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링크레벨요소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OFDM 시스템 레벨 성능분석 방법

  • Lee, Hui-Su;Jeong, Hyeon-Gy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7
    • /
    • pp.89-95
    • /
    • 2007
  • 본고에서는 시스템레벨 성능분석 시에 필요한 링크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다룬다. 링크 시스템 인터페이스는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에 대하여 언급한다. 또한 OFDM 시스템 적용 가능한 링크 시스템 인터페이스들을 actual link curve와 effective SINR 방법으로 크게 분류하고 이들의 장단점을 살펴본다. 또한 각 방법들에 대하여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에 대하여 언급한다.

Bicyclist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Impacts on Route Choice Using Stated Preference Survey in Commuting Time (통근시간대 자전거이용자의 이용행태특성 및 경로선택 영향요인 분석)

  • Lee, Jae-Y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5
    • /
    • pp.77-87
    • /
    • 2010
  • In the last five years, Korea has supplied many more bicycle facilities than in the last several decades combined. However, have bicyclists increased in proportion to investment? If bicyclists are avoiding existing bicycle related facilities, including off-road bicycle facilities, it could be because suppliers did not consider bicyclists' preferences in their planning process. In this paper, the authors tried to understand the bicyclists' behavioral and route choice characteristics using stated preference surveys and a logit model, using commuting tim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The results show that nine factors affect the route choice behavior of bicyclists. In particular, bicyclists preferred sub-arterial roads to off-road, dedicated bicycle facilities in residential area. It means that bicyclists like a seamless bicycle route and that a buffer zone between car lanes and bicycle lanes or 50 km/h speed limits for cars are necessary for bicycle lanes that are not physical separated.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에서의 SS No.7 트래픽 제어 방법 연구

  • Park, Jun-Hyeok;Im, Seon-Bae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7 no.1
    • /
    • pp.114-120
    • /
    • 1992
  • 이동 가입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중 육상이동 통신망은 SS No.7 공통선 신호망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 구성요소 (HLR, VLR, MSC 등) 들을 연결시킨다. HLR, VLR 등은 SS No.7 에서 신호점의 형태로 구현되며 이러한 신호점들은 신호 메시지 중계기능을 갖는 신호 전달점과 신호 메시지 전송기능을 갖는 신호링크를 통하여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신호 메시지 전송시 신호링크의 혼잡상태로 인한 트래픽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의 해결을 위한 트래픽 제어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SS No.7은 고유의 레벨-3 트래픽 제어 방법(Congestion Control Scheme)을 이용하여 신호 링크 혼잡시 신호 메시지 발신 신호점을 제어한다.

Scheme for building and application of transportation thematic map (교통주제도 구축 및 활용 방안)

  • Choi Jung-Min;Choi Ae-Sim;Eom Woo-H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211-216
    • /
    • 2006
  • 교통주제도는 건설교통부와 한국교통연구원이 ${\ulcorner}$국가교통DB구축사업${\lrcorner}$의 일환으로 제작한 것으로, 국토지리정보원의 NGIS 수치지도(축척 1:5,000)를 기반으로 하여 현장조사 및 문헌조사를 통해 갱신, 보완하여 교통 분야의 활용에 적합하도록 구축한 GIS 수치지도이다. 교통주제도는 현장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구축되며 이중 교통시설물조사는 문헌자료(준공도로현황 등)를 참고하여 산정된 조사대상에 대하여 GPS 조사시스템을 활용, 도형 및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조사항목은 도형정보(노드, 링크) 및 속성정보(차선수, 도로번호 등)이며 GPS 조사시스템과 조사원장(도면)을 이용하여 조사한다. 교통시설물조사와 문헌자료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단위도엽(1:5,000기준)별로 교통주제도에 반영되며 최종적으로 전국단위의 통합자료로 구축된다 교통주제도는 사용목적과 축척기준에 따라 단순화되며 이를 교통주제도 레벨이라 한다. 교통주제도의 레벨은 총 4단계로 구분되며 현재 레벨2에서 레벨4까지 구축되고 있다.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교통시설투자계획, 수요분석, 타당성 평가와 같은 교통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료이다.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교통주제도보다 더 단순화된 도로망 모델로서 구성요소는 노드(시점, 종점, 죤 센트로이드)와 링크(도로망, 센트로이드 커넥터)이며 도로의 기하구조보다는 논리적 구조(방향성, 노드/링크 연결성 등)에 중점을 둔 데이터이다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교통주제도의 도형과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하며 각종 통계자료(도로교통량통계연보 등)를 활용, 구축된다.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구축시점에 따라 현재 및 장래 네트워크로 구분되며 장래 네트워크는 기준년도부터 2031년까지 5년 단위로 계획된 장래도로를 반영하여 구축된다. 교통주제도 및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국가교통DB구축사업을 통해 구축된 자료로서 교통체계효율화법 제9조의4에 따라 공공기관이 교통정책 및 계획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건설교통부의 승인절차를 거쳐 제공하며 활용 후에는 갱신자료 및 활용결과를 통보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되어있다. 교통주제도는 국가의 교통정책결정과 관련분야의 기초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ITS 노드/링크 기본지도로 활용되는 등 교통 분야의 중요한 지리정보로서 구축되고 있다.

