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리파제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교세포에서 Epigallocatechin Gallate에 의한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화 (Epigallocatechin Gallate Activates Phospholipase D in Glioma Cells)

  • Kim, Shi-Yeon;Kim, Joonmo;Min, Do-Sik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24-932
    • /
    • 2003
  • 녹차의 주성분인 에피갈로 갈레이트 (EGCG)는 건강에 이로운 효과로 나타내고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EGCG가, U87사람의 교세포에서 포스포리파제 D의 효소활성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EGCG에 의한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화는 포스포리파제 C효소의 특이적인 억제제와 지질분해효소 활성이 억제제 포스포리파제 \gama1$의 변이체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세포내 칼슘에 의존적인 양상을 보였주었다. 이러한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화는 아마도 칼슘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 II (CaM kinase II)를 통하여 일어나는것으로 여겨진다. 흥미롭게도, EGCG는 포스포리파제 \gama1$를 세포질에서 세포막으로의 이동을 유도하였으며, 포스포리파제 \gama1$와 PLD1의 결합을 유도하였음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EGCG가 사람의 교세포에서 포스포리파제 \gama1$-칼슘-CaM kinase II의 신호전달 경로를 통하여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폴리에스터 직물의 리파제 처리시 Triton X-100 및 염화칼슘의 영향 (Effects of Triton X-100 and Calcium Chloride on the Porcine Pancreas Lipase Treatment of PET Fabrics)

  • 김혜림;송화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11-917
    • /
    • 2008
  • 본 연구는 폴리에스터 직물에 리파제 처리시 첨가제에 따른 수분특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활성제(염화칼슘)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Triton X-100) 첨가가 수분율, 접촉각, 흡수속도, 표면형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리파제 처리된 폴리에스터 직물의 수분율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 첨가시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리파제의 활성제로 알려진 염화칼슘 첨가 시 폴리에스터 직물의 수분특성은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리파제 처리 시 염화칼슘이 10mM이상 첨가된 경우 폴리에스터 직물의 수분특성이 증가되었다. 리파제 처리된 폴리에스터 직물의 표면관찰 결과, 섬유표면에 생성된 보이드와 크랙이 폴리에스터 직물의 수분특성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폴리에스터 직물에 리파제 처리시 Triton X-100은 리파제의 활성을 저해하고, 염화칼슘은 리파제의 활성을 다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계내에서 고정화리파제에 의한 트리글리세리드의 가수분해 (Hydrolysis of Triglyceride in Two Phase System Using Immobilized Lipase)

  • 권대영;김기혁;이준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2-128
    • /
    • 1987
  • Candida rugosa와 Rhizopus arrhizus 리파제를 photocrosslinkable resin prepolymer에 고정화시켜서 이소옥탄을 유기용매로 사용한 이상계를 이용해서 유지분해 및 에스테르교환 반응을 보고자했다. Dioctylsulfosuccinate가 가장 좋은 surfactant였다. 소수성 젤인 ENTP-3000에 고정된 리파제가 좋은 활성을 나타냈고 친수성 젤인 ENT-4000에 고정된 리파제가 유기용매에 대해 안정했다. 고정화 matrix의 소수성이 증가될수록Vm(app)는 증가되었으나 Km(app)는 거의 일정했다. 리파제의 최적 pH는 소수성 젤인 ENTP-3000에 고정된 경우 C. rugosa와 R. arrhizus 리파제에 대해서 각각 6.0과 6.5였으나, 친수성 젤에 고정된 리파제는 짧은 시간 반응에는 pH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긴 시간 동안 반응시킬 때는 역시 pH6.0과 6.5에서 각각 C. rugosa와 R. arrhizus 리파제가 높은 양의 지방산을 분해시켰다. 리파제를 entrapment 시키면 열안정성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기용매내에서 리파제의 입체특이성 반응기질로서 이용하기 위한 Trifluoroethylmandelate의 이성질체 합성 및 입체특이성 (Synthesis of Stereoisomeric Trifluoroethylmandelates and Their Stereospecificity for the Uses as the Substrate of Lipases in Organic Solvent)

  • 권대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5-130
    • /
    • 1992
  • 유기용매에서 리파제의 입체특이성 반응연구를 위하여 리파제의 기질로서 trifluoroethylmandelate를 도안하고 이를 mandelic acid와 trifluoroethanol를 사용하여 알코올과 산에서 에스텔을 합성하는 방법을 도입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물질이trifluoroethylmandelate임을 $^1H$ NMR과 원소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와 (-)-trifluoroethylmandelate ($[{\alpha}]_{25}{^D}$)은 각각 +74.0°and -75.4°이었다. 이 합성된 기질을 이용하여 유기용매내에서의 리파제의 입체이성질체에 대한 transesterification 속도는 서로간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alpha}]_{25}{^D}$가 낮은 입체 이성질체인 (+)- 와 (-)-methylchloropropionate에서는 리파제의 활성은 있었으나 차이는 없었으며, 높은 $[{\alpha}]_{25}{^D}$를 갖는 methylmadelate는 리파제의 활성도 없었다.

