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림

Search Result 4,45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tudie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Seonghwoanglim(Natural Monument No. 93) in Wonju (원주시 성황림(천연기념물 제93호)의 식생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 백길전;김갑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1
    • /
    • pp.61-69
    • /
    • 1999
  • 본 연구는 치악산국립공원에 위치하는 성황림의 산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20개의 조사구를 성황림의 평지림과 사면림에 설정하고 조사하였다. 성황림의 산림군집은 졸참나무 - 복자기나무군집과 고로쇠나무 - 층층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평지림의 졸참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평지림의 졸참나무 - 복자기나무군집으로 복자기나무 - 졸참나무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이라 판단되며, 사면림의 고로쇠나무 - 층층나무군집으로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된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느릅나무와 으름덩굴.복자기나무.줄딸기, 복자기나무와 으름덩굴, 회잎나무와 졸참나무, 참회나무와 국수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아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동질적인 지위(niche)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뽕나무와 쪽동백나무, 복자기나무와 쪽동백나무.당단풍 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이질적인 지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2303~1.2741로 높은 종다양성을 보였다.

  • PDF

Structure and Dynamics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in Wando Island (완도지역 붉가시나무림, 상수리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의 구조와 동태)

  • Park, In-Hyeop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3
    • /
    • pp.406-411
    • /
    • 2012
  • Structure and dynamics for three type forests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were studied in Wando island, Korea. Quercus acuta and Quercus acutissima forests were natural forest and Pinus rigida forest was a about 30-year-old plantation. Density of tree layers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was 2,250 trees/ha, 760 trees/ha, and 1,560 trees/ha, respectively. Mean DBH of tree layers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was 12.1 cm, 14.3 cm, and 14.1 cm, respectively. Total basal area of tree layer and subtree layer was $37.1m^2/ha$ for Quercus acuta forest, $19.0m^2/ha$ for Quercus acutissima forest, and $29.2m^2/ha$ for Pinus rigida forest, respectively. According to importance percentage, Camellia japonica was the first dominant species in subtree and shrub layers of all of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forests. Species diversity(H') of forest total was 0.814 for Quercus acuta forest, 0.956 for Quercus acutissima forest, and 0.866 for Pinus rigida forest, respectively. According to diameter distribution, Quercus acuta forest was supposed to remain unchanged for a long time. Quercus acutissima forest was changing to Camellia japomica forest and Pinus rigida forest was changing to Quercus acuta-Camellia japonica forest.

고추 무농약 재배시 비가림 재배 및 시설환경 개선 효과

  • Yang, Seung-Gu;Seo, Yun-Won;Kim, Jeong-Geun;Choe, Gyeong-Ju;Lee, Je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8.12a
    • /
    • pp.111-118
    • /
    • 2008
  • 1. 고추 무농약재배 비가림 시설재배 효과 무농약 고추 노지 터널재배와 비가림 재배의 수량성을 검토하고, 관행 비가림 시설에 측고와 동고를 높이고 가로대를 보강하여 최소한의 투입으로 작물재배 환경을 개선으로 농작업에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비가림 시설재배가 노지 터널재배에 비하여 생육이 양호하고. 수량이 2배정도 많았다. 노지재배 고추는 강우로 인하여 탄저병이 40% 정도 발생되었으나, 비가림 시설재배는 탄저병과 역병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2. 고추 비가림 시설 환경 개선 효과 구명 비가림 시설의 측과와 동고를 높이는 간단한 환경개선으로 여름철은 시설내 온도가 관행 비가림 시설보다 낮아지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비가림 시설환경 개선에 의해서 "녹광" 풋고추의 생육은 증가되었으며, 홍고추 "조양" 품종도 같은 경향이었다. 고추의 수량은 풋고추 "녹광" 품종이 홍고추 "조양" 품종보다 수확량이 현저하게 많았고 처리간에는 비가림 시설의 환경을 개선한 시설이 관행 비가림 시설에 비하여 증수되었다. 그리고 비닐온실의 측고를 높인 결과 비닐 온실 내 측면으로 사람의 통행이 자유로워 작업환경 도도 개선되었다.