  • PDF

QoS Control and Link-Level Performance Analysis for Mobile IP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이동인터넷을 위한 QoS 제어 및 링크레벨 성능분석)

  • 조정호;김광현;이형옥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5 no.5
    • /
    • pp.941-950
    • /
    • 2001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integrated network architecture for supporting mobile IP in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nd propose the end-to-end QoS control mechanisms of DiffServ and QoS control functions of each network element in the proposed network. First, the QoS supporting schemes of IMT-2000 are described. Second, the necessities of integrating the networks are discussed and the integrated architecture are proposed. Third, the mapping between wireless channels and DiffServ classes are presented. Finally, the end-to-end QoS control mechanisms are proposed. We also analyze the link level protocols with QoS provisioning for mobile multimedia assuming that the system support voice and data traffic simultaneously. In case of data traffic, the delay and throughput of SREJ ARQ and Type-1 Hybrid ARQ scheme are compared, and In case of voice traffic, the packet loss rate of BCH coding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varying data traffic loa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aptive link level protocols are efficient to meet the QoS requirements while the complexities are increased.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Payload Signature based Traffic Classification System (페이로드 시그니처 기반 트래픽 분석 시스템의 성능 향상)

  • Park, Jun-Sang;Yoon, Sung-Ho;Park, Jin-Wan;Lee, Hyun-Shin;Lee, Sang-Woo;Kim, Myung-Sup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9B
    • /
    • pp.1287-1294
    • /
    • 2010
  • The traffic classification is a preliminary and essential step for stable network service provision and effici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While a number of classification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in literature, the payload signature-based classification method shows the highest performance in terms of accuracy, completeness, and practicality. However, the payload signature-based method has a significant drawback in high-speed network environment that the processing speed is much slower than other classification method such as header-based and statistical methods. In this paper, We describes various design options to improve the processing speed of traffic classification in design of a payload signature based classification system and describes our selections on the development of our traffic classification system. Also the feasibility of our selection was proved through experimental evaluation on our campus traffic trace.

A study on Cancel key function and spatialization metaphor in mobile (모바일 폰에서 [이전]기능과 사용자 공간 은유에 관한 연구)

  • Seo, Kyung-Ja;Song, Hyun-Chu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059-1063
    • /
    • 2009
  • 모바일 폰의 메뉴 구조는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며 링크의 연결로 페이지 정보를 전달하거나 하부 카테고리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모바일 폰 사용자는 메뉴 조작을 통해 기능을 실행하며, 이 과정에서 선형구조, 계층형 구조, 대화형 구조, 데이터베이스 구조, 혼합구조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경험하게 된다. 사용자는 모바일 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면서 추상적 개념의 공간 인지를 구체적인 공간으로 이해하려 한다. 즉 UI, GUI에서 제시하고 있는 Label이나 방향표시를 따라 상하좌우라는 공간적 개념으로 은유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하드키 단말의 경우는 상하좌우키를 이용하여 공간을 이해했다면 최근에는 터치 및 제스처 동작 인식이 가능한 폰이 등장하면서 좌우 flick, 상하 flick 등과 같은 구체적인 행동으로 디바이스 화면에서 공간이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자의 공간 은유를 이해하기 위해 상위 depth로 이동하는 [이전] 키의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방법보다는 [취소]를 이용하여 depth를 이동하는 것이 사용자의 모바일 폰의 공간 은유 파악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기 때문이다. 둘째, [이전], [취소]라는 Label이 가지고 있는 모호성 때문이다. 모바일 폰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이전]는 전체 사용에 있어 아주 작은 요소에 불과하지만 사용자는 정해진 순서의 process에 따라 기능을 수행할 때와는 다르게 역 방향 Process를 사용하면서 모바일 폰의 구조를 이해하고 모바일 공간을 인지하는 중요한 요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으로 돌아가는 [이전]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메뉴의 층위 구조 및 공간 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자 한다. 실험을 위해 모바일 폰을 자주 사용하고 있는 20~30대 남녀 10명의 피험자에게 전화번호부, 앨범, 문자메시지의 목록화면과 상세보기 화면을 제시한 후 마지막 상세보기 화면에서 실험에서 제시하는 제시어를 보고 어느 화면으로 이동하게 될 것인지를 예상하는 질문을 하였으며, 그러한 이유에 대해서는 인터뷰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폰 공간인지는 동일한 레벨의 단계 즉 상세보기의 경우는 수평의 관계라고 보고 있으며, 목록화면과 상세화면의 관계는 상하의 관계라고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를 인터뷰를 통해 질문하였을 때, 상세화면에서 좌우 방향표시가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높았으며, 상세보기 화면이 좌우라고 인식하면 목록화면은 상하의 관계로 이해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즉 하나의 정해진 공간인지를 통해 다른 공간을 유추하여 생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결과적으로 실제 단말에서 [이전] 기능을 상위 depth로 이동하도록 설계하였다면 [한단계위]라는 Label 또는 e번과 같은 상위의 개념을 포함한 아이콘을 사용한다면 혼란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논문에서는 [이전]라는 기능으로만 사용자의 공간 개념을 예측할 수 있었지만, 터치스크린의 등장과 함께 플릭과 같은 다양한 제스처에 의한 인터렉션이 가능한 현 시점에서 추상적인 공간은 방향성을 가진 제스처에 의해 구체적인 물리적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더욱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용자의 공간인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Label과 방향성 표시는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며, 이후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의 공간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