마모를 심화시키는 요인이어서 윤활 미끄럼 조건 하에서도 마모를 크게 가속한다.

  • PDF

고 내마모성 혼합 금속복합재료의 연삭마모 (Abrasive Wear of Hybrid Metal Matrix Composites for High Wear Resistance)

  • 송정일
    • Composites Research
    • /
    • 제12권5호
    • /
    • pp.12-22
    • /
    • 1999
  • 알루미늄 기지 금속복합재료는 비강도, 비강성, 경도가 뛰어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높은 마모 저항으로 인해 점점 중요한 재료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C2B 알루미늄 합금을 기지재로 하고, 알루미나($Al_2O_3$) 및 탄소를 단섬유를 보강재로한 혼합금속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다양한 상대 마모 속도하에서의 연삭 마모 시험을 통해 금속복합재료의 상온 및 고온 마모 거동을 규명하였다. 금속복합재료의 마모 저항은 고속에서 보강재로 인해 향상되었다. 탄소 혼합 금속복합재료의 마모 저항은 탄소의 고체 윤활 효과로 인해 알루미나($Al_2O_3$) 복합재료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고속에서의 내마모성이 가장 향상되었다. 금속복합재료의 마찰계수는 상온과 고온에서 상대 속도의 변화에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항공, 바이오, 원자력 부품의 프레팅 마모 현상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fretting wear of aerospace, biomedical, and nuclear components)

  • 전태성;김경목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2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항공, 바이오 및 원자력 부품들에서 발생하는 프레팅 마모 현상이 비교 연구되었다. 프레팅 마모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실험적 인자들을 확인하였으며 각 부품에서 관찰된 실험 인자들의 크기들을 직접 비교하였다. 초당 진동수, 상대적 변위, 그리고 수직하중의 크기는 프레팅 마모가 발생하는 부품에 따라 다양했다. 프레팅 마모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최근 해결책들이 조사되었으며 저마찰 코팅 적층, 표면 처리, 기저 재료 및 접촉 형상 최적 설계 등이 해결책으로 소개되었다. 본 연구는 프레팅 마모 손상을 분석하고 마찰 부품을 설계하는데 유용한 방법과 해결책을 제공한다.

집전장치용 동계 주습판의 마모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Wearing Phenomenon of Cu-type Wearing Slider for the Rail Motor Car's Pantograph)

  • 김경섭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224-230
    • /
    • 2012
  • 전동차의 집전장치용 주습판은 형태와 재질에 따라 마모현상에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강수량에 따른 이상마모, 아크에의한 급격한 이상마모는 전차선과 주습판의 수명을 결정하는 주요인자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현차 실험을 통하여 우수한 전기전도도 및 내아크성을 가진 동계주습판의 마모현상을 정상마모 특성이 관찰된 동계주습판과 우천 시 국부적으로 이상마모 특성이 관찰된 동계주습판에 대하여 강수량, 주행거리 및 주습판의 교환 후 중량을 상호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트라이볼로지적 접근을 통하여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철계습판체의 적용 필요성을 본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