  • PDF

Enhancement of the SWAT-REMM System for Simulation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with Riparian Buffer System (하천 일부 구간에서의 수변림 조성에 따른 수질 개선 효과 모의를 위한 SWAT-REMM ArcView GIS 시스템의 개선 및 평가)

  • Lim, Kyoung-Jae;Cho, Jae-Pil;Kim, Ik-Jae;Kim, Nam-Won;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90-1294
    • /
    • 2008
  • 유역내 비점오염 부하량의 증가로 인하여 그동안 많은 수질 개선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그 중 하나의 대안으로 수변림 조성이 거론되고 있으나, 현재 수변림 조성에 따른 수질 개선 효과 평가 방법의 부재로 유역내 어느 곳에 어떠한 식생을 조성해야 할지 정확한 판단을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SWAT-REMM Prototype 버전이 개발되었으나, 다른 유역에 적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SWAT-REMM Prototype 버전은 소하천내 모든 유역내 수변림을 조성한다는 가정하에 수변림 조성에 따른 수질개선효과를 모의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상당부분의 하천에서는 여름철 집중강우로 인한 수해 발생으로 많은 구간이 석축과 같은 정비사업이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구간에 대해서 수질 개선을 목적으로 수변림을 조성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SWAT-REMM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역 전체 모든 하천이 아닌, 하천 일부구간에 대해서 수변구역을 조성에 따른 효과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많은 요구가 있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WAT-REMM Prototype 버전의 여러 가지 기능을 수정 보완하였으며, 도암댐 유역내 모든 하천에 대해서 수변림 조성에 따른 수질 개선 효과를 모의 분석하였다. 수변림 조성은 1차 하천 (지천)에 대해서는 하천 양안 1m 정도의 초생대를 조성한다고 가정하였고, 최고 차수 하천인 도암댐 유입 송천에 대해서는 하천 양안 10m 의 수변림을 조성한다고 가정하여 수질 개선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당량의 유사가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 유역내 설치된 수변림에 의해서 저감되는 것으로 모의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한 수변림 조성 시나리오는 현실적으로 실행하기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수변림 조성 적지 분석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하천 구간 수변림 조성 시나리오 모듈을 이용한다면, 보다 현실적인 수변림 조성에 따른 유사저감효과를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SWAT-REMM ArcView GIS: http://www.EnvSys.co.kr/$\sim$swat-remm)

  • PDF

생크림 위에 올려진 견과류 축제 호두 케이크

  • Kim, Jin-Mi
    • 베이커리
    • /
    • no.8 s.457
    • /
    • pp.128-129
    • /
    • 2006
  • 호두 케이크는 신선하고 달콤한 생크림 케이크 위에 호두, 대추, 밀감, 파인애플이 듬뿍 올려진 선물용 케이크의 베스트 셀러이다. 부드러운 모카 제누아즈에 생크림을 얆게 샌드해 생크림을 얆게 샌드해 생크림 케이크가 부담스러운 어른들에게 가벼운 디저트 간식으로 그만이다. 케이크 위에 올려진 다양한 과일이 아이들의 입맛까지 사로잡는다.