  • PDF

팜유발효에 있어서 리파제의 특성과 팜유자화와의 관계 (Properties of Lipases and Palm Oil Assimilating Patterns in Palm Oil Fermentation)

  • Koh, Jeong-Sa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473-478
    • /
    • 1986
  • 미생물에 의한 천연유지의 분해자화과정을 극명함으로써 값싼 유지를 발효원으로서 착용하기 위하여 팜유자화성 유용균주인 Torulopsis candida Y-128과 Acinetobacter calcoaceticus KB-2가 생산하는 리파제의 특성과 이들 균주의 생리적인 특성을 검토하였다. T. candida Y-128은 팜유입자에 부착·자화하며 리파제의 작용에 의해 유리되는 분포화지방산을 포화지방산에 비해 쉽게 자화이용 함으로써 균체증식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T. candida Y-128의 리파제는 대부분 균체내에 존재하는데 비해, A calcoaceticus KB-2는 배양시에 균체증식 대수기부터 균체외로 리파제가 생성됨을 알수 있었으며, 리파제에 의해 유리된 포화 지방산도 다른 균주에 비해 자화이용이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두 균주는 배양액중에 리파제를 축적하지 않고 균체생육에 필요한 정도를 생산하며 천연중지중 1(3-)-위치의 지방산에 작용하는 위치특이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두 균주는 천연유지입자에 부착하여 1(3-)- 위치의 지방산을 분해하고, 분해생성물은 지방산대사경로를 거쳐 자화이용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세균성 리파제의 분자구조와 작용기작 (Molecular Structures and Catalytic Mechanism of Bacterial Lipases.)

  • 김형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1-321
    • /
    • 2003
  • 세균은 지방을 분해할 수 있는 다양한 리파제를 생산한다. 리파제는 반응조건에 따라서 지방의 합성도 수행할 수 있는데 , 이러한 효소반응과정에서 고도의 기질특이성과 위치특이성 및 입체특이성을 보이기 때문에 제약산업과 정밀화학산업에서 효소촉매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금가지 200종류 이상의 리파제효소가 보고되었으며, 이것들은 효소생산기원과 아미노산 상동성을 기준으로 6개의 family로 분류된다. 지난 10년 간 세균 리파제 6종에 대한 3D구조가 밝혀졌다. 이것들은 모두 중심부분에$\alpha/\beta$폴딩구조와 세린, 히스티딘, 아스팔틴산으로 구성된 활성부위를 공통적으로 갖고 있다. 활성부위를 양친성 $\alpha$나선구조가 뚜껑처럼 덮고 있으며, 물과 오일의 경계면을 만나면, 이 뚜껑이 열리고 효소활성이 크게 증가하는 '계면활성화' 현상을 보인다. P. cepacia 리파제 구조에는 기질과 결합하는 4개의 포켓이 있는데 이중 하나는 옥시음이온 구멍이고, 다른 세 개는 기질의 sn-1, sn-2, sn-3 지방산과 결합하는 부위이다. 이 포켓의 크기와 방향 및 소수성정도에 의해서 효소의 기질특이성과 입체특이성이 결정된다. 현재 이러한 구조연구를 기반으로 사용목적에 따른 맞춤 효소를 생산하기 위한 효소 개량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기용매 내에서의 유지의 리파제 촉매반응 (Lipase-Catalyzed Reactions for Fats and Oils in Non-Polar Solvent)

  • Daeseok Han;Kwon, Dae-Young;Rhee, Joon-Shic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0-258
    • /
    • 1988
  • 리파제는 모노, 디, 트리글리세리드 분자 내의 에스테르 결합을 가수분해 시키는 효소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효소의 기질인 유지는 물에 용해되지 않아 그 반응이 불균일계에서 일어남으로 리파제 반응의 반응속도론적 해석이 곤란하였다. 이러한 성질은 유지공업에서 리파제를 산업적 촉매로 사용하는데 커다란 장해 요인이 되었었다. 그러나, 최근에 이상계, 역미셀계, 미수계와 같이 반응매질로 유기용매를 도입한 효소반응계가 개발됨에 따라 리파제를 이용한 유지의 전환에 대한 관심이 집중하는 추세에 있다. 리파제를 사용하여 유지를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지방간을 생산하고자 할 때 효소반응계로 재래식의 에멀젼보다 이상계 또는 역미셀계를 사용하면 생산성, 굳기름의 가수분해 속도, 생성물 분리등의 측면에서 전체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었다. 한편, 미수계에서 리파제는 에멀젼에서는 불가능한 에스테르 교환반응, 글리세리드 합성, aminolysis, thiotransesterification 및 oximolysis 같은 반응을 촉매 할 수 있는 획기적인 특성을 나타냈다. 공업적 측면에서 이 반응계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특성 (특히 융점)이 변형된 유지를 생산하고자 하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의 효소반응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앞으로 유기용매 내에서 효소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 및 연속조작이 가능한 효소반응기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계속된다면 이러한 효소공정이 공업적 제조기술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아실 시아노포스포레인과 아민 유도체로 부터 γ-아미노부틸산에서 유도된 포스포리파제 A2 저해제의 효과적인 합성 (An Efficient Synthesis of γ-Aminobutyric Acid-Derived Phospholipase A2 Inhibitors from Acyl Cyanophosphoranes and Amine Derivatives)

  • 이기승;김대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1-170
    • /
    • 2004
  • 일련의 유효한 ${\gamma}$-아미노부틸산에서 유도된 인간 시토솔릭 포스포리파제 A$_2$ 저해제를 아실 시아노포스포레인과 아민 유도체로 부터 수렴적으로 합성하였다. 저해제 내의 친전자적인 단편인 알파-케토 아미드 작용기는 불안정한 ${\alpha},{\beta}$-디케토 니트릴과 ${\gamma}$-아미노부틸산 삼차-부틸에스테르 유도체와의 직접 융합반응에 의하여 -78 $^{\circ}C$에서 양호한 수율로 합성하였다.