  • PDF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a Natural Quercus variabilis Forest and a Populus alba × P. glandulosa Plantation at Mt. Mohu Area in Chonnam (전남(全南) 모후산지역(母后山地域) 굴참나무천연림(天然林)과 현사시나무인공림(人工林)의 물질생산(物質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 Choi, Young Cheol;Park, In Hyeo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2 no.2
    • /
    • pp.188-194
    • /
    • 1993
  • A natural Quercus variabilis forest and a Populus alba${\times}$P. glandulosa plantation in Mt. Mohu area were studied to investigate aboveground biomass and net production. A $20m{\times}30m$ quadrat was set up in each stand, and 10 sample trees each of Quercus variabilis and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were cut for dimension analysi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accuracy among three biomass regression models of logWt=A+BlogD, $logWt=A+BlogD^2H$, and logWt=A+BlogD+ClogH, where Wt. D, and H were dry weight, DBH, and height, respectively. Aboveground total biomass of Quercus variabilis stand was 31,275kg/ha, and that of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was 55,581kg/ha. In both of Quercus variabilis stand and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stand, the proportion of each tree component to abovegound total biomass was high in order of stem wood, branches, stem bark, and leaves. Quercus variabilis stand was higher in the proportion of stem bark, branches and leaves than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stand, while the former was lower in that of stem wood than the latter. Aboveground total net production of Quercus variabilis stand was 4,267kg/ha/yr., and that of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stand was 3,903kg/ha/yr. The proportion of each tree component to aboveground total net production of Quercus variabilis stand was high in order of leaves, stem wood, branches, and stem bark. That of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stand was high in order of stem wood, leaves, branches, and stem bark. Net assimilation rate and efficiency of leaf to produce stem of Quercus variabilis stand were 2.121 and 0.840, respectively. Those of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stand were 3.376 and 2.085, respectively. Though Populus alba${\times}$P. glandulosa stand was lower in aboveground total net production than Quercus variabilis stand, the former was higher in aboveground total biomass than the latter. The reason was that Populus alba${\times}$P. glandulosa stand was higher in net production of stem wood of accumulation organs than Quercus variablis stand.

  • PDF

Distribution of Carabid Beetles(Coleoptera: Carabidae) in different forests of Central Kangwon-do (강원 중부지역 산림내의 딱정벌레과(科) 분포에 관한 연구)

  • Chang, Suk-Jun;Kim, Jong-Ku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16 no.1
    • /
    • pp.42-49
    • /
    • 2000
  • This study deals with the structure of Carabid beetle community surveyed in different stands.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of Carabid beetles were 1,162 individuals, 23 species, 10 genera in the Pinus densiflora stand, 418 individuals, 23 species, 11 genera in the Pinus koraiensis stand, 782 individuals, 25 species, 11 genera in the Larix leptolepis stand, 1,383 individuals 25 species, 12 genera in the Quercus variabilis stand. Dominant species were Synuchus cycloderus(19.8%), Synuchus nitidus(16.6%), Pterostichus pertirax(16.2%) in the Pinus densiflora stand. Pterostichus sp.1(27.9%), Synuchus nitidus(24.4%), Synuchus cycloderus(10.2%) in the Pinus koraiensis stand, Synuchus sp.1(40.0%), Synuchus nitidus(9.3), Pterostichus sp.1(7.4%) in the Larix leptoepis stand. Pterostichus sp.2(17.4%), Synuchus cycloderus(14.4%). Pterostichus pertirax(14.1%) in the Quercus variabili stand. Shannon species diversity index(H') in the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Quercus variabilis stand were 2.11, 2.25, 2.23 and 2.32 respectively and Evenness index(J') were 0.64, 0.72, 0.69 and 0.72, respectively. Community similarity index showed the lowest value (0.66) between Quercus variabilis stand and Pinus koraiensis stand and the highest value (0.83) between Pinus densiflora stand and Larix leptolepis stand.

  • PDF

Analysis of Forest Fuel Quality by Forest Fire Damage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 분석)

  • Kwon, Chun-Geun;Lee, Si-Young;Lee, Myung-Woog;Lee, Hae-Pye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6-196
    • /
    • 2011
  •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 분석을 위하여 산불피해의 조사지역은 2009년, 2010년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고성지역과 양양지역, 강릉지역과 삼척지역을 조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고성군의 경우 숲구조가 유령림인 활엽수림이 2개소, 칩엽수림 1개소, 장령림인 활엽수림 2개소로 총 5개소, 양양군은 숲구조가 유령림인 침엽수림이 1개소, 장령림 침엽수림 2개소 총 3개소, 삼척시의 경우는 숲구조가 유령림인 침엽수림이 1개소 외 대조구 장령림 침엽수림 1개소, 강릉시의 경우 숲구조가 장령림인 침엽수림이 3개소 총 13개소를 각각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를 조사하기 위한 조사지 규모는 $10m{\times}10m$로 하였으며, 현장 조사 항목은 조사지내의 산불피해 상태, 조사지 지형특성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산불피해 상태는 산불진행방향, DBH, 총수고, 지하고, 고사여부, 편면연소, 밀도, 수간피해율, 수관피해율 등을 조사하였고, 조사지의 지형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지의 위치(GPS), 해발고도, 사면방위, 산지경사, 지형을 조사하였다. 현장조사를 위한 조사장비로는 조사지의 지형도, 야장, 디지털 카메라, GPS, 수고측정기, 직경테이프, 캘리퍼, 50m 줄자 2개, 2m 폴대, 클리노메타, 바인더끈 등을 사용하였다. 산불사례 현장조사를 통해 임목고사여부, 편면연소, 수간피해율, 수관피해율 등의 산불피해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료의 특성별 유령림과 장령림의 편면연소율은 유령림은 97.3%, 장령림은 16.5%로 유령림의 편면연소율이 장령림보다 80.8%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관피해율은 유령림은 95.4%, 장령림은 19.9%로 유령림의 수관피해율이 장령림보다 75.5%더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임목고사율은 유령림은 73.8%, 장령림은 24.5%로 유령림의 임목고사율이 장령림보다 49.3%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Functional and Ecological Features of Seoul Forest (서울숲의 기능과 도시림으로서의 생태적 요소 분석)

  • Kong, In-Gyu;Oh, Hyun-Suk;Lee, Hee-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830-83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도심공원이 증가하고 환경의 생태적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생태공원의 존재가 부각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국가에서도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생태공원이 점차 확대되어감에 따라 도시림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서울숲의 기능과 생태적요소를 알아보고 향후 도시림의 설치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 도시림의 문제점을 도출해 낸 후 서울숲의 기능과 생태적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국내의 도시림이 가져야할 기능과 요소들을 파악해 향후 도시림에 그러한 기능과 요소를 도입시켜 국내 도시림이 더욱 생태적인 공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from Rainfall to Stream Water Quality in Small Forested Watershed - pH, dissolved oxygen, electrical conductivity - (산림유역내(山林流域內) 강수(降水)로부터 계류수질(溪流水質)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분석(分析) - pH, 용존산소(溶存酸素),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 -)

  • Park, Jae-Hyeon;Woo, Bo-My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6 no.4
    • /
    • pp.489-501
    • /
    • 1997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water quality such as pH, dissolved oxyge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rainfall, throughfall, soil water(A and B layer), and stream water quality at a small forested watershed. Rainfall, throughfall, soil water(A and B layer), and stream water were sampled at the study sites in Kwanak Arb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Mt. Kwanak for 14 months(Jul. 1, 1996~Aug. 31, 1997). Average rainfall pH value was 6.06(ranged from 5.02 to 6.60). Acid rain frequency(less than pH 5.6) was 16.7%. The lowest rainfall pH value was 5.02. Average of pH values in hydrological processes were decreasing in the following order, stream water>soil water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B layer>A layer)]>throughfall(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soil water [Carpinus laxiflora(B layer >A layer)]>throughfall(Carpinus laxiflora)>rainfall>soil water [Pinus rigida(B layer>A layer)]>throughfall(Pinus rigida). pH values of throughfall in Prunes serrulata var. spontanea and Carpinus laxiflora were higher in Pines rigida. Average of dissolved oxygen values in hydrological processes were decreasing in the order, stream water>throughfall(Carpinus laxiflora>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Pines rigida)>rainfall>soil water [Prunes serrulata var. spontanea(A layer)>Pines rigida(A layer)>Carpinus laxiflora(A layer)>Prunes serrulata var. spontanea(B layer)>Pines rigida(B layer)>Carpinus laxiflora(B layer)]. And average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in hydrological processes were decreasing in the order, soil water (B layer>A layer)>throughfall(Pinus rigida>Prunes serrulata var, spontanea>Carpinus laxiflora)>stream water>rainfall.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of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g^{2+}$, $Na^+$, total amount of cation, total amount of ion, and no. of before non-rain days in rainfall, throughfall, soil and stream water shows high significance(Multi R; 0.8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